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의 학문과 기술의 발달

by 소이나는 2009. 10. 10.
반응형
 

 

 학문과 기술의 발달


Ⅰ. 한자의 보급과 교육

 

 1. 한자의 전래

  (1) 철기시대부터

  (2) 유교, 불교, 도교 서적

  cf) 구결, 토 - 중국식 한자를 읽을 때, 문법적 특징을 알려주는 글자


 2. 삼국시대

  (1) 한문의 토착화

   1) 한자를 그대로 사용 ➝ 이두와 향찰 사용

      cf. 이두

         ☞ 고구려에서 처음 사용

         ☞ <쇠뿔한>을 소리로 표기하여 <서발한(舒發翰)>이다. 뜻을 따<각간(角干)>으로 표기

   2) 한문의 토착화, 한문학 보급


  (2) 고구려의 학문

   1) 교육 기관

    a. 소수림왕 = 수도에 태학 (관학, 귀족, 한학, 문·무 유교, 무예)

    b. 장수왕 = 지방에 경당 (사학, 평민, 무술, 한학 - 평양 천도 후)

   2) 한학 발달 : 광개토 대왕비, 중원고구려비, 모두루묘지, 동수묘지, 관구검기공비


  (3) 백제의 학문

   1) 요육기관 : 5경박사, 역박사, 의박사

   2) 한학 발달 : 사택지적비 비문 = 불당을 세운 내력 기록

                 “사택지적은 해가 쉬이 감을 슬퍼하고 달리 어렵사리 돌아옴이 서러워 금을 캐 귀중한 당을 짓고~”

   3)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 - 한문문장


  (4) 신라의 학문

   1) 화랑도

   2) 진흥왕 때 단양 적성비, 순수비  

   3) 임신서기석 (경전공부) - 한문을 지을 때 우리말 순서대로 배열


 3. 남북국 시대


  (1) 통일신라


   1) 국학 (‘예부’에 속)

    a. 신문왕 : 국학  ➝ 경덕왕 : 태학

    b. 논어, 효경, 유교 경전 가르침

    c. 충효 일치의 윤리 강조

    d. 1과 (예기, 주역), 2과(좌전, 모시), 3과 (문선, 상서), 필수과목(논어, 효경)

    e. 입학자격 (15세~30세 귀족자제), 수업 연한 (9년), 교수 (경학 박사, 조교)


   2) 독서삼품과 (독서출신과)

    a. 실기 실시 (원성왕 때 - 하대)

    b. 응시 과목

     ㄱ. 상품 : 좌전, 문선, 예기, 논어, 효경 - 이해하는 자

     ㄴ. 중품 : 곡례, 논어, 효경 - 읽은 자

     ㄷ. 하품 : 곡례, 효경 - 읽은 자

     ㄹ. 특채 : 5경, 3사, 제자백가에 능통한자 순서 넘어 등용

    c. 유학 보급에 이바지

    d. 골품 제도 때문에 힘을 못 씀 - 실패

    ☞ 독서삼품과 (삼국유사)

       “춘추좌씨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을 능통하고 겸하여 논어, 효경에도 밝은 자를 성종으로 하고,

        곡례, 논어, 효경을 읽은 자를 중명(中命)으로 하고, 곡례, 효경을 읽은 자를 하품으로 한다.

        또 오경과 삼사와 제자백가의 책을 능히 두루 통하는 자가 있으면 특채해서 등용한다.”


