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6. 청동기 시대 (비파형 동검, 민무늬 토기, 반달돌칼, 고인돌, 조문경,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토기, 부여 송국리)
[2] 국가의 형성
<1> 청동기 문화
Ⅰ. 청동기의 보급
1. 시작 :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 고인돌
2. 특징 : 비파형 동검 (요령식•만주식 동검, 곡인청동단검), 동물 장식, 북방 계통의 영향을 받음,
구리에 아연이 함유, 미송리식 토기 (cf. 빗살무늬토기도 여전히 사용 중)
3. 사회적 변화
(1) 전문 장인 출현 – 직업의 전문화
(2) 계급 분화 : 사유 재산 제도, 계급
4. 유적지
(1) 북한 : 평북 강계 공귀리, 의주 미송리, 함북 회령 오동리, 나진 초도, 평양시 사동 구역 금탄리 남경
(2) 남한 : 충남 부여 송국리, 경기도 여주 흔암리, 파주 덕은리, 충북 제천 황석리, 전남 순천 대곡리
cf) 청동기 시대 탄화미 발견 (벼농사 시작) :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부산 아치섬, 부안 토산리
cf) 송국리형 집터 - 바닥 중앙에 타원형 구덩이를 파고 양쪽 끝에 2개의 기둥을 세웠다.
- 서남, 동남 지역은 물론 일본에도 영향을 주었다.
5. 무덤 양식
(1) 고인돌 (支石墓, 지석묘): 정치권력, 경제력 반영
1) 탁자식 (북방식) : 황해 안악
soy 한국사, desert.tistory.com 소이나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2) 바둑판식 (남방식) : 전북 고창, 전남 보성 (전남 지역에 가장 많았다.)
3) 개석식 – 기둥 없이 뚜껑만 올려 놓은 것
4) 한반도를 중심으로 요동, 산동, 일본까지 퍼져있다.
(2) 돌무지무덤 (積石塚, 적석총)
(3) 돌널무덤 (石棺墓, 석관묘)
[북방식 고인돌] [남방식 고인돌] [돌널무덤]
6. 유물
(1) 석기
1) 농기구 : 반달 돌칼 (추수용), 바퀴날 도끼(環狀石斧, 환상석부), 흠자귀 (有溝石斧, 유구석부 - 개간할 때 사용)
☞ 청동제 농기구는 없음
2) 부장품 : 간석검 (磨製石劍 마제석검)
(2) 청동기 : 비파형 동검(경북 상주, 충남 부여), 거친무늬 거울 (粗紋鏡, 조문경 - 화장용이 아닌 의식용으로 사용)
청동도끼 (동부 銅斧) - 부채꼴 모양
[반달돌칼] [비파형동검] [거친무늬거울]
(3) 토기
1) 미송리식 토기 : 밑이 납작, 손잡이, 집선(㠍線)무늬, 청천강 이북(남쪽은 無,) 길림, 요령
☞ “납작한 밑 항아리 양쪽에 옆으로 손잡이가 ~~ 요령 일대에 ~~”
2) 민무늬 토기 (無文土器, 무문토기) : 청동기 대표, 팽이형, 화분형, 적갈색, 공렬문 손잡이
3) 붉은 간 토기 (紅陶, 홍도)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 토기] [민무늬 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