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근대 교육, 국학연구

by 소이나는 2009. 11. 9.
반응형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Ⅰ.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1. 근대 교육의 실시


  (1) 원산학사 (1883)

   1)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2) 덕원 주민

   3) 무술, 외국어, 자연과학, 국제법


  (2) 동문학 (1883) - 영어, 통역관, 근대적 최초 관립학교


  (3) 육영 공원 (1886)

   1) 최초의 관립 학교

   2) 상류층에 영, 수, 지리, 정치 교육

   3) 좌원과 고관관리자체 중심 부원

   4) 길모아, 헐버트 (한국통사, 사민피지 = 세계지리서)


 2. 근대적 교육 제도의 발전

  (1) 갑오개혁 후 = ‘교육 입국 조서’ 반포 (1895)

      ☞ “교육은 실로 국가를 보존하는 근본이 된다. 교육은 그 길이 있는 것이니, 헛된 것과 실용적인 것을

          먼저 구별해야 한다. 이제 짐은 정부에 명령하여 널리 학교를 세우고 인재를 길러 새로운 국민의 학식으로써

          국가 중흥의 튼 공을 세우고자 하니, 국민들은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덕과 건강과 지식을 기를지어다.

          왕실의 안전이 국민들의 교육에 있고, 국가의 부강도 국민들의 교육에 있도다.”

      → 이후 소학교·중학교·사범학교·외국어 학교·의학교 등을 세워 관립학교 제도 확립 : 한성사범학교 (1895)

  (2) 교과서 - 국민소학독본, 초등본국역사

  (3) 소학교령 (1895)

  (4) 흥화학교 (1895) - 민영환

  (5) 한성영어·일어·한어학교

  (6) 한한학원 (1884)

  (7) 베론신학당 (1857) - 제천


 3. 개신교 계통의 사립학교

  (1) 배재 (1885) - 아펜젤러 (최초 사립학교), 감리교

  (2) 이화 (1886) - 스크랜튼 (최초 여자 사립학교)

  (3) 경신 (1886) - 언더우드 (최초 전문실업교육기관)

  (4) 정신 여학교 (1895) - 앨러스

  (5) 숭실 (1897) - 배어드 (최초의 지방 사립학교, 근대적 대학 교육의 시작) - 평양


 4. 광무개혁 이후

  (1) 1899 - 한성중학교, 한성의학교(지석영), 상공학교

  (2) 1900 - 광무학교


 5. 민족 운동가들의 사립학교

  (1) 을사 조약 이후

  (2) 보성 (1905) - 서울 = 이용익

  (3) 양정 (1905) - 서울 = 엄주익

  (4) 신민회

   1) 서전서숙 (1906) - 북간도(밀산부) = 이상설,  최초의 민족주의 교육기관 → 김약연이 명동학교로 개명

   2) 오산 (1907) - 정주 = 이승훈

   3) 대성 (1907) - 평양 = 안창호

   4) 양산 (1907) - 안악 = 김구

   5) 신흥 (1911) - 남만주 = 이시영

  (5) 숙명여학교 (엄귀비), 진명여학교(엄주원) - 1906

  (6) 휘문의숙(1905) - 민영휘


 6. 민족주의 교육의 발흥 배경

  (1) 학회설립

   1) 서북학회 - 이갑 (학보발행, 순회강연)

   2) 기호학회 - 이광종 (학보발행, 학교설립)

   3) 영남학회 - 장지연 (대한자강회)

   4) 호남학회 - 이채 (학보)

   5) 관동학회 - 남궁억 (황성신문)

   6) 흥사단 - 안창호 (흥사단보)

   7) 대동학회 - 김윤식 (대동전수학교)

   8) 여자교육회 - 진학신 (양규 의숙 설립)

  (2) 대학교육

 

 7.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

  (1) 보통학교령 (1906) - 관립 6년제 소학교를 4년제 보통학교로 개편

  (2) 사립학교령 (1908)



Ⅱ. 국학 연구의 진전

 

 1. 국학 연구 - 실학이 원류 - 민족의식 고취

  

 2. 국사 연구


  (1) 근대 계몽 사학의 성립

   1) 영웅전기 보급 (애국심 - 을지문덕, 강감찬, 이순신)

   2) 외국 역사서 번역

   3) 일제 침략 비판

    a. 황현 - ‘매천야록’, ‘절명시’ - 1910 을사조약 “요사스러운 기운이 가리워 임그별을 옮겨가고 ~”

    b. 정교 - 대동역사(1905), 대한계년사(1910)

  4) 일제 맹종 - 역사집략 (김택영, 1905)


  (2) 신채호

   1) 독사신론(1908)

   2) 역사 서술 -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문화사

   3) 이순신전, 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이태리 건국 삼걸전



  (3) 현채 - 동국사략, 유년필독, 월남망국사


  (4) 조선 광문회 - 고전 정리, 간행 (최남선, 박은식)

    * 박은식  - ‘한국통사’ = ‘’을 강조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안중근전, 연개소문, 동명성왕전


  (5) 메켄지 - ‘조선의 비극’, ‘자유를 위한 투쟁


  (6) 그리피스 - ‘은둔의 나라 한국


  (7) 헐버트 - ‘한국사’, ‘대동기년

 

  (8) 우기선 - 강감찬전


 3. 국어 연구

  (1) 국한문체의 보급

  (2) 서유견문 - 유길준 - 국한문채 보급에 공헌

  (3) 독립신문, 제국신문 - 한글

  (4) 황성신문 - 한글, 한문 혼용

  (5) 국문연구

   1) 국문연구소 - 지석영, 주시경

   2) 국어연구학회 (1908)

   3) 국어강습소

   4) 문법서

    a. 유길전 : 조선문전 (1895) - 최초의 근대 문법서

    b. 이봉운 : 국문정리 (1897) - 한글 전용, 띄어쓰기의 선구

    c. 지석영 : 신정국문 (1905) - 공식적 최초 국문 통일안 제시

                                → ‘·’를 없애고 ‘ㅣ’, ‘ㅡ’ 자의 합음으로 ‘ㅢ’자를 새로 만듦

    d. 주시경 : 국어문법 (1906) - 한글 맞춤법 통일안 확립


 4. 국학 운동의 의의

  (1) 민족의식 고취

  (2) 학문적 깊이에는 한계성 존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