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1910년대 1920년대 문학

by 소이나는 2012. 9. 26.
반응형


 

1910년대


<1> 서설


1. 육당 최남선, 충원 이광수 - 2인 문단 시대

2. 계몽 운동

3. 인간의 형상화를 시도, 신교육, 자유연애

4. 잡지 - 소년, 태서문예신보

5. 최남선의 신체시 - 시의 서정성, 상업주의적으로 변모


<2> 1910년대 문학


Ⅰ. 시

 (1) 신체시

  1) 개화사상, 신교육, 남녀평등 사상

  2) 계몽 문학적 성격

  3) 중간적

  4)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  구작 삼편  / 이광수 ‘우리 영웅’

 (2) 자유시 등장, 프랑스 상징시 번역 - 김억 ‘봄은 간다’


Ⅱ. 소설

 1. 근대적 소설 - 어린희생, 소년의 비애, 방황, 윤광호

 2. 최초의 현대적 소설 - 무정

  (1) 신교육 성취, 신문물 수용, 자유연예

  (2) 근대적 요소

  (3) 지나친 작가 개입, 계몽적, 영웅 소설적 구조

   

Ⅲ. 희곡

 1. 신파극 - 통속극, 흥미 위주의 감상극

 2. 임성구의 ‘혁신단’, 윤백남 ‘문수성’

 3. 조충환 ‘병자삼인’ - 최초의 창작 희곡인


Ⅳ. 잡지


 1. 소년 (1908)

  (1)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2) 최초

 2. 청춘 (1914) - 최남선, 이광수 - 어린벗에게, 소년의 비애

 3. 유심 (1918) - 한용운

 4. 태서문예신보 (1918) - 장두철 - 최초의 순 국문의 주간 문예지






 1920년대


<1> 서설

1. 문예지, 다수 문인

2. 반계몽주의적 순수문학

3. 서구 문예 사조가 혼입 -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4. 계급 사상 도입 - 카프 결성 계기로 계급 문학 운동 전개

5. 시조 부흥운동

 6. 시

  (1) 낭만주의 → 주요한 ‘불눌이’(자유시) →  김억 ‘오뇌의 무도’(시 번역) → 김동환 ‘국경의 밤’ (현대 서사시)

  (2) 20년대 초반 - 병적·퇴폐적 낭만주의 (사의 예찬, 나의 침실로, 나는 왕이로 소이다, 월광으로 짠 병실)

  (3) 후반 - 서정시 중심 (님의 침묵,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7. 소설

  (1) 사실주의 경향 - 가난, 빈궁 - 김동인, 현진건, 나도향 (단편소설)

  (2) 에술성 추구


 8. 연극

  (1) 서구 근대극 양식 - 극예술 협회, 토월회

  (2) 창작 시나리오 = 나운규 ‘아리랑’ /  김훈 ‘먼 동이 틀 때’


 9. 기행 수필 -  최남선 ‘심춘순례’,  ‘백두산 근참기’ / 이광수 ‘금강산 유기’  /  이병기 ‘낙화암을 찾는 길에’



<2> 동인지, 잡지


Ⅰ. 발간

  창조 (1919) → 개벽 (1920) → 폐허 (1920) → 장미촌 (1921) → 백조 (1922) → 금성 → (1923) →

  영대 (1924) → 조선 문단 (1924) → 해외 문학 (1927) → 문예 공론, 삼천리 (1929)






Ⅱ. 특색

 

1. 3대 문예 동인지


 (1) 창조

  1) 최초 순수 문예 동인지

  2) 완전한 언문일치체

  3) 상징주의, 시실주의

  4) 김동인, 주요한, 전영택

  5) 불놀이, 약한 자의 슬픔(김동인)


 (2) 폐허

  1) 퇴폐적 낭만주의

  2) 황석우, 염상섭(자유주의), 김억, 오상순

 

 (3) 백조

  1) 감상적 낭만주의

  2) 홍사용, 나도향, 이상화, 박종화, 노자영, 현진건(사실주의)


