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y 한국사 ※

[삼국시대] 21. 삼국의 예술 - 고구려 예술 (돌무지무덤, 굴식돌방무덤, 장군총, 씨름도, 청룡도, 현무도, 주작도, 수산리 고분벽화, 안악3호분, 수렵도, 무용도, 안학궁,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

소이나는 2019. 2. 8. 07:00
반응형



<4> 예술의 발달


 

고분 양식

대표적 고분

벽 화

특 징

고구려

초기

돌무지 무덤 (석총)

장군총

X

 

후기

굴식 돌방무덤 (토총)

강서 대묘, 쌍영총

O

도교적, 서역 계통

백제

한성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

X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웅진

굴식 돌방무덤

송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큼, 고졸

벽돌무덤

무령왕릉

X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송산리 6호분

O

사신도, 일월도

사비

굴식 돌방무덤

능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작음, 세련

신라

일반적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호우총

X

부장품 보존, 도굴어려움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어숙묘

O

고구려, 백제의 영향

통일 신라

굴식 돌방무덤

김유신묘, 괘릉

성덕 대왕릉

X

12지 신상, 둘레돌

화장법

문무왕릉

X

호국적

발 해

굴식 돌방무덤

정혜공주 묘 (육정산)

X

고구려 영향, 돌사자, 모줄임

벽돌무덤

정효공주 묘 (용두산)

O

당 영향, 도교적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Ⅰ. 고구려

 

1. 고분 미술

 

(1) 초기 ~ 돌무지무덤 (積石塚, 석총)

 1) 돌무지무덤 : 돌을 쌓아 만든 무덤 (계단식)

 2) 장군총 (집안)


<돌무지무덤>

1) 요령 여대시의 다석곽식 돌무덤 등 예맥족 돌무덤의 전통에 연결

2) 4c 수혈식 적성총, 5c 횡혈식 적성총 - 피라미드

 

(2) 후기 - 굴식돌방무덤(토총) 橫穴式石室墳 (횡혈식석실분)

 1) 도굴이 쉽다.

 2) 만주 집안, 평안도 용강, 황해도 안악

 3) 널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

 

(3) 고분 벽화

 1) 초기 : 생활 표현

 2) 후기 : 추상화, 사신도, 상징적 그림

 3) 대표 고분

    a. 강서 대묘 : 사신도 (진취성) – 도교적

    b. 쌍영총 : 서역 계통의 영향 (돌기둥, 기사도)

    c. 각저총 : 씨름도, 별자리

    d. 무영총 : 무용도, 수렵도

    e. 수산리 고분 - 다카마쓰 벽화에 영향

    f. 약수리 고분(안악 3호분) : 생활상

    g. 덕흥리 고분 : 견우∙직녀 벽화

 


[장군총]

 

[굴식돌방무덤]

 

 

[각저총 씨름도]

 

[현무도]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청룡도]

 

[주작도]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수산리 고분벽화]

 

[안악3호분]

 

[수렵도]

 

[무용도]

 

2. 건축

   궁궐 : 안학궁 (620m) (장수왕)


3. 불상

 (1) 중국에서 불상 제작법 받아들임

 (2)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 : 독창 (북조의 양식을 따르기는 함)

 

[연가7년명 금동여래 입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