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35. 고려 무신 이후 불교 (조계종, 보조국사 지눌,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혜심, 유불일치설, 충지, 요세, 벽련결사, 보우, 임제종, 지공, 혜근대장경, 초조대장경, 속장경, 재조대장..

by 소이나는 2013. 10. 15.
반응형


Ⅲ. 결사 운동, 조계종* 결사운동 - 지방민의 적극적 호응1. 무신집권기(중기)의 불교(1) 지눌 (知訥, 보조국사)1) 수선사 (修禪社) 결사 제창 (순천 송광사)a. 명리에 집착하는 타락상 비판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 분리 될 수 없다.b. 수선사 결사운동, 독경과 선 수행, “부처는 한마음을 깨달았다.” (승려 본연의 자세)2) 조계종의 성립 a. 정혜쌍수 (定慧雙修) : 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 둘이 아니라는 사상 체계, 선정과 지혜를 같이 닦아야 한다.  [보조국사 지눌 초상화]b. 돈오점수 (頓悟漸修) : 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 꾸준한 수행으로 깨달음 확인을 강조 c.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상적 터전 마련3)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포용 - 선교 일치 사상을 완성4) 화엄론절요 (華嚴論節要)5) 간화선(看話禪, 화두(話頭)를 근거로 수행하는 참선법)의 주창“정(定)은 본체이고 혜(慧)는 작용이다. 작용은 본체를 바탕으로 해서 있게 되므로 혜가 정을 떠나지 않고 본체는 작용을 가져오게 하므로 혜를 떠나지 않는다.” - 보조국사 법어“범부가 깨치지 못하였을 때에는 자신이 바로 참된 법신인 것을 모르며, 또 자기의 영지가 곧 참된 부처인 줄 몰라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헤매다가 어느 날 문득 자신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깨닫게 된다.” “지금 불교계를 보면, 아침저녁으로 행하는 일들이 비록 부처의 법에 의지하였다고 하나, 자신을 내세우고 이익을구하는 데 열중하며, 세속의 일에 골몰한다. 도덕을 닦지 않고 옷과 밥만 허비하니, 비록 출가하였다고 하나무슨 덕이 있겠는가?” - 권수정혜결사문“한마음(一心)을 깨닫지 못하고 한없는 번뇌를 일으키는 것이 중생인데 부처는 이 한마음을 깨달았다. 깨닫고 아니 깨달음은 오직 한마음에 달려 있으니 이 마음을 떠나 따로 부처를 찾을 것이 없다. ~하루는 같이 공부하는 사람 10여 인과 약속하였다. 마땅히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같은 모임을 맺자. 항상 선을 익히고 지혜를 고르는데 힘쓰고, 예불하고 경정을 읽으며 힘들여 일하는 것이 이르기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경영한다. 인연에 따라 성품을 수양하고 평생을 호방하게 고귀한 이들의 드높은 행동을 좇아 따른다면 어찌 통쾌하지 않겠는가” (2) 혜심 (慧諶, 진각국사)1) 유불 일치설, 성리학을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마련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내가 두 성인을 중국에 보내 교화를 펴리라. 한 사람은 노자로,그는 가섭보살이요. 또 한사람은 공자로, 그는 유동보살이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다.’라고 하였다. 즉 유교나도교가 방편에서는 불교와 다를지 몰라도, 결국 진리는 같다는 말이다.”2) 지눌의 제자3)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진각국사 어록」4) 수선사의 교주였다.5) 유교를 공부하다 출가하였다.(3) 충지 (冲止, 원감국사) - 원감록 (圓鑑錄) : 영남지방 시대상황을 잘 보여줌                   [진각국사 혜심](4) 요세 (了世, 원묘국사)1) 백련결사 (白蓮社) 제창a. 백성들의 신앙적 요구b. 강진 만덕사에 백련결사 제창, 자신의 행동을 진정으로 참회하는 법화 신앙에 중점cf. 백련사는 충렬왕 대에 왕실의 원찰인 묘련사로 바뀌었다.2) 수선사와 양립3) 수행 - 수참(참회), 미타정토, 참회멸죄                                    [백련사 – 전남 강진]4) 최우 후원수선사(1204) 지눌 조계종 독경과 선 수행, 노동에 노력 대몽 항쟁 송광사(순천) 개혁적 승려, 지방민백련사(1208) 요세 천태종 법화신항(참회) 기층사회의 교화 만덕사(강진) 지방민2. 원 간섭기 (권문세족) - 말기(1) 불교계의 폐단과 변모1) 개혁 운동의 의지가 퇴색2) 불교의 세속화 : 부패3) 귀족적, 보수적 경향4) 천태종의 백련사는 왕실의 원찰인 묘련사로 변질, 최씨 정권과 밀착되었던 수선사는 탄압(2) 보우 (普愚)1) 교단 통합•정리2) 임제종 (臨濟宗, 선종 계통) : 원나라에서 들어옴 (전통 불교와 다른 새로운 불교 유행)3) 불교계의 폐단을 바로 잡는 우선 과제라 생각 교단 정리(3) 지공 (指空) : 인도의 선종을 도입 (인도 마갈타국(摩羯陀國) 사람)(4) 혜근 (惠勤) - 조계종 발달    [혜 근](5) 라마교 전래T) 보우가 라마교를 들여왔다? (X)3. 