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헌법

국가배상청구권의 내용

by 소이나는 2010. 8. 26.
반응형


 

국가배상청구권의 내용


   헌법 제29조 제1항 "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손해를 받은 국민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 또는

                       공공단체정당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무원 자신의 책임은 면제되지 않는다."


   1.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1) 공무원의 행위

           1)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공무수탁사인

           2) 시청소차 운전수, 집달관, 철도건널목 간수, 교통할아버지

           3) X - 시영버스운전수, 의용소방대원


      (2) 직무상의 행위

           1) 직무의 범위

                 ① 최광의설 - 권력작용 + 관리작용 + 국고작용

                 ② 광의설(多) - 권력작용 + 관리작용

                 ③ 협의설 - 권력작용

           2) 직무행위의 판단기준

                 ① 주관설

                 ② 객관설 (多) - 공무원의 주관적 목적이나 의도와 상관없이,

                                  그리고 피해자가 공무집행행위가 아니라는 사정을 안 것과 상관없이 외관상 집무집행

           3) 대판

                 ① 국회의원의 입법행위 - 국가배상청구 원칙 不可

                     ∵ 자유위임에 따라 정치적 책임을 질 뿐 법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다.

                        그러나 헌법문언에 명백히 위반되는 경우에는 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② 법원의 재판 - 국가배상청구 원칙 不可

                     ∵ 불복절차가 인정된다.

                 ③ 헌법재판소의 재판 → 청구기간을 오인하여 각하 결정한 경우에는 국가배상책임 인정

                     ∵ 불복절차가 없어서 국가배상 이외의 방법으로 권리 내지 이익을 회복할 방법이 없다.

                 ④ 사경제 주체로서의 활동 - 국배 X


      (3) 불법행위

            1) 고의, 과실에 의한 위법행위

            2) 작위, 부작위

            3) 대판

                 ① 공무원이 관계 법률의 해석을 그르친 경우에는 과실인정

                 ② 하지만 상위법규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여 그 중 어느 하나의 견해에 따라 상위법규를 해석하여

                    시행령을 제정한 경우에는 과실이 없다.


      (4) 타인에 대한 손해발생

            1) 모든 불이익이 포함 (정신, 물질)   (오답 - 재산상 손해가)

            2) 헌법 제29조 제2항의 군인 등은 여기의 '타인'에서 제외


      (5) 인과관계

            1) 가해행위와 손해발생 사이에 인과성 인정 → 상당인과관계 (개연성 X,  종합적 O)

            2) 헌판 - 탈주군인들이 저지른 범죄 → 국가배상 인정

   2. 공공시설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

      (1)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과의 차이점

      (2) 영조물설치의 하자의 개념

      (3) 대판

        

   3. 국가배상책임의 본질

      (1) 학설

           1) 대위책임설

           2) 자기책임설(多)

           3) 중간설(절충설)

      (2) 대법원 - 절충설

           1) 공무원의 고의⋅중과실은 대위책임 (∵ 기관행위가 아니다.)

           2) 공무원의 경과실은 자기책임 (∵ 국가기관으로서의 행위)

      (3) 검토

 

자기책임설

대위책임설

책임의 성질

책임일원론(공무원=국가)

책임이원론(공무원≠국가)

양도나 압류

양도, 압류 X

양도, 압류 O

선택청구

선택청구 X

선택청구 O

국가배상청구권의 성질

국가배상청구권 - 공권,

국가배상법 - 공법

국가배상청구권 - 사권

국가배상법 - 사법


        

   4. 상대방

      (1) 공무원의 배상책임 여부

           1) 외부적 책임 - 가해공무원 개인에 대하여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절충설

               [대판]

                 ① 공무원의 고의⋅중과실 = 대위책임

                     → 원칙적으로 공무원개인이 책임지는 것이지만, 피해자 구제를 위하여

                        국가가 대신 책임을 지는 것이므로 공무권 개인에게 책임이 발생

                 ② 공무원의 경과실 = 자기책임

                     → 국가의 기관으로서의 행위이고 공무원의 공무집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무원 개인에게는 책임 발생 X

           2) 내부적 책임 - 국가가 가해공무원에게 구상권을 행사? 절충설

               [대판]

                 ① 고의⋅중과실 (구상권행사 可)

                 ② 경과실 (구상권행사 不可)

      (2) 선임감독자와 비용부담자가 다를 경우

            1) 공무원의 선임감독자의 비용부담자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비용부담자도 배상책임을 진다.

            2) 국가 또는 지자체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는 경우에 공무원의 봉급⋅급여를 부담하는 자도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5. 배상청구의 절차와 배상의 범위

      (1) 배상청구절차 

            1) 배상심의회(법무부소속)에 배상청구 (개정) 필요적 전치주의 → 임의적 전치주의

            2) 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헌판] 민법상 소멸시효 규정 적용 - 과잉금지원칙에 위배 X (합헌) (사시02)

      (2) 배상의 범위

        

  6. 구상권행사의 요건과 구상권자

      (1) 공무원에게 고의⋅중과실이 있을 것

      (2) 공무원의 선임⋅감독자와 비용부담자가 다른 경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