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y 한국사 ※

[삼국시대] 15. 삼국의 문화 [남북국시대] 11. 통일신라의 문화, 발해의 문화

소이나는 2019. 2. 1. 07:00
반응형



[4] 고대 문화


<1> 고대 문화의 성격


Ⅰ. 삼국문화의 성격

 

1. 성격

(1) 서민 문화 : 소박

(2) 귀족 문화

 1) 남북조의 영향 : 세련

 2) 불교의 영향 : 화려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2. 특징

(1) 고구려 : 패기, 정열, 개성

(2) 백제 : 우아, 세련 → 귀족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 (한계 - 지방 토착문화를 충분히 육성하지 못하였다.)

(3) 신라 : 초기 소박 (토기, 토우) → 후기 조화미 (금동미륵보살 반가상)

 

3. 삼국의 공통적인 성격 - 이두 사용, 금동 미륵 보살반가상 등


Ⅱ. 통일 신라 문화의 성격

1. 민족 문화의 토대 확립

2. 국제 문화 조류에 참여

3. 조형 미술의 발달 (중대) - 교종 (하대에는쇠퇴 - 선종)

4. 불교·귀족 중심의 문화

5. 민간 문화의 수준 향상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6. 지방문화 발달 (∵ 선종, 5소경)


Ⅲ. 발해 문화의 성격

 

1. 기반

(1) 귀족 문화의 발달

(2) 당 문화 수용 : 상경의 주작대로, 벽돌무덤(정공주묘), 3성6부, 유학의 발달, 고분의횡혈식석실분구조 (중경)

(3) 고구려 문화의 토대 : 5경제, 석등의 팔각형 양식, 온돌, 와당(기와의 연꽃무늬), 불상, 굴식 돌방무덤의 모줄임구조 (정공주묘 - 동모산에 위치)

(4) 자기, 석등 (발해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

 

2. 한계성 : 소박한 말갈문화가 광범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