2. 대립 잡지

 (1) 개벽

  1) 계급주의

  2) 김기진, 박영희

 (2) 조선 문단

  1) 동인지의 성격을 탈피한 최초의 종합잡지, 카프에 대항(민족주의 계)

  2) 이광수, 방인근




3. 시 전문지

 (1) 장미촌

  1) 최초의 시 전문

  2) 박종화, 노자영

 (2) 금성

  1) 낭만적 경향

  2) 양주동


4. 기타

 (1) 영대 - 김소월, 김억

 (2) 해외 문학 - 최초의 번역 소개지 - 김진섭, 정인섭, 손우성

 (3) 문예 공론 - 양주동, 염상섭


cf) 동인지가 아닌 종합잡지 - 개벽, 조선문단, 삼천리


<3> 계급주의, 민족주의


Ⅰ. 계급주의 문학

 1. 성립 배경 - 민족 자결주의, 부르주아, 마르크스 주의

 2. 김기진이 낭만주의 ‘백조’를 붕괴시키기 위해  백조 동인으로 가담

 3. KAPF = 심대섭(심훈) 중심 - 염군사 + 김기진, 박영희 중심 - 파스큘라

  (1) 김기진, 박영희, 이익상, 이상화, 안석주, 송

  (2) 내용과 형식의 논쟁 - 김기진 (소설은 하나의 건축이다 - 박영희의 철야, 지옥순례에 혹평) vs 박영희

  (3) 제3전선파의 가세

  (4) 임화, 김남천, 권환 등 카프 소장파 활약

  (5) 일제의 대 검거령으로 해체

  (6) 박영희 - 얻은 것은 이데올로기요, 잃은 것은 예술 그 자신이었다. - 카프 탈퇴

  (7) 작가

   1) 김기진 - 붉은 쥐, 백수의 탄식

   2) 주요섭 - 살인, 인력거꾼

   3) 박영희 - 전투, 사냥개

   4) 최학성(서해) - 고국, 탈출기, 홍염, 기아와 살육

 4. 특성 - 빈궁의 문학, 저항, 계급 사조의 문학, 순수문학 부정, 사회주의 운동을 배경으로 정치적인 문학

 5. 동반작가 - 유진오, 이효석, 박화성, 채만식

   


Ⅱ. 민족주의 문학- 국민 문학파 문학

 1. 최남선, 이광수, 김동인, 이병기, 이은상, 염상섭

 2. 시조 부흥운동 (최남선)

 3. 한글날의 제창에 공헌


Ⅲ. 절충주의 문학

 1. 양주동, 염상섭

 2. 문예공론

 3.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를 중심으로 김기진과 임화사이 대중화 논쟁

 4. 조중곤이 카프의 대표로, 김화산이 아나키즘의 대표로 논쟁

 5. 농민 문학 논쟁 - 안함광, 백철




<4> 시


1. 주요한

 (1) 불놀이

  1) 최초의 현대 자유시 - 창조에 발표

  2) 교훈성, 계몽성, 한문투의 시어 배격 → 순수 고유어의 미감, 순수 예술성

  3) 상징적 수법

 (2) 시집 - 아름다운 새벽, 삼인시가집, 봉사꽃


2. 홍사용

 (1) 백조의 실질적 주재자

 (2) 나는 왕이로 소이다.

