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y 한국사 ※

[고려] 27. 고려 수공업, 고려 상업 (벽란도, 소금 전매제, 경시서, 관청 수공업, 사원 수공업, 소 수공업)

소이나는 2013. 10. 7. 15:30
반응형


Ⅲ. 수공업자1. 고려 전기(1) 관청 수공업 1) 부역 동원, 공장안(工匠案)에 올려 물품 생산2) 최고 미20석, 최하 도7석에 녹봉에 해당하는 ‘별사’의 대우T) 관청에 소속되지 않은 공장들도 공장안에 올라 일정기간 공사에 징발되었다.* 공장안 : 기술자 조사 장부(2) 소(所) 수공업 : 공물로 납부, 전업적 수공업 집단 (장인들은 거주∙이전의 자유가 없었다.)(3) 가내 수공업2. 고려 후기(1) 민간 수공업1) 농촌의 가내 수공업 중심 : 삼베, 비단, 모시, 명주2) 다양화 : 대나무 제품, 종이 등3) 유통 경제 발전(2) 사원 수공업 : 제지, 직포“승려들이 심부름꾼을 시켜 절의 돈과 곡식을 각 주군에 장리를 놓아 백성을 괴롭히고 있다.” – 고려사절요“지금 부역을 피하려는 무리들이 부처의 이름을 걸고 돈놀이를 하거나 농사, 축산을 업으로 삼고 장사를 하는 것이 ~범패를 부르는 장소는 파∙마늘의 밭이 되었다. 장사꾼과 통하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팔고 사기도 하며, 손님과 어울려 술 먹고 노래를 불러 절간이 떠들썩하다.” – 고려사Ⅳ. 상업활동- 농업에 의존하였기에 상공업은 그리 발달하지 못하였다. 자급자족 위주의 경제활동1. 고려 전기(1) 도시 상업1) 시전 설치 (개경) : 관청, 귀족이 이용2) 관영 상점 설치 (개경, 서경, 동경) : 서적, 약점, 주점 등3) 비정기적인 시장4) 경시서 (京市署) 설치 : 상행위를 감독   “경시서는 시장에서 사고파는 물건의 가격을 안정시키고, 속이는 것을 금지하며, 세금 부과를 감독하는 등의    일을 관장하는데, 영(令) 1명 종5품이고, 승(丞) 2명 종6품이고, 주부(主簿) 2명 종8품이다.” – 조선왕조실록 (2) 지방 상업1) 관아 근처에 시장 형성2) 행상 (行商) : 돌아다니며 판매, 일용품3) 장시 - 미•포로써 화폐를 삼아 물물 교환4) 불교사원 - 적극 참여(3) 화폐 유통 미미2. 고려 후기(1) 개경의 상업 활동1) 시전 규모 확대2) 항구 발달 : 벽란도(2) 지방의 상업 활동 : 미곡, 생선, 소금, 도자기(3) 경제 구조 변화1) 소금 전매제 (轉賣制) 시행 - 각염법 (충선왕)2) 관청•관리•사원(곡물, 수공업) 등의 개입3) 상인•수공업자의 성장(x- 촌락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물가가 뛰어올랐는데 장사하는 자들이 조그마한 이익을 가지고 서로 다투었다. 최영이 이를 미워하여 무릇 시장에 나오는 물건은 모두 경시서로 하여금 물가를 평정(評定)하고 세인(稅印)을 찍게 하고 난 뒤에 비로소 매매하게 하였고, ~ 그러나 이 일은 마침내       [고려의 산업 중심지와 고려의 교통로]시행되지 못하였다.” – 고려 후기 상공업의 발달을 막지 못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