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의 통치 체제,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by 소이나는 2009. 10. 8.
반응형
 

 

통치 조직의 정비


Ⅰ. 삼국의 통치 체제

 

 1. 성격

  (1) 초기 : 부족적

   1) 지배 집단의 성장 : 고구려, 백제의 5부 /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 집단

   2) 왕권의 미약

  (2) 후기 : 행정적

   1) 관등제의 정비

   2) 왕권의 강화


 2. 귀족 합의 기구

  (1) 기능 : 왕권 견제

  (2)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 제가회의 “감옥이 없고 제가들이 논의하여 사형 ~ 처자는 몰수해 노비로 한다.”


 3. 관직 체계의 운영

  (1) 신분제에 의하여 제약

  (2) 신라 : 골품 제도와 결합


 4. 지방 통치

  (1) 초기 : 성·촌 단위 개편 ➝ 한계 : 자치가 유지

  (2) 후기

   1) 부·방·주 단위로 개편

   2) 말단 행정에는 촌주 (중앙에서 파견한 것 아님)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관  등

10여 관등(형, 사자)

16관등 (솔, 덕)

17관등(찬, 나마)

 

중앙관제

내평, 외평, 주부

6좌평, 22부(중국식)

병부 등 10부

집사부 등 14부

3성6부(중국식)

수  상

대대로 (막리지)

상좌평(내신좌평)

상대등(선출)

시중, 중시 (임명)

대내상

수  도

5부(고국천왕)

5부

6부

 

지  방

5부(욕살), 

성(처려근지, 도사)

5방(방령) 

→ 아래 군장

5주(군주)

9주(총관➝도독)

15부 62주

특수구역

3경제

(국내성, 평양성, 한성)

22담로 (무령왕)

(웅진시대)

2소경

(동원경, 중원경)

5소경

(사신)

5경제

(지방문화 보급)

군사제도

대모달, 말객 (지휘)

방령, 군장

서당, 6정

9서당, 10정

10위, 대장군

합의제도

제가회의

정사암 회의

화백 회의

정당성


 * 고려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 조선 (의정부, 비변사)

 


Ⅱ. 고구려

 

 1. 중앙 관제

  (1) 10여 관등 편제 : 대대로, 태대형, 태다사자, 대사자 등    (형 : 연장자,  사자; 조세 수취)       

     cf) 연맹 왕국 - 이원적 구조

       4c - 사자계 우위

       6c - 형(兄)계 우위 (12관등, 대대로)

       7c - 사자계 우위 (14관등 )

  (2) 수상 : 대대로(대막리지) - 3년에 한 번씩 선거

  (3) 제가회의 주재자 - 상가(相加) (→ 후에 ‘국상’)

  (4) 관칙

   1) 발고추가 - 빈객을 관장하는 직무

   2) 국자박사, 대학사

   3) 대모달 (대당주)

   4) 말객 - 대형 이상 관등 → 1관직 복수 관등제 실시


 2. 지방 조직

  (1) 수도 : 5부  / 지방 : 5부  /  장관 : 욕살  / 성 : 처려근지(도사), 가라달, 누초를 다스림

     * 5부 - 부족적 성격에서 행정적으로 변화 - 내부, 우부, 후부, 좌부, 전부

  (2) 특별 행정구역 : 3경제 - 국내성, 평양성, 한성(재령)

  (3) 읍락 - 종족에 따른 차등

 



Ⅲ. 백제

 

 1. 중앙 관제


  (1) 초기 - 한성시대

   1) 5부 (고이왕) - 동·서·남·북·중부

   2) 좌장 설치 - 군사 일원화

   3) 좌평, 귀족제 (정사암회의)

    a. 좌보, 우보, 좌평 설치

    b. 5좌평 체계 - 사비천도 전까지

   4) 솔계, 덕계 관등 - 신지·읍차에게

  (2) 관등제 정비 : 수상[상좌평],  6좌평 이하 16관등

   1) 6좌평 :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에서 비롯 ➝ 「주례」의 6관

      ☞ 내신(왕명출납), 내법(의례), 조정(형벌), 내두(재정), 병관(국방), 위사(숙위, 경비)

   2) 특징 : 고구려, 신라 보다 정비됨

  

*16관등 (삼국사기, 주서)

 

관등

관복

허리띠

장식

1

좌평

자주색

은화관식

(모자장식)

2

달솔

3

은솔

4

덕솔

5

한솔

6

나솔

7

장덕

빨간색

자 색

내용 無

8

시덕

검은색

9

고덕

붉은색

10

계덕

푸른색

11

대덕

노란색

12

문독

푸른색

13

무독

흰색

14

좌군

15

진무

16

극우

   

  (2) 사비 천도 후 : 22부


 2. 지방 조직

  (1) 수도 : 5부   /   지방 : 5방 (5방의 장관 = 방령) /   방아래 군(군장)

