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동 (신분제, 가족제도, 노비)

by 소이나는 2009. 10. 27.
반응형


 

사회 구조의 변동


Ⅰ. 신분제의 동요

 

 1. 신분제의 분화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특징

   1) 법제적 -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양천제 표방

   2) 실제적 - 반상제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계층으로 분화

  (2) 조선 후기 신분제 경향 - 양반수 증가, 상민·농민은 감소 (면천, 납속, 족보 위조)


 2. 양반층의 동요

  (1) 붕당 정치가 변질

  (2) 분화

   1) 벌열 양반

   2) 몰락 양반의 향반·잔반화

 

Ⅱ. 중간 계층

 1. 역할 증대 -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역할이 커짐 

 2. 사회적 제약 - 서얼(문과 응시 금지, 승진제한), 기술직 중인(고급 관료로 진출제한)

 3. 신분 상승 노력

  (1) 서얼

   1) 왜란 이후부터 차별이 완화 : 납속책,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2) 상소운동 : 영·정도 때 어느 정도 등용 → 홍문관 같은 청요직으로 진출 허용

   2)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 -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정유서얼 허통절목)

   cf) 1851 '신해통공‘으로 완전한 청요직으로의 허통이 이루어졌다.

  (2) 신분상승 노력 (중인)

   1) 철종 때 대규모의 소청운동이 벌어짐 - 성공은 X

   2) 전문직으로 역할 부각

   3) 역관들은 새로운 사회 수립 추구

   ☞「연조귀감」 - 중인

     “수령으로는 많은 백성들을 통솔하여 다스릴 수가 없으므로 아전들을 두어 6방에 나누어 배치하기를

      조정의 6조처럼 하였습니다. ~ 조정에서도 인장을 만들어 주어 수령에게 일이 생기면 호장이 그 인장을

      사용하고 관청 사무를 대행하도록 합시다. ~ 엎드려 바라옵건대 다른 벼슬처럼 똑같이 월급을 지급하도록

      분명한 명령을 내려 주십시오.”

 4. 사회적 공헌

   1) 외래문화 수용에 선구적 역할, 조선 후기의 큰 변화

   2) 이진택 - 규사 (서얼 관련)

   3) 이진홍 - 연조귀감 (향리 관함)

   4) 조희룡 - 호산외기

   5) 유재건 - 이향견문록

  5. 시사를 조직하여 문학 활동 전개

  6. 일부는 개항, 개화사상의 선구자가 됨, 서학 등 외래문화 수용에 주도적 역할


Ⅲ. 노비의 해방

 1. 노비 신분의 변화

  (1) 신분 상승

  (2) 공노비를 납공 노비로 전환

  (3) 노비종모법 실시 (영조, 1744) - 어머니가 양민이면 양민

 2. 도망 노비의 증가 : 노비 부담의 증가  → 정부는 신공을 줄여 달래기도 함

 3. 노비의 해방

  1) 공노비 - 18세기 후반, 순조(1801)

  2) 사노비 - 갑오개혁(1894) 때 신분제가 폐지

  cf) 관노비는 1801년 순조 때 일부 해방 → 공·사노비제도는 갑오개혁 때 폐지

  cf) 작개지 - 외거노비가 주인에게 수확량을 모두 바치는 땅

      사경지 - 외거노비가 수확량을 가지는 땅

Ⅳ. 가족 제도의 변화와 혼인

 

 1. 가족 제도의 변화 - 부계 위주

  

 2. 가족 제도의 변화 과정

  (1) 조선 중기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 상속의 내용을 작성한 문서)

  (2)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 - 양자 입양 일반화

 

고려~조선 전기

조선 후기

가족범위

 부계, 모계

 부계 위주

혼인

 왕실 - 친족간 혼인

남귀여가혼 - 여자 집에가 생활

친영제도 (예절, 의식의 발달) - 남자 집으로

재산상속

 자녀 균분

 장자 우대, 자녀 차등

제사

 자녀들의 제사권 공유

 적장자의 재산권 독점

가계 계승

 아들 없으면 딸·외손이 가계 계승

 족보에 모계사위 기재

 부계 위주의 족보

주거지

 처가 거주, 처가의 호적에 입적도 함

동성 마을의 형성과 종중의 형성

특 징

 여성의 사회적 진출에는 제한 있으나

 남성과 거의 대등

 가부장적 종법 질서, 적서 차별

 부계 친족 중심, 친영제도


 3. 가족 윤리 강조 - 효, 정절


 4. 혼인 풍습

  (1) 엄격한 족외혼

  (2) 첩 소생의 차별 정책

  (3) 법적으로 남자 15세, 여자 14세 혼인 실제는 남녀모두 20세 전후에 혼인

 

Ⅴ. 인구의 변동

 

 1. 호구 조사

  (1) 호적

   1) 3년마다 작성

   2) 4조(증조, 조, 부, 외조), 성명, 본관, 노비, 머슴 기록

   3) 호구 단자 작성

   4) 3부를 만듦 - 중앙, 관아, 가정

  (2) 선원록 - 조선 왕실의 족보

  (3) 성화보 - 최초의 왕비 족보 (안동 권씨)

  (4) 청금록 - 서원의 학생 명부

  (5) 향안 - 지방 양반의 명부


 2. 인구의 변동

  (1) 경상, 전라, 충청에 50%, 경기 강원에 20%, 평안, 황해, 함경에 30% 가 거주

  (2) 후기로 갈수록 한성에 몰림

 

  T) 서얼, 서리 - 조선 후기 하나의 독립된 신분층, 관청 가까운 곳에 거주, 직역을 세습, 신분 안에서 혼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