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3. 신라 말기(통일신라)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경문왕, 진성여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독서삼품과, 청해진, 장보고)

by 소이나는 2012. 5. 3.
반응형

 

 


신라 말기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1. 신라 말기 사회의 동요 - 내물계 진골, 선종, 최치원, 난, 호족


(1) 선덕왕 - 김양상 (내물계)
   1) 귀족연합정권
   2) 상대등, 부군직 부여

(2) 원성왕 (785)
   1) 무력으로 왕통승계 - 무열계 김주원 추대에 김경신이 즉위 
                                      (김주원은 강릉으로 퇴거하여 지방 호족이 됨)
   2) 5묘제 쇄인
   3) 독서삼품과(독서출신과) - 관료양성 : 성적에 따라 관리를 임명 → 실패
   4) 근친 왕족 중심 운영

(3) 애장왕 (800)
   1) 불사 창건 금지
   2) 12도에 사신 파견

(4) 헌덕왕 (809)
   1) 애장왕 살해 - 상대등 김언승
   2) 초적봉기 (818)
   3) 김헌창의 난 (822) - 백제지역, 국호 장안, 연호 경운
       ☞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과 관련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의 계기가 된 사건
   4) 김범문의 난 (825) - 평양

(5) 흥덕왕 (826)
   1) 청해진 (828) - 장보고 : 대사 임명
   2) 지방세력 성장 - 당성진 설치 (829) / 사찬 중위제
   3) 집사부를 ‘집사성’으로 개칭
   4) 사치금지령

(6)
민애왕 - 김우징이 살해

(7) 신무왕 (김우징)

(8) 문성왕 (839) - 장보고의 난

(9) 경문왕 (861) - 숭문대, 서서원 설치 = 측근 중심 걔혁 정치를 위해

(10) 진성여왕 (887)
   1) 정치해이
   2) 원종·대노의 난 (889)
   3) 양길, 기휜, 견휜 세력 봉기
   4) 적고적의 난 (896) - 붉은 바지

(11) 효공왕 (879) - 궁예, 견휜

(12)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 박씨 성(姓)도 즉위

(13) 경순왕 - 멸망



[혜공왕과 신라 하대의 사회 동요]

768 - 대공의 난
770 - 96각간의 항쟁
774 - 김양상 (선덕왕) 정권 장악
780 - 김지정의 난 (실패)
809 - 한덕왕 즉위
822 - 무열왕의 후예 김헌창의 난
825 - 김범문의 난 (김헌창의 아들)
838 - 김우징, 김양의 반란
839 - 김우징이 신무왕으로 즉위
846 - 장보고의 난
889 - 원종·애노의 농민군 사벌주 봉기
896 - 서남 지방에 적고적이 봉기







2.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

  (1) 무열계의 몰락

  (2) 왕위 쟁탈전의 전개 :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며 신라 하대 시작

  (3) 지방에 대한 통제 약화

     1) 김헌창의 난 (822) - 아버지 김주원이 내물계 원성왕에 밀리자 원한
                                        ➝ 헌덕왕 때 [국호 장안], [연호 경운]으로 하고 반란
     2) 김범문의 난 (825) - 김헌창의 아들로 고달산(여주)에서 난 ➝ 실패

  (4) 귀족 연합 정치 운영 : 시중보다 상대등의 권력이 큼

3. 진골 귀족의 모순
  (1) 골품제도의 모순 : 불교, 화랑도를 잊음
  (2) 국가 재정의 압박 : 녹읍

4. 농민의 몰락
  (1) 대토지 소유 확대
  (2) 수취 체제의 모순
  (3) 민란의 발생 : 원종과 애노의 난 (상주) = 진성여왕 시기

5. 호족 세력의 성장
  (1) 성격 : 지방 행정, 군사권 장악, 경제적 지배, 스스로를 성주 또는 장군이라 칭
  (2) 유형
      1) 중앙 귀족 출신 : 김주원, 김순식
      2) 촌주 출신 : 자기 지역
      3) 해상 세력 : 작제건, 왕건, 장보고
      4) 군진 세력 : 장보고
      5) 초적 세력 : 양길, 궁예 (농민, 하층민 중심)
  (3) 6두품과 제휴 고려 왕조 건설 (x- 진골과 제휴) ➝ 최언위, 최승우 ➝ 왕건, 견휜에게 귀의
  (4) 골품제도를 붕괴시키는 역할을 함
  (5) 선종풍수지리설 등을 기반으로 삼았다.

6. 사원의 폐단

7. 6두품의 개혁 시도
  (1) 새로운 유교 정치 이념, 과거제도 제시 (최치원 - 시무 10조)
  (2) 반신라적 성향
  (3) 신라 하대에는 진골 중심체계에 도전하였지만 그 비판은 소극적이고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T) 신라 말기 6두품이 중앙 정계의 요직을 장악하였다? (X)

8. 복합적 사상의 유행
      - 풍수지리설, 선종, 도교, 노장 사상, 최치원 4산 비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