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통일신라

by 소이나는 2009. 10. 7.
반응형


 * 통일 신라 

 

 

박혁거세~지증왕

법흥왕~진덕여왕

무열왕~해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유사

상고

중고(불교식 왕명기)

하고

삼국사기

상대

중대

하대

혈 통

성골

진골

계 열

내물계 김씨

무열계 김씨

내물계 김씨

왕 권

약함

강함

약함

수 상

상대등

시중(중시)

상대등



Ⅰ. 통일 신라의 발전

 

 1. 통일 직후 신라의 상황 : 번영, 생산력 증가

  

 2. 신라 중대의 정치 (왕권강화)

  

  (1) 무열왕 (654 ~ 661)

   1) 직계의 세습 : 왕권 강화

   2)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3) 상대등 세력 역제

   4) 김유신의 후원 - 알천과의 경쟁에서 승리

   5) 갈문왕 제도 폐지

   6) 사정부 정비

   7) 중국식 왕호

   8) 백제 멸망 (660)

   9) 이방부격 60여조 수정 (율령개편)


  (2) 문무왕 (661 ~ 681) : 왕권의 전제화

   1) 귀족파 숙청 - ‘불휼국사’의 명분

   2) 좌사록관, 우사록관 설치 - 왕권파에게 녹읍지급

   3) 귀족파 반란 - 박도유, 수제, 대토


  (3) 신문왕 (681 ~ 692)

   1) 중앙 관제 : 14부 완성, 예작부 설치

   2) 지방 관제 :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3) 군사 제도 : 중앙군 9서당 / 지방군 10정

   4) 교육 제도 : 국학, 유학

   5) 토지 제도 : 관료전을 지급(687) - 수조권만 인정 / 녹읍 폐지

   6) 사회 정책 : 귀족 숙청 ➝ 김흠돌의 모역 사건

   7) 사상 정책 : 유학 강조  /  의상 : 화엄종 개창

   8) 만파식적 (신성한 악기) : 왕실의 번영과 평화를 상징

                              (단군신화의 처부인, 진평왕의 옥대, 이성계의 금척 같은 성격)

      "이때 나타난 용에게 왕이 대나무의 이치를 물으니 용은 비유하건대 ~ 두 손이 마주치면 능히 소리가 나는지라.”  

   9) 5묘의 확립

  10) 달구벌 천도계획 - 실폐


  (4) 효소왕


  (5) 성덕왕 (702 ~ 737)

   1) 백성에게 정전 지급, 민생 안정 (722)

   2) 패강 이남 확보 - 김정절 파견


  (6) 경덕왕 (742 ~ 765)

   1) 중시의 명칭을 시중으로 격상 

   2) 불국사, 석굴암, 성덕 대왕 신종

   3) 국학에 제업박사 설치

   4) 정찰 설치 - 백관 규찰 목적

   5) 한화정책

   6) 녹읍부활


  (7) 혜공왕

   1) 태후의 섭정 - 만월부인

   2) 96각간의 난 - 귀족난

   3) 난 - 김융, 김은거, 짐지정, 염상·정문

   4) 혜공왕 피살 - 김양상(선덕왕), 김경신


  (6) 신라 중대 성격

   1) 귀족 세력의 약화

   2) 6두품 세력의 부각

    a. 왕과 결탁

    b. 집사부 시랑직에 진출하여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동

   3) 전제 왕권의 동요

    a. 경덕왕부터 흔들림

    b. 결과 : 녹읍 부활, 사원의 면세전이 늘어나 재정 압박


   cf) 녹읍은 귀족, 정전농민에게 지급


 


Ⅱ. 신라 말기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1. 신라 말기 사회의 동요

  

 (1) 선덕왕 - 김양상 (내물계)

  1) 귀족연합정권  2) 상대등, 부군직 부여


 (2) 원성왕 (785)

  1) 무력으로 왕통승계 - 무열계 김주원 추대에 김경신이 즉위

  2) 5묘제 쇄인

  3) 독서삼품과(독서출신과) - 관료양성 : 성적에 따라 관리를 임명 → 실패

  4) 근친 왕족 중심 운영


 (3) 애장왕 (800)

  1) 불사 창건 금지   2) 12도에 사신 파견


 (4) 헌덕왕 (809)

  1) 애장왕 살해 - 상대등 김언승

  2) 초적봉기 (818)

  3) 김헌창의 난 (822) - 백제지역, 국호 장안, 연호 경운

     ☞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과 관련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의 계기가 된 사건

  4) 김범문의 난 (825) - 평양


 (5) 흥덕왕 (826)

