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y 한국사 ※

[삼국시대] 22. 백제의 예술 (벽돌무덤, 무령왕릉, 송산리고분군, 서산마애삼존불상, 미륵사지5층석탑, 정림사지5층석탑, 창왕명 석조 사라함)

소이나는 2019. 2. 9. 07:00
반응형


Ⅱ. 백제

 

1. 고분 미술

 (1) 한성 시대 : 계단식돌무지무덤 (고구려와 같은 계통) (서울 석촌동)

 (2) 웅진 시대

  1) 굴식 돌방무덤 : 공주 송산리 고분

  2) 벽돌 무덤 (塼築墳) (6세기 전반) [

    a. 송산리 6호분 : 남조계 벽돌 무덤, 사신도, 일월도

    b. 무령왕릉 : 중국 남조의 영향, 벽화 無, 묘지석 출토(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 송산리 고분군의 배수로 공사 중 우연히 발견

 (3) 사비 시대 = 굴식 돌방무덤 : 부여 능산리 고분 (규모가 작지만 세련)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무령왕릉]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 출토품]

 

2. 향로

 (1) 금동 대향로 (백제 금동 용봉 봉래산 향로) : 부여 능산리 고분 근처, 중국 남조의 문화에 영향

 (2) 도교 불교

 

3. 사찰 : 미륵사(7세기 무왕, 백제 중흥)

 

4. 불상 : 서산마애삼존불

 

5. 석탑

 (1) 익산 미륵사지석탑 (목탑의모습)

 (2)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안정적, 경쾌) : 백제대표석탑 → ‘평제탑’이라는 수모 (소정방이 백제 정발이라 기록)

 

6. 백제 창왕명 석조 사리함 : 부여 능산리 절터의 심초석(心礎石)에서 출토

    百濟昌王十三秊太歲在 丁亥妹兄公主供養舍利 (누이가 사리를 공양했다는 내용)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5층석탑]

 

[서산 마애 삼존불상]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창왕명 석조 사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