 

3. 김억

 (1) 폐허 동인

 (2) 봄은 간다

 (3) 시집 - 오뇌의 무도, 해파리의 노래

 

4. 황석우

 (1) 폐허 동인

 (2) 이상주의적 색채, 푀폐적 경향

 (3) 벽모의 묘

 

5. 김소월 (정식)

 (1) 창조로 등장, 영대 동인

 (2) 진달래꽃, 금잔디, 먼후일, 엄마야 누나야, 산유화, 초혼, 못 잊어, 접동새,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 대일 땅이 있었더면

 (3) 소설 - 함박눈

 (4) 사모와 정한의 세계, 5조 3음보, 여성적 어조, 경어체


6. 오상순

 (1) 폐허의 동인

 (2) 허무주의적

 (3) 허무혼의 선언, 방랑의 마음, 아시아의 밤

 

7. 김동환

 (1) 종합잡지 ‘삼천리’

 (2) 국경의 밤 - 최초의 현대 서사시

 

8. 이상화

 (1) 백조의 동인

 (2) 감상적, 낭만주의적

 (3) KAPF 이후 퇴폐적 경향 - 항일적, 민족주의적

 (4) 유고시집 - 상화와 고월







9. 한용운 (만해)

 (1) 불교잡지 ‘유심’ 간행

 (2) 타고르의 영향, 독립선언서에 서명

 (3) 님의 침묵, 찬송, 나룻배와 행인, 알 수 없어요, 당신을 보았습니다. 복종, 이별은 미의 창조

     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에

 (4) 소설 - 흑풍

 (5) 논설 - 조선 독립의 서, 불교 유신론

 (6) 형이상학적 깊이

 (7) 이별과 극복


10. 박종화

 (1) 백조의 동인

 (2) 낭만주의적 경향

 (3) 시 - 청자부, 흑방비곡

 (4) 소설 - 목 매는 여인, 금삼의 피, 다정 불심, 대춘부, 홍경래, 임진왜란, 아랑의 정조


11. 변영로

 (1) 기개 높은 민족정신

 (2) 논개, 조선의 얼굴

 (3) 시집 - 조선의 마음


12. 이병기

 (1) 조선 문단으로 등단

 (2) 난초, 오동꽃, 수선

 (3) 가람 시조집


<5> 소설


1. 김동인

 (1) 단편 소설의 기반확립

 (2) 예술성 주장

 (3) 3인칭 대명사를 처음 사용, 언문일치 완성

 (4) 단일 묘사 방법, 인형 조종술, 톨스토이에 매혹당함

 (5) 평론집 - 춘원 연구

 (6) 작품

  1) 낭만주의 - 배따라기

  2) 사실, 자연주의 - 약한 자의 슬픔, 명문, 감자

  3) 탐미주의 - 광화사, 광염 소나타

  4) 민족주의 - 붉은 산

  5) 인도주의 - 발가락이 닮았다

  6) 역사 소설 - 대수양, 젊은 그들, 운현궁의 봄

 

2. 전영택

 (1) 창조의 동인

  (2) 화수분, 소, 천치? 천재?






3. 나도향

 (1) 백조 동인

 (2) 감상적, 낭만주의적 풍

 (3) 환희,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이

  

4. 염상섭

 (1) 폐허의 동인

 (2) 사실주의적 경향, 객관적 입장, 비대중성, 만연체

 (3) 다원적 묘사 방식인 ‘복합 묘사 방법’ 중시

 (4)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자 - 중도의 입장

 (5) 표본실의 청개구리(자연주의 과학적 사실주의), 두파산, 만세전, 삼대, 취우


5. 최서해

 (1) 체험 문학, 궁핍한 현실을 형상화

 (2) 고국, 기아와 살육, 박돌의 죽음

 (3) 탈출기-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서간체, 자전적, 고백적 소설

 (4) 홍염 - 일제 수탈, 서간도 배경, 비참한 삶


6. 현진건

 (1) 백조의 동인

 (2) 사실주의 문학, 기교의 가치

 (3) 희생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불, 운수 좋은날, 할머니의 죽음, 고향, B사감과 러브레터

 (4) 무영탑, 적도, 흑치상지

  

<6> 희곡


 1. 창작

  (1) 극예술 협회 - 김우진

  (2) 민중 극단, 토월회


 2. 토월회

  (1) 김기진, 박승희, 김을한, 안석주

  (2) 진정한 근대극

  (3) 번역극 - 칼멘, 부활, 곰, 오로라

  (4) 김우진 - 산돼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