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2. 신라 중대의 발전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만파식적, 96각간의 난)

by 소이나는 2012. 5. 3.
반응형

 

 



신라 중대와 통일 신라의 발전


1. 통일 직후 신라의 상황 : 번영, 생산력 증가

2. 신라 중대의 정치 (왕권강화)

(1) 무열왕 (654 ~ 661)
   1) 직계의 세습 : 왕권 강화
   2)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집사부 시랑직에 6두품세력 진출.
   3) 상대등 세력 역제
   4) 김유신의 후원 - 알천과의 경쟁에서 승리
   5) 갈문왕 제도 폐지
   6) 사정부 정비
   7) 중국식 왕호
   8) 백제 멸망 (660)
   9) 이방부격 60여조 수정 (율령개편)

(2) 문무왕 (661 ~ 681) : 왕권의 전제화
   1) 귀족파 숙청 - ‘불휼국사’의 명분
   2) 좌사록관, 우사록관 설치 - 왕권파에게 녹읍지급
   3) 귀족파 반란 - 박도유, 수제, 대토
   4) 삼국통일
   5) 당문화 수용
   6) 무열왕의 아들
   7) 서당, 소경을 추가설치
   8) 대왕암 (수중릉)
        ☞ “내가 죽은 뒤 10일이 되면 불교식으로 화장하고 장례는 검소하게 하라. 국경 지방의 여러 성과 주현의
             세금은 그것이 필요치 않거든 헤아려 폐하도록 하고, 율령격식에서 불편한 것이 있으면 편리하게 고쳐라.”
        ☞ “내가 죽은 후에 호국 대룡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 한다.”
   9) 감은사 축조

(3) 신문왕 (681 ~ 692)
   1) 중앙 관제 : 14부 완성, 예작부 설치
   2) 지방 관제 :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3) 군사 제도 : 중앙군 9서당 / 지방군 10정
   4) 교육 제도 : 국학, 유학
   5) 토지 제도 : 관료전을 지급(687) - 수조권만 인정 / 녹읍 폐지
   6) 사회 정책 : 귀족 숙청 ➝ 김흠돌의 모역 사건(681) - 왕의 장인 ➝ 무열계 전제왕권강화가 배경
   7) 사상 정책 : 유학 강조 / 의상 : 화엄종 개창
   8) 만파식적 (신성한 악기) : 왕실의 번영과 평화를 상징, 이현대(동해)에서 얻음
                                            (단군신화의 처부인, 진평왕의 옥대, 이성계의 금척 같은 성격)
                                            ☞ "이때 나타난 용에게 왕이 대나무의 이치를 물으니 용은 비유하건대 ~ 두 손이 마주치면 능히 소리가 나는지라.”
   9) 감은사 완공
 10) 달구벌 천도계획 - 실폐







* 관료전 지급과 비슷한 성격의 정책

1) 진골 출신 왕의 직계 자손이 계속 왕이 되었다.
2) 왕의 동생들에게 특권적 지위를 인정해 주던 갈문왕제도가 폐지되었다.
3) 불교식 왕명을 버리고 중국식 시호를 취하여 유교 정치 이념으로 통치하려 했다.
4) 정전의 지급
5) 관청과 행정 구획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고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6) 국학 설립하여 인재 양성을 꾀하였다.
7) 상대등의 세력이 약화되고 집사부 시중의 지위가 강화되었다.



(4) 효소왕

(5) 성덕왕 (702 ~ 737)
   1) 백성에게 정전 지급, 민생 안정 (722)
   2) 패강 이남 확보 - 김정절 파견

(6) 경덕왕 (742 ~ 765)
   1) 중시의 명칭을 시중으로 격상
   2) 불국사, 석굴암, 성덕 대왕 신종
   3) 국학에 제업박사 설치
   4) 정찰 설치 - 백관 규찰 목적
   5) 환화정책
   6) 녹읍부활
   7) 우리나라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꿈

(7) 혜공왕
   1) 태후의 섭정 - 만월부인
   2) 오묘제 - 무열, 문무, 미추, 경덕, 성덕왕
   2) 96각간의 난 - 귀족난
   3) 난 - 김융, 김은거, 짐지정, 염상·정문
   4) 혜공왕 피살 - 김양상(선덕왕), 김경신

(8) 신라 중대 성격
   1) 귀족 세력의 약화
   2) 6두품 세력의 부각
      a. 왕과 결탁
      b. 집사부 시랑직에 진출하여 왕의 정치적 조언로 활동
   3) 전제 왕권의 동요
     a. 경덕왕부터 흔들림
     b. 결과 : 녹읍 부활, 사원의 면세전이 늘어나 재정 압박
     cf) 녹읍은 귀족, 정전농민에게 지급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국] 8. 남북국 시대의 사회, 생활 (통일신라의 사회`생활, 발해의 사회)  (0) 2012.05.04
[남북국] 7. 남북국의 군사조직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 발해의 군사조직, 9서당 10정, 10위)  (0) 2012.05.04
[남북국] 6. 발해의 통치체제 (발해 정치조직, 발해 중앙관제, 발해 지방조직, 3성 6부)  (0) 2012.05.04
[남북국] 5. 통일신라의 통치체제 (통일신라 정치조직, 통일신라 중앙관제, 통일신라 지방조직,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0) 2012.05.03
[남북국] 3. 신라 말기(통일신라)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경문왕, 진성여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독서삼품과, 청해진, 장보고)  (0) 2012.05.03
[남북국] 4. 발해 (대조영, 무왕, 문왕, 선왕, 발해 건국, 발해 멸망, 발해 대외관계)  (0) 2012.05.03
[남북국] 1.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변화 표  (0) 2012.05.02
[삼국, 남북국] 26.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삼국 문화의 일본전파, 일본 호류사 금당벽화, 일본 목조 미륵반가사유상, 다카마쓰 고분 벽화, 수산리 고분벽화)  (0) 2012.05.02
[삼국, 남북국] 25. 삼국시대 문학, 음악 (제망매가, 모죽지랑가, 다듬이 소리)  (0) 2012.05.02
[삼국] 24. 삼국의 예술, 삼국의 고분 (고구려 고분, 백제 고분, 신라 고분 - 화엄경 변상도, 천마도, 금관, 돌무지덧널 무덤, 경주 배리 석불입상, 금동미륵보살 반가상, 장군총, 사신도, 현무도, ..  (6) 2012.05.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