      * 방령 - 달솔 관등자 임명 → 방령 밑에 방좌를 둠

  (2) 22담로 : 웅진시대 - 간접지배에서 → 직접지배 (지방관 ‘태수’ 파견)

  (3) 사비

   1) 방리제 - 5부 (상·전·중·하·후부), 5항

   2) 5방 - 37군 [방중 → 군장, 군령] - 200성(현) [성주, 도사]

   a. 5방 - 동방 (득인성) - 충남 은진 / 서방 (도선성) / 남방 (구지하성) - 전남 구례 /

            북방 (웅진성) - 공주 / 중방(고사성) - 전북 고부

   b. 촌락 - 성현 / 편호제 실시 - 호적 작성 : ‘전정호구’기준 / 재지 세력 약화  - 재지세력은 방사, 군사, 성사로 임명

 


Ⅳ. 신라

 

 1. 중앙 관제

  (1) 6부 - 사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정량부

   1) 내물 이후

   2) 양부 - 국왕배출

  (2) 법흥왕 : 17관등제, 병부

  (3) 진흥왕 - 사정부(관리규찰), 품주 (국가재정)

  (4) 진평왕 : 위화부·조부·예부

  (5) 진덕 여왕 : 집사부, 창부

  (6) 관청

   1) 4단계 체계 - 장관 (令) / 차관 (卿) / 실무 (대사) / 잡무 (史)

   2) 1관직 복수관등군

   3) 국왕 근시기구 - 사인 (법흥왕) / 이내객 (진흥왕)

   4) 왕실 업무

     a. 초기 - 대궁, 양궁, 사량궁 별로 운영

     b. 진평왕 - ‘내성’설치 (장관 : 사신)


 2. 지방 조직

  (1) 수도 : 6부   /   지방 : 5주   /   장관 : 군주   /   주 밑에 군(태수), (현량)

  (2) 2소경 : 중원경(충주),    동원경(강릉)

  (3) 주 - 군주 (지증왕때 ‘실직주’가 처음)

  (4) 소경 - ‘아시촌’에 소경이 최초 (지증왕)

  (5) 군 - ‘당주’파견 (→후에 ‘태수’로 명칭 변경)

  (6) 성(촌) - ‘도사’파견 / 재지세력 존재 → 법흥왕은 이에 11개의 외위를 둠

   1) 촌주 - 재지 세력 중 가장 유력자로 임명, 복수 존재

   2) 사인, 군사


Ⅴ. 남북국의 정치 조직

 

 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


  (1) 중앙 관제 -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 - 제1관등인 이벌찬이 임명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

     b. 병부 강화 - 6관등제 /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총괄 최고 관부 부재

   3)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

   4)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

   5)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6)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

  (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 융합 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관부

시기

업무

발 해

고 려

조 선

근대 이후

집사부

진덕여왕

국가 기밀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통리기무아문

병 부

법흥왕

군사·국방

지부

병부

병조

군무아문

조 부

진평왕

공물·부역

인부

호부

호조

탁지아문

창 부

진덕여왕

재정·회계

위화부

진평왕

관리 임명

충부

이부

이조

내무아문

예 부

의례·교육

의부

예부

예조

외무아문, 학무아문

영객부

외교·사신접대

 

승 부

마정·육상 교통

좌이방부

진덕여왕

형률·노비

예부

형부

형조

법무아문

우이방부

문무왕

선 부

선박·해상교통

 

공장부

신문왕

수공업

신부

공부

공조

공무아문, 농상아문

예작부

토목·영선

사정부

무열왕

관리 감찰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도촬원

수  상

시중

 

대내상

문하시중

영의정

 

합의기관

화백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

비변사

통리기무아문


 

[김찰기관] (통일신라) 사정부 ➝ (발해) 중정대 ➝ (고려) 어사대(순마소) ➝ (조선) 사헌부

           ➝ (갑오개혁) 도찰원 ➝ (현재) 감사원

 

[대학]  (신라) 국학 → (발해) 주자감 → (고려) 국자감 → (조선) 성균관

 

[왕의 교서] (고려) 한림원 → (조선) 예문관

 

[언론 자문] (고려) 대성 → (조선) 사간원, 홍문관 → (근대 이후) 중추원

 

[출납 회계] (고려) 삼사 → (근대 이후) 회계심사원

 

[왕실업무] (고려) 중추원, 밀직사 → (조선) 승정원 → (근대이후) 궁내부

 

[도서보관] (발해) 문적원 → (고려) 비서성, 수서원 → (조선) 규장각

 


 

 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

  (1) 9주

   1) 장관 ➝ 총관( 도독) :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2) 촌주

   3) 외사정 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 (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

  (3)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회유·감시, 문화보급

   2) 장관 - ‘사신’

  (4) 군 - 태수 / 1인 외사정

  (5) 현 - ‘소수’, ‘현령’파견

  (6)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

  (7)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 → 고려 때)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

중원경       - 2소경에도 있음, (통일 전에 설치)



