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5군영4

[조선] 3. 조선 후기 군사제도 (5군영, 중앙군, 지방군, 훈련도감, 속오군, 제승방략, 진관체제, 어영청, 수어청) 1. 5군영은 서인의 정권 유지를 위한 군사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고, 군내 정세와 대외 관계의 변화에 따라임기응변식으로 설치되었다? (O)2. 선조 때 신설된 훈련도감은 살수, 사수, 포수의 삼수병을 양성하였다? (O)cf) 삼군문 -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청Ⅲ. 군사 제도의 변화1. 군사 제도 개편의 배경2. 중앙군군영시기지역특 징구성경제 기반훈련도감선조수도삼수병 (포수, 살수, 사수)장번 급료병 (용병)삼수미세(2.2두)어영청인조효종 때 북벌 운동의 본영농민 번상병보인총융청경기 일대북한산성 중심경기 속오군경비담당수어청광주, 부근남한산성 중심금위청숙종왕실 (수도)5군영 체제 완성농민 번상병보안(1) 5군영 체제1) 훈련도감 (訓鍊都監) (왜란 중, 선조)a. 직업군인 - 급료를 받음b. 설치 - 의무.. 2014. 5. 24.
[조선] 2.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개편 (비변사 기능 강화, 조선 후기 군사제도, 조선 후기 중앙군, 5군영, 영장체제, 어영청, 수어청, 훈련도감) 통치 체제의 개편 Ⅰ. 지배 체제의 모순 1. 조선 왕조의 통치 질서의 모순 (1) 신분 제도의 모순 1) 계층 간 이동의 불허 2) 소수 양반층의 특권 독점 3) 피지배층의 처지 개선 미흡 4) 양반들의 권위 강화 (2) 토지 제도의 모순 1) 토지 소유의 편중 - 양반 지주 중심 2) 지주 전호제의 강화 3) 농촌 사회의 분화 (3) 부세 제도의 모순 2. 체제 모순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이탈, 위정자들의 위기 의식 대두 Ⅱ. 통치 체제의 변화 1. 통치 기구 개편의 배경 - 집권 양반 계층은 지배 체제 유지 (비변사, 5군영, 수취체제 개편) 2. 비변사의 기능 강화 (1) 임시회의 기구 - 삼포 왜란을 계기로 설치 (중종) - (2) 상설 기구화 - 16세기 중엽 명종 (1555) 을묘왜변을 계.. 2012. 5. 22.
[조선 중기] 통치체제 (지배체제, 군사제도) 통치 체제의 개편 Ⅰ. 지배 체제의 모순 1. 조선 왕조의 통치 질서의 모순 (1) 신분 제도의 모순 1) 계층 간 이동의 불허 2) 소수 양반층의 특권 독점 3) 피지배층의 처지 개선 미흡 4) 양반들의 권위 강화 (2) 토지 제도의 모순 1) 토지 소유의 편중 - 양반 지주 중심 2) 지주 전호제의 강화 3) 농촌 사회의 분화 (3) 부세 제도의 모순 2. 체제 모순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이탈, 위정자들의 위기 의식 대두 Ⅱ. 통치 체제의 변화 1. 통치 기구 개편의 배경 - 집권 양반 계층은 지배 체제 유지 (비변사, 5군영, 수취체제 개편) 2. 비변사의 기능 강화 (1) 삼포 왜란을 계기로 설치 (중종) - 임시회의 기구 (2) 상설 기구화 - 16세기 중엽 명종 (1555) 을묘왜변을 계기 .. 2009. 10. 24.
조선초기 군역제도와 군사조직 군역 제도와 군사조직 1. 군역 제도 (1) 종류 1) 신역 - 직역, 군역 2) 잡역 - 요역 (2) 원칙 1) 양인 개병제 실시 - 군역은 태종 이후 사병을 모두 폐지,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16세 이상 ~ 60세 미만) ☞ 천인 X, 공신의 자제는 포함 2) 정군(현역 군인), 보인(비용만 부담) 3) 정군은 품계를 받는 등 대우를 해줌 (3) 군역 면제 1) 현직 관료와 학생, 향리 2) 고급 관료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면제 받은 것이 아니다.) (4) 노비 - 군역의 의무가 없다. 특수군(잡색군)으로 편제되기도 한다. (5) 봉족제 1) 배경 가. 조선 전기 직업군인 無 - 모든 경비는 군인이 자체 조달 나. 봉족 a. 군역 복무에 따른 반대급부로 토지를 지급 받지 못한 가난한 군정에.. 2009.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