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37. 조선 교육제도 (서당, 향교, 성균관, 문과, 무과, 잡과, 취재, 상피제, 서경제도, 대가제, 증광시, 알성시)

by 소이나는 2014. 4. 28.
반응형


1. 문반 관리는 지역안배와 실력을 고려하여 선발하였다? (O)2. 부정기 시험으로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후 성균관에서 보는 증광시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보는 알성시가 있었다?  (X) ☞ 바뀜, 경사가 증광시, 성균관이 알성시3. 생원•진사시는 초시, 복시, 전시의 세 차례 시험으로 이루어졌다? (X)  ☞ 초시, 복시5. 조선 전기 양반(1) 진사시 급제시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얻었다? (O)(2) 문과(대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박사가 되었을 때 과전과 녹봉을 지급받았다?  (O)(3) 이조판서가 되어 정부 재정에 관한 정책을 주관하였다? (X) ☞ 호조(4) 좌의정이 되어 다른 재상과 합의하여 국정을 총괄하였다? (O)용어(1) 중시 - 합격된 관리대상 시험 → 10년에 한번(2) 역시 - 주초만 시험관에게 넘겨 채전(3) 주초 - 답안지 사본(4) 녹명 - 신원 확인 후 등록하는 것(5) 조흘강 (학례강) - 녹명 전 실력을 검정하는 것(6) 기로과 (영조) - 왕비, 대비 등 나이 60, 70 기념기술관 1) 사림파가 대두하면서 성리학 이념에 따른 문학을 존중하고 기술학을 더욱 천시하였다.2) 기술관은 승진에 제한을 받아 정3품 당하관에 그쳤지만, 역관과 의관은 당상관까지 특진하는 예가 있었다.3) 기술관직은 세습되어 17세기 이후 중인 가문이 형성되었다.[4] 근세 문화<1> 민족 문화의 융성Ⅰ. 조선 초기 민족 문화 발달 배경 1. 민족적, 실용적인 성격의 학문 2. 한글창제 3. 성리학 이외 학문, 사상 중시 4. 유교 이념에 토대를 둔 국왕의 장려Ⅱ. 교육제도, 과거제도1. 특징(1) 양반 위주 교육(2) 유학 교육에 치중 (3) 교육 기회 확대(4) 학생의 특전 - 군역 면제2. 교육 기관(1) 인문 교육기관1) 중앙 - 사학(4부 학당) - 중학, 동학, 서학, 남학 - 정원 100명 (중등교육)2) 지방 a. 서당 (초등교육) ㄱ. 사학,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 평민의 자제 - 8~16세ㄴ. 교수 ㄷ. 교육 : 천자문, 동몽선습, 강독, 제술, 습자b. 서원 - 16c 이후 과거보다 학문연구 목적 c. 향교 (중등교육)1. 지방에 설치한 관학 1) 전국 모든 군현에 설치, 2)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 ☞ 부목, 대도호부 : 90명, 도호부 : 70명, 군 : 50명, 현 : 30명2. 훈도 파견, 지방교화•유생교육, 기술관의 양성, 과거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 강습소3. 1년에 2번 시험 – 낙강생(落講生)은 군역을 치르도록 하였다.4. 더 높은 학문을 원하는 교생은 생원, 진사가 된 다음 최고 학부인 성균관에 진학“문묘를 세워 선성께 제사하고 학교를 세워 자제를 교육하는 것은 ~ 양성해서 문명의 다스림을 돕게 하려고 해서이다.” – 양촌집3) 성균관 (고등교육) a. 생원(유교경전)•진사(한문학) 원칙, 집단 상소, 권당(수업거부), 공관 (동맹 휴학)b. 생원, 진사 각 100명씩 모두 200명c. 건물 명칭1. 명륜당 (明倫堂) - 유학 강의 2. 문묘(文廟) - 공자 모신 곳3. 양재 (東西齋) - 기숙사4. 존경각 (尊經閣) - 도서관5. 비천당 (丕闡堂) - 과거 시험 보는 곳6. 정록소(正錄所) – 성균관 직원이 시정을 뽑아 적어 보관하던 곳(2) 기술 교육 율학 서학(그림) 산학 의학 음양, 천문 역어(외국어) 도학고려 국자감 태의감 사천대 통문관 태사국조선 형조(잡과) 도화서(취재) 호조(취재) 전의감(잡과) 관상감(잡과) 사역원 소격서cf) 악학 - 장학원 (취재) 고구려 통일신라 발해 고려 조선 근대중앙 태학 국학 주자감 국자감, 12공도(사학) 성균관, 사학(4부학당) 육영공원(1886)지방 경당(사학, 장수왕)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향교 (성종) 서원(사학) 원산 학사 (사학) (1883)cf) 무술 - 경당, 화랑, 강예제(7재), 원산학사, 신흥무관학교3. 