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10. 남북국의 예술 (통일신라의 예술, 발해의 예술 - 불국사, 석굴암, 다보탑, 석가탑, 안압지, 14면체 주사위, 오대산 상원사종, 에밀레종, 김생, 보상화무늬 벽돌, 이불병좌상, 발해석..

by 소이나는 2012. 5. 5.
반응형

 

 




* 통일 신라


1. 특징 :조화미, 정제미

2. 건축
  1) 불국사 :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세련된 균형미)
      

  2) 석굴암 : 인공 석굴 (전실 - 땅을 상징, 후실 - 하늘을 상징)
      



  3) 안압지 : 조경설
      



  cf) 14면체 주사위 : 삼잔일거, 음진대소, 금성작무, 곡비즉진, 중인타비 등 글귀, 정사각 6개 육각 6개
      



3. 범종
  (1) 오대산 상원사 종
: 가장 오래된 범종 (725)
       


  (2) 성덕 대왕 신종 (복덕사종, 에밀레종) : 청동, 비천상
        



4. 조각
  (1)
무열왕릉비 받침돌
  (2) 성덕 대왕릉 둘레돌의 조각 : 사실적인 미
  (3) 불국사의 석등·법주사의 쌍사자 석등
: 균형


                       



5. 석탑
  (1) 신라 중대
     1) 감은사지 3층 석탑 : 장중
        


     2) 석가탑 (불국사 3층 석탑) : 가장 오래된 부도 (승탑)
         

     3) 다보탑
        



  (2) 신라 말기
     1)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2) 승탑·탑비
         a. 선종으로 유행
        b. 팔각원당형을 기본형, 승려의 일대기를 비에 새김
        c. 쌍봉사 철감 선사 승탑, 염거화상 부도탑, 고선사지 3층 석탑
,
            의성 탑리 5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실상사 3층 석탑
           
경주 창림사탑
(원탑유행)

         
 
                  [쌍봉사 철감 선사 승탑]                             [고선사지 3층 석탑]                             [화엄사 사사자 3층 석탑]

6. 불상
  (1) 석굴암의 본존불, 보살상
  (2) 균형, 불교의 이상 세계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함



[불상]

제1기 (676~700) - 금동불 - 아미타불, 미륵불금제여래상
                             마애불 - 경주배리삼존입상, 봉화마애여래좌상, 영주삼존마애상, 마애삼존불상
제2기 (중대, 8c) - 금동불 - 아미타여래좌상(불국사), 비로자나불상(불국사), 금동약사여래입상(백률사)
                            석   불 - 감산사지 아미타불입상, 미륵보살상, 석굴암(경덕왕)
                            석굴암 - 전방후원형, 부신장상, 인왕상, 사천왕상 등
제3기 (9c) - 비로자나불 성행 : 지권인 (智拳印)을 함 → 남원 실상사 철불, 장흥 보림사 철불, 철원 도피안사 철불)


7. 고분
  (1) 화장법 유행 : 호국적 성격 ➝ 대표 : 문무대왕릉(대왕암)


                                                             

  (2) 굴식 돌방무덤의 등장 : 주위 둘레돌, 12지신 상 (통일신라 독특)
  (3) 성덕대왕릉, 김유신 묘, 괘릉

8. 서예
  (1) 김생 : ‘집자 비문’(사람은 통일신라사람, 작품은 고려시대 작품), 해동 필가의 조종으로 원화첩은 전해오지 않는다.
  (2) 김인문 : 무열왕릉비의 비문, 화엄사의 화엄경 석경, 황희지체
  (3) 요극일 : 구양순체

  
   [김생의 글씨]

9. 그림 :

김충의









* 발해

1. 건축 - 상경터 : 남북으로 넓은 주작대로(당), 온돌장치(고구려)

  [상경용청부]

2. 고분
  (1) 정혜 공주 묘 : 육정산 고분군, 굴식 돌방무덤, 돌사자상, 모줄임 천장 → 고구려 영향
  (2) 정효 공주 묘 : 용도산 고분군, 벽돌 무덤, 불로장생 사상, 도교적 성격 → 당 영향

      
      [돌사자상]                                                [정효공주묘]


3. 조각, 공예
  (1) 불상, 기와, 벽돌 : 고구려 계승
     1) 보상화 무늬 벽돌
     2) 이불병좌상 - 법화경에 의거한 조상례, 고구려 전통 반영 (동경)
     3) 도제의 보살상
  (2) 석등 : 웅대
  (3) 자기 공예


[발해 석등]                                                   [이불병좌상]                                   [보상화 무늬 벽돌]


4. 발해 미술의 특색 : 웅장, 건실


<문제>

1. 경주 안압지, 월성 해자, 함안 성산산성, 부여 궁남지에서 발견된 고대의 기록을 전하는 유물은? ☞ 목간
2. 백제 미륵사지 석탑과 신라의 분황사탑은 각각 목탑과 전탑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O)
3. 백제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벽화를 그려 넣지 않았다? (X)
    ☞ 송산리 6호분 일월도 등
4.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처음에는 사신도가 유행했으나 점차 생활풍속도로 변화했다? (x)
    ☞ 앞뒤가 바뀜, 초기 생활풍속도(생활)에서 후기 사신도(추상)
5. 통일 신라 때 무덤의 봉토 주위에 둘레돌을 두르고 12지 신상을 조각하는 신라만의 독특한 양식이 나왔다? (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