  1) 청해진 (828) - 장해보 : 대사 임명

  2) 지방세력 성장 - 당성진 설치 (829) / 사찬 중위제

  3) 집사부를 ‘집사성’으로 개칭

  4) 사치금지령


 (6) 민애왕 - 김우징이 살해

 (7) 신무왕 (김우징)

 (8) 문성왕 (839) - 장보고의 난

 (9) 경문왕 (861)


(10) 진성여왕 (887)

  1) 정치해이

  2) 원종·대노의 난 (889)

  3) 양길, 기휜, 견휜 세력 봉기

  4) 적고적의 난 (896) - 붉은 바지


(11) 효공왕 (879) - 궁예, 견휜


(12)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 박씨 성(姓)도 즉위


(13) 경순왕 - 멸망


[혜공왕과 신라 하대의 사회 동요]

 

768 - 대공의 난

770 - 96각간의 항쟁

 

774 - 김양상 (선덕왕) 정권 장악

780 - 김지정의 난 (실패)

809 - 한덕왕 즉위

822 - 무열왕의 후예 김헌창의 난

825 - 김범문의 난 (김헌창의 아들)

838 - 김우징, 김양의 반란

839 - 김우징이 신무왕으로 즉위

846 - 장보고의 난

889 - 원종·애노의 농민군 사벌주 봉기

896 - 서남 지방에 적고적이 봉기

 


 2.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

  (1) 무열계의 몰락

  (2) 왕위 쟁탈전의 전개 :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며 신라 하대 시작

  (3) 지방에 대한 통제 약화

   1) 김헌창의 난 (822) - 아버지 김주원이 내물계 원성왕에 밀리자 원한

                        ➝ 헌덕왕 때 [국호 장안], [연호 경운]으로 하고 반란

   2) 김범문의 난 (825) - 김헌창의 아들로 고달산(여주)에서 난 ➝ 실패

  (4) 귀족 연합 정치 운영 : 시중보다 상대등의 권력이 큼


 3. 진골 귀족의 모순

  (1) 골품제도의 모순 : 불교, 화랑도를 잊음

  (2) 국가 재정의 압박 : 녹읍


 4. 농민의 몰락

  (1) 대토지 소유 확대

  (2) 수취 체제의 모순

  (3) 민란의 발생 : 원종과 애노의 난 (상주) = 진성여왕 시기


 5. 호족 세력의 성장

  (1) 성격 : 지방 행정, 군사권 장악, 경제적 지배, 스스로를 성주 또는 장군이라 칭

  (2) 유형

   1) 중앙 귀족 출신 : 김주원, 김순식

   2) 촌주 출신 : 자기 지역

   3) 해상 세력 : 작제건

   4) 군진 세력 : 장보고

   5) 초적 세력 : 양길, 궁예 (농민, 하층민 중심)

  (3) 6두품과 제휴 고려 왕조 건설 (x- 진골과 제휴)


6. 사원의 폐단   


7. 6두품의 개혁 시도

  (1) 새로운 유교 정치 이념, 과거제도 제시 (최치원 - 시무 10조)

  (2) 반신라적 성향


 8. 복합적 사상의 유행

  - 풍수지리설, 선종, 도교, 노장 사상, 최치원 4산 비명


 

 

중대 (무열왕 ~ 혜공왕)

하대 (선덕왕 ~ 경순왕)

왕위 세습

진골 (무열계 직계)

진골 (내물계 방계)

정  치

1) 왕권의 전제화

2) 집사부 시중 세력 강화

3) 6두품의 정치적 진출 (국왕의 조언자)

4) 상대등 약화

5) 귀족 숙청 - 김흠돌의 모역 사건

1) 귀족 연합 정치 (왕권 약화)

2) 집사부 시중 세력 약화

3) 6두품 세력 약화 (반신라적)

4) 상대등 세력 강화

5) 왕위 쟁탈전 : 김헌창의 난

지방 행정

1) 9주 5소경 (지방 행정 조직)

2) 9서당 10정 (군사조직)

1)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제 약화 (지방 분권화)

2) 농민 반란(초적) : 원종, 애노의 난

사  회

1) 중앙 집권화

2) 골품 제도

1) 지방 분권화

2) 골품제 동요

토지 제도

   관료전, 녹읍폐지, 정전, 녹읍부활

   녹읍소유, 농장 확대

문  화

1) 화엄종 (교종)

2) 조형 미술 발달, 귀족 중심 문화

3) 유교 정치 이념 확립 : 국학

1) 선종, 풍수지리설 : 호족, 6두품

2) 조형 미술 쇠퇴

3) 호족 중심, 소박한 문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