  (2) 발해 : 주자감

   * 정혜·정효 공주 묘지 - 4·6변려체 발견



 


Ⅱ. 역사편찬, 유학보급

 

 1. 역사서의 편찬


  (1) 삼국 시대

    1) 중앙 집권 체제 정비 ➝ 와실의 권위

    2) 내용 

 

역사서

편찬자

편찬 시기

비 고

고구려

유기, 100권

미상

전하지 않음

신집, 5권

이문진 (태학박사)

영양왕

백  제

서기

고  홍 (박사)

근초고왕

신  라

국사

거칠부 (아찬)

진흥왕



  (2) 통일 신라

   1) 김대문(진골)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2) 신라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 자주적


2. 유학의 보급


 (1) 신라 중대

  1) 6두품 출신 많음, 도덕적 합리주의

  2) 강수 : 외교 문서 문장가, ‘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유교도덕을 출세보다 중시,

            일부다처제·골품제·불교 비판(불교는 ‘세외교’)

  3) 설총 : 이두정리, 경전에 조예,

           ‘화왕계’ “어떤 이가 화왕(모란)에게 말하였다~~~ 화왕이 대답, 내 잘못했느라” (꽃을 통해 왕 도덕 강조)


 (2) 신라 하대

  1) 도당(당에가 공부) 유학생의 증가 : 김운경, 최치원

  2) 최치원

   a. 6두품

   b. 시무 10조 건의 - 왕권강화 → 진골 반대

   c. ‘계원필경’ = 현존 최고 문집 (중국 모방작)  /

     ‘토황소격문’(“너는 본래 먼 시골 구석의 백성으로 억센 도적이 되어~” /

     ‘제왕연대력’ /

     ‘중산복궤집’

   d. 4산 비명 : 쌍계사 진감선사비 / 성주사 낭혜화상비 / 숭복사비 / 봉암사 지증대사비

               - 4·6변려체, 불교 유교 노장 지리도참까지 포함 ➝ 신라 하대 사상계의 경향을 보여줌

   e. '당‘ 빈공과 급제

   f. “처지를 한탄하며 다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 ”

  3) 김대문

  cf) 당 ‘빈공과’ - 최초 합격 : 김운경 → 그 외 - 최신지, 박인범, 최승우(효본집)

  cf) 숙위 학생 - 당에서 당의 문물을 읽히고 가교 역할 → 하대 : 순수 유학적 (정치성 퇴색)


[복합적 사상]

1) 4산 비명 (최치원)

2) 훈요십조 (태조)

3) 세속 오계 (원광)

5) 금오신화

6) 동학


  (3) 발해

   1) 학문발달 : 당의 빈공과 급제 : 이거정

   2) 외교 문서, 공식 기록은 한문 사용 (단, 압자와라는 독자적 문자가 있었음)


 

고구려

백 제

신 라

통일 신라

발 해

교육기관

중앙 (태학, 관학),

지방 (경당, 사학)

5경·의·역 박사

유교 경전 교육,

화랑도

국학(➝태학)

주자감

한학·유학

광개토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북위에 보낸 국서

사택지적비

임신서기석

진흥왕 순수비문

강수·설총·김대문

계원필경

도당 유학생

(빈공과 합격)

역사편찬

‘신집’ 5권(이문진)

‘서기’(고흥)

‘국사’(거칠부)

‘계림잡전’, ‘화랑세기’ (김대문)

 





 

Ⅲ. 과학, 기술학

 

 1. 천문학과 수학

  (1) 과학·기술학의 발달 : 청동검, 청동제 잔무늬 거울

  (2) 천문학

   1) 고구려 : 천문도, 장천1호분, 덕화리 1·2호분, 각저총, 고분 벽화

   2) 신라 : 7세기 선덕 여왕 = 첨성대

   3) 통일 신라 : 김암

   4) 기록 : ‘삼국사기’

   5) 천문학 관측 목적

  (3) 수학

   1) 삼국 시대 : 백제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

   2) 통일 신라 : 석굴암의 석굴 구조,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다보탑


 2.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에서 발견 - 8세기 초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술

  (2)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닥나무

   2) 구례 화엄사의 석탑 : 두루마리 불경


 3. 금속 기술의 발달

  (1) 고구려 : 철 생산

  (2) 백제 : 칠지도, 백제 금동 대향로

  (3) 신라 : 금세공

  (4) 통일신라 : 성덕 대왕 신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