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시대] 6. 통일신라 통치 조직 (시중, 사정부, 9서당, 9주5소경, 외사정, 사웃리제도, 향부곡성)

by 소이나는 2019. 1. 22.
반응형


Ⅴ. 남북국의 통치 조직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1. 통일신라의 중앙 조직

 

(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

   b. 병부 강화 - 6관등제,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

   a. 화백회의 보완

   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

   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

 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

 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

 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아래 위화부 등 13부를 두고 행정업무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융합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

   “문무왕 10년에 왕은 사찬(沙飡) 수미산(須彌山)을 보내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봉하였다. 14년 8월에 안승을 보덕왕으로 삼았다.”

   “문무왕 13년에 백제에서 온 사람으로써 내외관을 마련하였는데, 그 별슬 차례는 본국의 관위에 따라 주었다.”

   “신무왕 6년에 고구려인으로써 경관(京官)을 마련하였는데 본국의 관품을 헤아려 이를 주었다.”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기관의 변화

 

[감찰기관] (통일신라) 사정부➝ (발해) 중정대➝ (고려) 어사대(순마소) ➝ (조선) 사헌부

(갑오개혁) 도찰원 (현재) 감사원

[대 학] (신라) 국학 → (발해) 주자감 → (고려) 국자감 → (조선) 성균관

[왕의 교서] (고려) 한림원→ (조선) 예문관

[언론 자문] (고려) 대성 → (조선) 사간원, 홍문관 → (근대 이후) 중추원

[출납 회계] (고려) 삼사→ (근대 이후) 회계심사원

[왕실업무] (고려) 중추원, 밀직사 → (조선) 승정원 → (근대이후) 궁내부

[도서보관] (발해) 문적원 → (고려) 비서성, 수서원 → (조선) 규장각

 

 

관부

시기

업무

발 해

고 려

조 선

근대 이후

집사부

진덕여왕

국가 기밀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통리기무아문

병 부

법흥왕

군사·국방

지부

병부

병조

군무아문

조 부

진평왕

공물·부역

인부

호부

호조

탁지아문

창 부

진덕여왕

재정·회계

위화부

진평왕

관리 임명

충부

이부

이조

내무아문

예 부

의례·교육

의부

예부

예조

외무아문, 학무아문

영객부

외교·사신접대

 

승 부

마정·육상 교통

좌이방부

진덕여왕

형률·노비

예부

형부

형조

법무아문

우이방부

문무왕

선 부

선박·해상교통

 

공장부

신문왕

수공업

신부

공부

공조

공무아문, 농상아문

예작부

토목·영선

사정부

무열왕

관리 감찰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도촬원

수 상

시중

 

대내상

문하시중

영의정

 

합의기관

화백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

비변사

통리기무아문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

(1) 9주 : 한주, 상주, 웅주, 전주, 앙주, 강주, 무주, 삭주, 명주

 1) 장관

    a. 명칭 변경 = 군주 총관 도독

        (∵ 군사적 성격에서 점차 행정적으로 변해갔다.)

    b.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단서에 ‘진골만’이라 달음)

 2) 촌주

 3) 신라·가야 3주, 백제 3주, 고구려 3주

 4) 외사정 (外司正)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

     (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

(2)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피정복민 회유·감시, 문화보급

 2) 장관 - ‘사신’

 3) 충주 - 가장 일찍 소경설치

    (우륵, 강수, 김생 등 가야계귀족들이사민)

(3) 군 - 태수 / 1인 외사정

(4) 현 - ‘소수’, ‘현령’파견

(5)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

(6)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고려 때)

 

[9주 5소경]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

중원경 (충주) - 2소경에도 있음 (통일 전에 설치)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시대] 12. 삼국의 사회 - 신라 사회 (화백, 화랑도, 골품제도, 6두품, 세속오계, 득난)  (0) 2019.01.28
[삼국시대] 11. 삼국시대 사회 - 고구려 사회, 백제 사회 (진대법, 형사취수제, 서옥제, 양직공도)  (0) 2019.01.27
[삼국시대] 10. 삼국의 신분제도 (하호, 읍락사회)  (0) 2019.01.26
[삼국시대] 9. 삼국의 군사제도 [남북국시대] 8. 통일신라 군사제도, 발해 군사제도 (고구려 군사제도, 백제 군사제도, 신라군사제도, 대모달, 방령, 9서당 19정, 10위)  (0) 2019.01.25
[남북국시대] 7. 발해 통치체제 (3성 6부, 정당성, 중대성, 선조성, 중정대, 문적원, 주자감, 좌사정, 우사정, 5경15부62주, 독주주, 주작대로)  (0) 2019.01.23
[삼국시대] 8. 삼국의 통치 조직 (고구려 통치체제, 백제 통체체제, 신라 통치체제, 제가회의, 정사암 회의, 화백회의, 14관등, 5부 5방, 6좌평, 22담로, 17관등, 5주 2소경, 촌주)  (0) 2019.01.21
[남북국시대] 5. 발해의 대외관계와 발해 멸망  (0) 2019.01.20
[남북국시대] 4. 발해의 발전 (무왕, 대무예, 문왕, 대흠무, 선왕, 대인수, 애왕, 대인선)  (0) 2019.01.20
[남북국시대] 3. 발해의 건국 (대조영, 고왕)  (0) 2019.01.19
[남북국시대] 2. 신라 말기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경문왕, 진성여왕, 효공왕, 경순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호족, 6두품)  (0) 2019.01.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