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개화당의 개혁운동 (갑신정변)

by 소이나는 2009. 11. 4.
반응형


 

 개화당의 개혁운동


Ⅰ. 개화당

 

 1. 형성


  (1) 정치 - 박규수, 유홍기 →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2) 온건 개화파

   1) 양무운동에 영향 받음 (중세처용)

   2)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3) 동도 서기론 - 윤선학, 곽기락    “바꾸려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

   4) 청, 사대당, 수구당

   5) 민씨에 참여

   6) 기술만 수용

 


  (3) 급진 개화파

   1) 메이지 유신에 영향 받음 (문명개화론)

   2) 김옥균, 박영호,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

   3) 개화당, 독립당

   4) 갑신정변

   5) 사상, 제도까지 수용


 2. 개화 시책 추진

  (1) 개화당이 고종의 신임을 받음

  (2) 유학생 파견

  (3) 박문국 - 최초 신문 ‘한성순보

  (4) 우정국 - 최초 우편

  (5) 치도국, 순경국 설치

  (6) 자금 부족, 일본 냉담, 청 견제로 한계



Ⅱ. 갑신정변 (1884)


 1. 배경

  (1) 민씨의 군권 장악

  (2) 차관 교섭 실패

  (3) 청군 철수

  (4) 일 공사의 지원 약속


 2. 경과


  (1) 우정국 사건 - 수구 사대당 살해 → 개화당 정부 (14개조)


  (2) 내용

   1) 청 사대 폐지, 자주독립, 대원군 송환

   2) 입헌군주제(최초시도), 내각제

   3) 인민평등, 인재 능력 등용, 내시 폐지 (불필요한 기관 폐지)

   4) 지조법 개혁

   5) 재정을 호조로 일원화

   6) 상공업 : ‘혜상공국’ 폐지

   7) 환곡제 폐지, 환상미 영구히 받지 않음

   8) 탐관오리 처벌

   9) 문벌폐지 (신분제 폐지) - 봉건타파

  10) 규장각 폐지

  11) 형사, 군사 개혁, 순사를 두어 도둑 방지

  12) 최인감형

  13) 4영 → 1영 / 근위대 설치

  14)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 모여 정령을 의결


  (3) 한계

   1) 위로부터의 개혁 : 민중과 유리, 토지제 개혁외면

   2) 일본에 의존 : 국방 개혁 소홀

   3) 청국 개입 - 3일 천하



 3. 결과

  (1) 한성 조약 체결 (1884) - 보상금, 공사관 신축비용

  (2) 톈진 조약 (1885) - 일·청의 군대 철수 - 파병시 미리 알릴 것 = 일본의 파병권 획득 → 후에 청일전쟁에 영향

  (3) 동도정권 재수립

  (4) 노비세습제 폐지 조치(1886)

 4. 영향 - 청의 간섭, 개화 단절

 5. 역사적 의의 - 우리나라 근대화 운동의 선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