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전 문학사의 흐름

by 소이나는 2012. 9. 23.
반응형


 

고전 문학사의 흐름


Ⅰ. 각 시대별 문학

 

 1. 고대 문학

  (1) 제천의식, 집단가무

  (2) 구비 전승, 후대에 한역으로 바뀜

  (3) 향가, 향찰


 2. 고려 시대

  (1) 과거 제도, 불교, 한문학, 유교

  (2) 향가

   1) ‘보현십원가 - 균여대사

   2) ‘도이장가’ - 예종

  (3) 속요(평민), 경기체가(귀족), 시조, 패관문학, 가전체 문학

  

 3. 조선 전기 (건국~왜란)

  (1) 훈민정음 장체

  (2) 시조, 가사, 경기체가는 소멸(중엽)

  (3) 관념적, 유교적, 상류 사회, 음운문학

  (4) 가집 편찬 -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4. 조선 후기 (왜란~갑오개혁)

  (1) 평민층으로 확산

  (2) 현실, 구체적 삶

  (3) 여류 문학의 형성, 기록 문학의 성행, 한글 수필의 본격화

  (4) 사설시조 등장 (장편화, 다양화, 서사성)

  (5) 설화는 야담으로 발전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양반

평민

운문

산문

관념적, 비현실적

현실적, 실제적

성리학, 주자학

실학, 고증학






Ⅱ. 고전 문학 갈래의 양상

 

 1. 문학 갈래의 전개 양상

  - 구비, 기록, 시가, 산문


  (1) 구비 문학

   1) 구연되는 것

   2) 민중 공동작

   3) 적층성

   4) 민족의 보편적 성격

   5) 민족문학, 작자연대 불명 - 솔찍



  (2) 기록 문학

   1) 본격적인 개인의 창의 반영

   2) 이지적, 개인적

   3) 작자 연대 뚜렷 (귀족, 양반)


  (3) 시가 문학

   1) 서정 민요 → 고대가요 → 향가 → 속요 → 시조

   2) 교술 민요 → 경기체가 → 악장 → 가사


   3) 속요 → 경기체가, 시조

     a. 가장 민족적

     b. 분장체 시가는 후렴구를 갖음

     c. 작자, 연대를 알기 어렵다.

   4) 향가 = 4구체 → 8구체 → 10구체  (민요적 속성 추정)

   5) 시조

   6) 악장 - 이념성, 교훈성, 예악의 교화적 기능 중시

   7) 가사


  (4) 산문 문학

   1) 일반 소설 =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문학 → 고소설

   2) 판소리계 소설 = 설화 → 판소리 사설 → 판소리계 소설

    

 2. 향유 계층에 따른 갈래

  (1) 귀족, 양반 - 경기체가(무신 난 이후), 악장(조선 권신)

  (2) 평민문학 - 속요, 사설시조, 민속극, 잡가

  (3) 함께 - 향가, 시조, 가사, 판소리, 설화, 소설


 3. 고전 문학의 형태

  (1) 운문(시가) 문학 - 향가, 속요, 경기체가, 시조, 악장

  (2) 산문문학 - 설화 문학, 패관문학, 가전체 문학, 소설

  (3) 운문 + 산문의 성격

   1) 가사 - 3.4, 4.4조

   2) 판소리 - 창은 운문 / 아니리는 산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