신진 사대부의 불교 비판* 정도전 – 불씨잡변 (佛氏雜辨) : 조선 초에 저술 불교 비판1. 의통, 제관의 천태종 연구 (광종, 전기) ➝ 의천 속장경 간행 (숙종, 중기) ➝ 선종 중심 통합 (후기) ➝ 라마교 수입 (원)2. 대승기신론소(통일 신,라 원효) → 화엄법승일계도 (의상) ➝ 천태사교의(제관 ,초기)➝ 신편제종교장총록(중기, 의천) → 지눌 ➝ 해동고승전(후기, 각훈)3. 교관겸수를 강조하는 불교 종파인 천태종이 개창된 것은 고려 중기 때이다.4. 고려시대 국가 불교가 발전한 사실과 관련(1) 승과를 실시해 법제를 부여(2) 팔관회, 연등회 성대히 거행, 왕이 보살계를 받는 보살계도량이 별도로 열렸다.(3) 승정을 담당한 승록사라는 기구가 있었으며 승군이 조직되어 국방의 일익을 담당5. 의천의 종파는 무신 정권의 후원을 받았다? (X) ☞ 의천은 천태종, 무신은 조계종6. 교관겸수를 주장하는 사람은 대장경에 대한 주석서를 모아 교장을 편찬하였다? (O) ☞ 의천7. 정혜상수를 주장하는 사람은 수선사 결사를 제창하여 불교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O) ☞ 지눌8. 승록사는 고려 때 처음 설치하여 도승록, 부승록, 승정, 승유 등의 승관을 두고 중국에서와 같은 승려의 적장과 인사 관계를 관장하게 하였다? (O)9. 일연으로 대표되는 선종 가지산파가 부흥하였다? (O)Ⅳ. 대장경의 간행1. 간행 배경(1) 의미 - 대장경은 경전을 총칭하는 말1) 경 (經)  : 부처가 설법한 것 - 근본 교리2) 율 (律) : 윤리조항, 생활규범3) 논 (論) : 이론과 해석을 집대성(2) 배경 - 불교 사상 체계화, 외적 격퇴 염원2. 초조대장경 (初雕大藏經)(1) 조판 목적 : 현종 때 거란 침입 (2차), 대장경 간행 → 문종 때 완성               [초조대장경] (2) 조판과 보관 : 대구 팔공산 부인사 ➝ 불탐 (소실) 3. 교장 (속장경, 續藏經)(1) 목적 : 의천 중심 흥왕사에서 초조대장경 보완(2) 불서 목록 작성 : 신편제종교장총록 을 만듦(3) 교장도감 (敎藏都監) 설치 - 흥왕사(4) 속장경도 소실4. 재조대장경 (再雕大藏經, 팔만대장경) (1) 불경전집, 송과 거란 등 여러 장경을 대조하여 만듦(2) 목판인쇄술 발달(3) 관련 인물 : 수기(4) 최우 집권시, 강화도에 대장도감 설치 (여러 장소에서 만들어짐)           [해인사 제조대장경, 팔만대장경](5) 몽골 침입 (고종) → 몽골 때 초조대장경 소실로 고종 때 다시 만든 것(6) 현재 - 합천 해인사 (조선 세조 15c, 장경판전)cf. 유네스코 : ‘고려 대장경판, 제경판’, ‘조선 왕실 의궤’, ‘화성 성역 의궤’초조대장경 현종~선종 거란 격퇴, 교리 정리 대구 부인사 보곤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남선사에 있음)교장(속장경) 선종~숙종 교리정리, 장소(주석서)모음 흥왕사 보관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동대사에 있음)재조대장경 고종(최우) 몽골 격퇴, 교리 정리 강화도에서 판각, 해인사에 보존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40. 고려 청자, 고려 자기 공예, 고려 금속공예, 고려 나전칠기, 고려 범종 (용주사종, 천흥사종, 나전 국당초문 염주함, 청동제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청자 삼가아 운학문 매병, 청자 ..  (6) 2014.01.15
[고려] 39. 고려 건축, 고려 조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고려 불상 (주심포식, 다포식, 개성만월대, 강릉 객사문, 안동 이천동 석불, 정토사 흥국법사 실상탑, 공주 갑사 승탑, 고달사지 승탑, 법..  (6) 2014.01.14
[고려] 38. 고려시대 문학 (고려시대 책, 파한집, 죽림고회, 이인로, 국순전, 패관문학, 동명왕편, 진화, 이곡, 서경별곡, 청산별곡, 가시리)  (6) 2014.01.13
[고려] 37. 고려 시대 과학기술, 인쇄술 (사천대, 태의감, 향약구급방,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서적원, 누전선, 신기전)  (0) 2013.10.17
[고려] 36. 고려시대 도교, 풍수지리사상 (복원궁, 비보사찰, 한양명당설)  (0) 2013.10.16
[고려] 34. 고려 중기 불교, 대각국사 의천 (교관겸수, 천태종, 의천 저서)  (3) 2013.10.14
[고려] 33. 고려 초기 불교 사상 (승록사, 의통, 제관, 고려 광종의 불교 정책)  (1) 2013.10.13
[고려] 32. 고려시대 과거제도 (제술업, 명경업, 승과, 식년시, 지공거, 음서제도, 관리등용)  (5) 2013.10.12
[고려] 31. 고려 시대 교육, 교육기관 (교육조서반포, 국자감, 문신월과법, 고려 사학, 12도, 9재 학당, 7재, 섬학전, 경사6학, 청연각, 보문각, 양현고, 서적포, 비서성, 수서원)  (5) 2013.10.11
[고려] 30. 고려시대 역사서 (7대실록, 황주량, 편년통록, 고금록,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연, 김부식, 해동고승전, 동명왕편, 제왕운기, 사략, 이제현, 편년체, 기전체, 기사본말체, 강목체)  (0) 2013.10.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