관리 등용 제도(1) 과거 응시 - 누구나 양인 이상이면 문무과 응시1) 과거에 응시할 때에는 4祖를 적어내어 가문을 분명히 하였다.2) 제외 – 범죄자, 재정 축낸 자의 아들, 서얼, 재가녀•실행녀의 아들,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 이상, 신량역천3) 문, 무, 의, 역, 음양, 율, 눔음의 7과로 정하였다.(2) 문과 1) 자격가. 성균관 유생이나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자가 응시나. 서얼, 재가한 여자의 자녀는 문과 응시에 제한을 받았다. - 법제적으로 서얼은 대과 응시자격 X다. 향리a. 4조 심사와 보단자 등 과거 응시 과정에서 불리한 조건 有b. 조흘강 이외 4서와 1경의 강 시험을 통과해야 했다.c. 생진시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군현 수령의 허가 要 →양반층의 비대를 막기 위해)다. 양인 - 원칙 : 응시가능 ➝ 일반 백성의 응시는 거의 불가능 → 경제•현실적 이유cf) 4조 내 천계 혈통이 있으면 자격을 얻지 못함cf) 보단자 - 응시자의 신분에 대한 보증을 서는 것라. 천인 - 법제적으로는 응시 不可 →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ex) 왜란 때 대가를 주고 속량 되어 과거에 합격한 자가 있다.2) 문과 1) 소과 (小科, 생진과, 사마시) - 5품 이하로 제한 가. 생원과•진사과 - 문과의 예비 시험으로 생원과(=명경과, 유교경전 이해력, 4서 5경), 한문학(시•부)에 뛰어난 진사과 (=제술과)나. 절차 a. 초시 - 한성시, 향시 → 700~1400명 선발b. 복시 - 생원, 진사 각 - 성적순 100명씩 200명다. 백패라는 합격증 받고 생원과 진사, 성균관에 입학, 문과에 응시 가능, 하급관리가 되기도 함2) 대과 (大科, 문과, 동당시)가. 응시 자격 - 소과 합격, 생원이나 진사가 되어야 한다.→ 성균관에서 원점 300을 딴 생원•진사가 응시 또는 소과 합격자도 응시나. 응시 절차 - 초시 (初試) : 240여명 → 복시 (覆試) : 성적순 33명 씩 (홍패 수여 - 이조에서 발급)→ 전시 (殿試) : 진사에 갑과 3명, 을과 7명, 병과 23명 등급(석차)을 정함 (33명 외 불합격)cf) 유생들은 매일 아침, 저녁 식당에 참석하여 일정한 원점을 따야 문과 초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다. 갑과 : 1등 - 장원(종6품), 2등 - 방안(정7품), 3등 - 탐화 (정7품)라. 현직 관료 합격자는 1등은 4품계 2•3등은 3품계, 을과 2품, 병과 1품계를 올려줌(3) 무과1) 무예, 경서, 병서 2) 문무 양반 제도가 확립3) 서얼• 중인이 주로 응시 4) 유교경전도 시험과목 (경서, 병서)5) 급제자에게 홍패를 수여 6) 초시 → 복시 → 전시7) 갑 : 종7품, 을 : 종8품, 병 : 종9품 8) 소과가 無T) 무과도 최종 선발인원은 33인이었다? (X)T) 소과 대과 구별이 없다.T) 장원은 없고 갑과 을과 병과의 등급만 매겨졌다.(4) 잡과1) 4과 : 역과(사역원), 율과(형조), 의과(전의감), 음양과(관상감 - 천문) (x- 산과)2) 3년마다 초시와 복시만 본다. (전시 無)3) 합격자에게 백패부여4) 무과•잡과 - 서얼, 중간층 위주 응시5) 3품까지 승진 가능T) 기술관을 뽑는 잡과는 3년마다 예조에서 실시하였다? (X) ☞ 해당 관서4. 기타 관리 임용법(1) 취재 (取才)1) 과거시험 이외 간단한 시험으로 하급관리, 하급 기술관원 시험 - 필요시 시취로 충당2) 간단한 특별채용 - 양반 자제 중 나이가 많거나 능력부족한자가 주로 응시3) 종류 a. 이조 취재 - 응자제•외교관•녹사•서리•수령 등 하급문관b. 병조 취재 - 갑사, 대졸 대상c. 