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사의 연구)

by 소이나는 2009. 11. 17.
반응형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


Ⅰ. 한국사의 연구

  

 1. 민족주의 사학 

  (1) 특징 - 우수성, 주체적 발전, 연구활동, 자주성 고양

  (2) 학자

박은식

신채호

낭가

정인보

최남선

문일평


   1) (백암) 박은식

    a.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 지혈사, 안중근전, 연개소문전, 동명성왕일기, 몽배금태도, 명립답부전, 대동고대사혼

    b. 민족사의 중용성, ‘’ (형, 신, 백)

    c. (신규식과) 동제사 조직, 임시정부대통령

    d. 유교구신론, 조선광문회 (양명학)

    e. 황성신문 주필, 서북학회 논설

    ☞「한국통사」 - 나라는 형이요, 역사는 신이다.

     “옛 사람이 말하기를, 나라는 멸망할 수 있으나 그 역사는 결코 없어질 수 없다고 했으니, 이는 나라가 형체라면

      역사는 정신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나라의 형체는 없어져 버렸지만, 정신은 살아남아야 할 것이다. 이 때문에

      나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쓰는 것이다. 정신이 살아 있으면 형체도 부활할 때가 있을 것이다.”

   2) (단재) 신채호

    a.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최도총전,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최도통전, 이태리 건국 삼걸전, 꿈의 하늘

    d. 화랑도의 ‘낭가사상’ 중시

    c. '다물단‘조직, ’의혈단‘ 선언문 - 조선 혁명 선언

    d. 신민회, 대한 매일 신보 논설, 독사신론 - 민족주의 사학 방향 제시

    e. 임시정부 창조파 - 무정부주의자

    f. 조선 상고사 - "역사는 我와 非我“

    g. 조선사 연구초 - 서경천도운동은 조선역사 1천이래 제일 대사건이다.

    h. 루쉰 감옥에서 옥사

   ☞「독사신론」

    “내가 지급 각 학교 교과용의 역사를 보건대, 가치가 있는 역사는 거의 없다. 제1장을 펴보면 우리 민족이

     중국 민족의 일부분인 듯하며, 제2장을 ~~ 즉 고대의 불완전한 역사라도 이를 상세히 살피면, 동국주족

     단군 후예의 발달한 실제 자취가 뚜렷하거늘 무슨 까닭으로 우리 선조들을 헐뜯음이 이에 이르렀는가~~”

   ☞ “우리는 일본 강도정치 곧 이족(異族)통치가 우리 조선민족 생존의 적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수단으로

       우리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죽여 없앰이 곧 우리의 정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3) (위당) 정인보

    a. 실학 정리 (신채호 계승)

    b. 5천 년간 ‘조선의 얼’, ‘조선사 연구‘

    c. '‘ 사상


   4) (육당) 최남선

    a. 조선광문회 조직

    b. 불함 문화론, ‘’ 사상

    c. 백두산 중심 우리 문화가 동양의 원천이다.

    d. ‘조선역사’, ‘고사통’, ‘이씨조선’, 기미독립선언서


   5) 문일평

    a. '한미50년사’, ‘호암전집’

    b. 민족문화의 근본 = 세종 → ‘조선사상’, ‘조선심’ 강조

    c. 사상


  (3) 조선학 운동

   1) 계기 - 1934 ‘여유당전서’의 간행 →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활동

   2) 특징

    a. 실학 - 자주적 근대사상, 주체성

    b. 과거 민족주의 - 국수적·낭만적임을 비판


 3. 실증 사학

  (1) 특징 - 실증주의 사학 - 개별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밝히려함 (고중주의 바탕)

  (2) 진단학회 조직

   1) 정치적 성격보다 문헌 고증에 치우치는 한계 (약간 식민지 권력에 무심)

   2) 청구학회 중심에 반발 - 이윤재, 이병도 (1934)

  (3) 이병도 - 한국 고대사 연구

  (4) 신석호, 김상기

  T) 실증주의 사학은 진단 학회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일제 침략을 폭로하기 위해 문헌 고증 중심의

     연구 방법론을 구사하였다?  (X)  ☞ 적극 활동 X, 정치성 X


 4. 사회·경제 사학

  (1) 특징 - 세계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 하는 과정에서 식민사학의 정체성이론에 반박   

  (2) 백남운

   1) 사적 유물론에 입각 한국사를 체계적, 법칙적 이해 최초 시도 - 정체성론 극복

   2) ‘조선 사회 경제사’ (“특수성”), ‘조선 봉건 사회 경제사’

   3)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음을 강조

  (3) 이청원 - 조선 사회사 독본

  (4) 이광진, 전석담

  

 5. 신민족주의 사학

  (1) 대내적 - 대립비판

      대외적 - 자유·평등, 민족사 체계화

  (2) 손진태

   1) 신 민족주의, 민족학, 진단학회에도 참여

   2) ‘조선 민족사 개론’, ‘조선 민족 설화의 연구’, ‘국사대요’

  (3) 안재홍 - 조선상고사감

  (4) 홍이섭 - 조선 과학사

   cf. 1930년대 민족주의 사학 - 조선 후기 실학자 연구에 주목, 보급


6. 국학자

  (1) 전형필 - 훈민정음 원본, 고서적, 자기 보존, 유출을 막는데 힘씀

  (2) 장도빈 - ‘조선사상사’, 잡지 ‘서울’간행, 발해사 연구 개척

  (3) 안 확 - 조선문명사

  (4) 황 현 - 매천야록, 절명시

  (5) 현 채 - 유년필독, 동국사략

  (6) 장지연 - 시일야 방성대곡, 백두산 정계비고, 대학강역고




Ⅱ. 한글 보급 운동

 

* 국문연구소(1907) → 조선어 연구회 → 조선어 학회 → 한글학회 (1949)

 

 1. 조선어 연구회 (1921)

   (1) 3.1 운동 후 이윤재,  최현배

   (2) 강습회 강연회, ‘한글’잡지 간행, 한글 기념일 ‘가갸날’정

  

 2. 조선어 학회 (1931 ~ 1942)

  (1) ‘우리말 큰 사전’ 편찬 착수 → But 실패

  (2) 훈민정음언해본 (1932), 외래어표기법통일안(1941)


  cf. 근대 첫 번역 소설 - 선교사 ‘게일’ = ‘천로역정

  cf. 1949 - 한글학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