 3. 발해의 중앙 관제

  (1) 초기 - 군정합일

  (2) 문왕 - 중국식 관제(3성 6부제, 독자성은 지님)

  (3) 국왕 중심

   1) 성왕(가독부 - 발해말로), 대왕(기하 - 발해말로) 중심

   2) 왕위계승 (장자상속) → 동궁제 (문왕 때부터)

   3) 불교 장려 - 전륜성왕

  (4) 3성 6부 1대 6대 7시 1감 1국

   1) 합의 기구 : 정당성 - 그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 통괄

   2) 6부 - 이원적 조직 : 좌사정 = 충인의 - 3부   /   우사정 = 지예신 - 3부 (유교적)

   3) 7시 - 전중시 (궁정생활담당)   / 태상시 (예의, 제사) / 사빈시 (외국사신 접대) / 종속시 (왕족사무관장)

            사장시(재화, 보관, 무역) / 사선시 (주례, 선식) / 대농시 (창고, 영전)

    

*발해 중앙 관제

 

왕 

 

1. 3성 (중국식 관제)

 (1) 정당성 (상서성) -[6부 : 좌사정, 우사정]

 (2) 선조성 (문하성)

 (3) 중대성 (중서성)

 

2. 고려와 비슷

 (1) 중정대 (어사대) - 감찰하는 기능

 (2) 문적원 (비서성) - 서적 관리

 (3) 주자감 (국자감) - 중앙 최고 교육 기관

 



 4. 발해의 지방 제도 : 5경 15부 62주

  (1) 5경 : 상, 중 , 남, 서, 동

     * 동경성 - 주작대로, 바둑판 같은 조방제 시행

  (2) 지방 행정

   1) 15부 : 도독

     * 교통로 - 용원부(일본도), 남해부(신라도), 압록부(조공도, 당), 장령부(영주도), 부여부(거란도)

   2) 주·현 : 자사(주) 파견, 현승(현)을 파견

   3) 촌 - 지방관(고구려인)  /  자연부락 - 수령(토착)

  (3) 독주주 - 부에 속하지 않는 주 (완충지대) → 조정에서 직접통치


Ⅵ. 군사조직

 

 1. 삼국의 군사 제도

  (1) 특징 : 일원적 조직,  주민통치

  (2) 고구려

   1) 중앙 : 대모달(= 막하라수지, 대당주), 말객 (= 말약, 군두 - 1천 지휘) 등 군관이 지휘

   2) 지방 : 욕살, 처려근지, 말객

  (3) 백제 

   1) 중앙 - 5부(각 500) - 달솔이 지휘

   2) 지방 - 방 = 방령이 지휘 / 군 = 군장 (ex. 풍달군장, 흑지상지) / 군병은 일반민으로 충원

  (4) 신라

   1) 왕도군사조직 - 군주가 주 단위로 을 거느림, 서당이란 군대도 있다.

    a. 법흥왕

      → 경여갑

      → 사설당 - 노당(쇠뇌), 운제당(성 공격),  충당(성 공격), 석투당(투석)

    b. 진흥왕 - 6귀정 (대당, 귀당, 남당, 삼천당 등)

    c. 진평왕 - 서당, 보기당, 사천당, 급당

   2) 지방

    a. 법흥왕 - 소경여갑당 (소경) / 외여갑당(읍륵)

    b. 진흥왕 - 6정 : 상주정, 하주정, 신주정, 비열흘성, 하서정 등

    c. 진평왕 - 군사당, 보기당

   3) 군관

    a. 중앙

      ☞ 장군 -(휘하)→ 대감, 제감, 감사지, 소감, 화척

      ☞ 6정 지휘 - 당주 -(휘하)→ 감척, 화척

    b. 일반 농민층 동원 - 3년


 2.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

  (1) 중앙군 : 9서당 - 민족융합

     * 9서당 - 1) 고구려 : 황금서당         2) 백제 : 백금서당, 청금서당

               3) 신라 : 녹·자·비금서당      4) 보덕 (고구려유민) : 적금, 벽금      5) 흑금서당

5) 말갈 : 흑금

  (2) 지방군 : 10정 = 9주에 1정, 북쪽 한주에 2정

  (3) 총치 체제 정비의 한계 : 지방 진골이 독점

  (4) 5주서

   1) 청주, 완산주, 한산주, 우수주, 하서주

   2) 각 주에 각 2개씩 ‘만보당’ 배치

  (5) 특수부대 - 여갑당, 법당, 사설당


 3. 발해의 군사 조직

  (1) 중앙군 : 10위 /  위마다 대장군, 장군, 소장, 낭장

  (2) 지방군 : 촌락 단위

  (3) 특수군 : 국경


 * 통일신라와 발해의 비교

 

중앙관제

지방제도

특수 행정

수상

합의제도

군사제도

감찰 기구

국립 대학

통일 신라

14부

9주

5소경

시중

화백회의

9서당 10정

사정부

국학

발해

3성 6부

15부 62주

5경

대내상

정당성

10위

중정대

주자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