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의 보급
1. 시작 :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 고인돌
2. 특징 : 비파형 동검(요령식·만주식 동검, 곡인청동단검), 동물 장식, 북방 계통의 영향을 받음,
구리에 아연이 함유, 미송리식 토기
3. 사회적 변화
(1) 전문 장인 출현
(2) 계급 분화 : 사유 재산 제도, 계급
4. 유적지
(1) 북한 : 평북 강계 공귀리, 의주 미송리, 함북 회령 오동리, 나진 초도, 평양시 사동 구역 금탄리 남경
(2) 남한 : 충남 부여 송국리, 경기도 여주 흔암리, 파주 덕은리, 충북 제천 황석리, 전남 순천 대곡리
cf) 청동기 시대 탄화미 발견 :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부산 아치섬, 부안 토산리
cf) 송국리형 집터 - 바닥 중앙에 타원형 구덩이를 파고 양쪽 끝에 2개의 기둥을 세웠다.
- 서남, 동남 지역은 물론 일본에도 영향
5. 무덤 양식
(1) 고인돌 (지석묘): 정치권력, 경제력 반영
1) 탁자식(북방식) : 황해 안악
2) 바둑판식(남방식) : 전북 고창, 전남 보성
3) 개석식
4) 한반도를 중심으로 요동, 산동, 일본까지 퍼져있다.
(2) 돌무지무덤
(3) 돌널무덤 (석관묘)
6. 유물
(1) 석기
1) 농기구 : 반달 돌칼(추수용), 바퀴날 도끼, 흠자귀(유구석부 - 개간할 때 사용)
☞ 청동제 농기구는 없음
2) 부장품 : 간석검 (마제석검)
(2) 청동기 : 비파형 동검(경북 상주, 충남 부여), 거친무늬 거울(조문경 - 화장용이 아닌 의식용으로 사용)
청동도끼 (동부 銅斧) - 부채꼴 모양
(3) 토기
1) 미송리식 토기 : 밑이 납작, 손잡이, 집선무늬, 청천강 이북(남쪽은 無,) 길림, 요령
“납작한 밑 항아리 양쪽에 옆으로 손잡이가 ~~ 요령 일대에 ~~”
2) 민무늬 토기 (무문토기) : 청동기 대표, 팽이형, 화분형, 적갈색, 공렬문 손잡이
3) 붉은 간 토기 (홍도)
<참고>
1. 번개무늬가 있는 채색토기는 중국 토기의 영향을 받았다? (X)
2. 우리 민족의 주류가 형성된 시기는? ( 신석기 ~ 청동기 )
3. 동호의 유적에도 비파형동검문화가 발견된다.
4. 은·주의 청동기문화와 구별되는 개성을 지녔다.
5. 내몽고지역 오르도스식 청동기와 문화계통이 다르다.
cf) 오도르스식 검 1) 중국 북부의 오르도스(Ordos)지방에서 사용한 청동·철 단검 - 만리장성 주변, 네이멍구자치구 최남단 지역 등 2) 소유한 자의 신분과 권력을 상징하는 칼
|
* 유적지 비교
1) 구석기: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 연천 전곡리, 충북 단양 금굴, 웅기 굴포리 ,
충남 공주 석장리, 충북 단양 수양개
2) 신석기 : 서울 암사동, 황해도 봉산 지탑리, 김해 수가리, 평양 남경
3) 청동기 : 부산 동삼동 유적, 제주 한경 고산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 (1) | 2009.10.04 |
---|---|
고조선의 발전 (1) | 2009.10.04 |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0) | 2009.10.03 |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예술 (5) | 2009.10.03 |
철의 사용 (0) | 2009.10.02 |
신석기 시대 (2) | 2009.10.02 |
구석기 문화 (0) | 2009.10.01 |
선사 시대의 세계 (0) | 2009.10.01 |
민족 문화의 이해 (0) | 2009.10.01 |
우리민족의 보편성과 특수성 (1) | 2009.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