예조 취재 - 의•역, 천문, 풍수, 율학, 화원, 악생, 회화(도화서), 도학 (소격서, 도교), 산학 (호조), 악학 (장악원) 등 (2) 천거 (薦擧) - 대개 기존 관리들의 대상으로 추천(3) 음서 (문음) - 2품 이상의 자제, 승진 제한 有 (능력을 보다 중시) ➝ 과거를 통해야만 고관으로 출세cf) 고려 음서 - 5품 이상, 승진제한 無(4) 이과 - 서리를 뽑는 시험(5) 승과 - 폐지 : 조광조 (중종) → 명종 때 부활 → 문정왕후 사망 후 완전 폐지5. 양반 제도의 보수성(1) 대가제 (代加制) 실시 : 문부 현직자가 자궁(정3품 당하관)이상 되면 별도로 부과된 품계를자식, 조카 등에게 줄 수 있게 한 제도 (세습적 성격), 상설화된 제도(2) 한품서용제 (限品敍用制) : 중인층이 인물을 높게 등용하되 당상을 허가하지 않고, 서얼은 정3품까지, 향리와 토관은 정5품까지, 서리는 정7품까지 승진을 제한6. 시험의 실시 시기(1) 정기 - 3년마다 실시하는 식년시 (式年試)(2) 부정기 (별시)1) 증광사 - 국왕 즉위 등 특별채용2) 알성시 - 왕이 성균관 문묘 배알 시 → 친림과 (상피제 부적용)였다.3) 별시•경과 - 일반 경사4) 정시 - 봄• 가을에 성균관 유생5) 춘당대시 - 처음에는 무과 → 문묘 행차에여 작헌례 한 후 문과도 봄6) 황감제 - 감귤을 성균관 유생에게 나누어 줄 때 시행 (명종)7) 백일장 - 시골 유생(3) 승진 시험 – 중시(重試) (10년마다) - 당상관까지 올려 주었다.7. 인사 관리 제도(1) 상피제 (相避制) 시행 - 친인척과 같은 관서에 근무하지 않도록, 출신 지역의 지방관으로 임명치 않음(2) 서경 제도 (署經)1) 인사의 공정성 확보, 관리임명 동의권2) 대간(사헌부, 사간원)은 서경이라 하여 5품 이하 관리를 처음 임명 시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조사하여 가부 승인하는 역할도 한다.(3) 근무 성적 평가 고려 시대 조선 시대기술학 교육 국자감에 기술학부 해당 관청에서 실시종 류 제술업, 명경업, 잡업, 승과 문과, 무과, 잡과무과실시 X 문무 양반 제도, 주로 서얼이나 중간 계층이 응시특별 채용 음서제 (5품이상) 문음제 (2품이상)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42. 성리학 학파 (주자 성리학, 영남학파, 기호학파, 호락논쟁, 호론, 낙론,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문묘)  (0) 2014.05.10
[조선] 41.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서경덕, 조식,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이원론)  (3) 2014.05.09
[조선] 40. 조선 성리학 (훈구파, 사림파, 관학파, 사학파)  (5) 2014.05.08
[조선] 39. 조선 지리지, 조선 지도, 조선 법전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동국지도, 조선방역지도, 동국여지승람, 대전통편)  (2) 2014.04.28
[조선] 38. 한글 창제, 조선 역사서, (조선왕조실록, 의궤, 사정기, 기자실기, 동국통감,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국사, 동국사략, 훈몽자회)  (0) 2014.04.28
[조선] 36. 조선 상업 (관영 상업, 육의전, 경시서, 장시, 보부상, 국제무역)  (1) 2014.03.29
[조선] 35. 조선 양반, 조선 농민 (윤작법, 이모작, 관영 수공업, 민영수공업)  (2) 2014.03.29
[조선] 34. 조선 수취 체제 (조세, 전분6등법, 연분 9등법, 공납, 수미법, 방납 폐단, 역, 환곡, 조운제도, 조창)  (4) 2014.03.28
[조선] 33. 조선 경제 (양전 사업, 과전법, 관수 관급제, 직전법 폐지)  (7) 2014.03.26
[조선] 32. 조선의 성리학적 사회 (예학, 족보, 사우, 보학, 서원, 향약,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4) 2014.03.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