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비밀 결사 운동, 3.1 운동

by 소이나는 2009. 11. 11.
반응형

 비밀 결사운동, 3·1운동


Ⅰ. 비밀 결사의 조작과 활동 (1910년대)


 1. 1910년 대 독립운동의 방향

  (1) 항일 운동의 계승 - 애국계몽 운동, 의병 전쟁

  (2) 국내 - 비밀 결사 운동

  (3) 국외 - 독립운동기지, 무장투쟁



 2. 국내의 비밀 결사 운동

    → 애국계몽운동 → 비밀 결사 → 20년대 : 실력양성운동


  (1) 독립의금부 (1912)

   1) 전제군주제 복구 - 복벽주의

   2) 임병찬 (고종의 밀조)

   3) 조선 총독에게 ‘국권반환요구서’제출, 국권회복 요구

   4) 전남 중심


  (2) 조선 국권 회복단 (1915)

   1) 공화주의

   2) 이시영, 서상일 - ‘사회’를 가장한 비밀결사 (단군을 받듬) / 윤상태 - 경북 유생

   3) 독립청원서 작성 (파리 강화회의), 3.1운동 주도


  (3) 대한 광복회 (1915)

   1) 공화주의

   2) 채기중의 광복단 개편 - 박상진, 김좌진

   3) 군자금 모집, 친일파 처단, 간도에 무관학교 설립

   4) 3·1운동 이전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단체로 군대식으로 조직

   “오인은 대한의 독립된 국권을 광복하기 위해 생명을 희생 ~ 절대 불변~”

   “무장, 학교, 무기, 세금압수”


  (4) 조선 국민회 (1915)

   1) 공화주의

   2) 장일환 - 숭실 재학생 중심 (평안도)m 기독청년 중심

   3) 군자금, 무기구입, 3.1운동


  (5) 송죽회 (1913) - 평양 숭의여학교 교사 : 애국계몽, 자금지원

 

  (6) 기성단 (1914) - 평양 대성학교 출신 비밀결사

  

  (7) 자립단 (1915) - 함남 단천 : 청년 교육에 주안 / 개신교 중심 / 계몽단체


  (8) 선명단 (1915) - 암살 목적, 유학자


  (9) 민단조합 (1915) - 복벽주의


   cf) 복벽주의 - 독립의금부, 선명단, 민단조합


 3. 활동

  (1) 독립사상의 고취

  (2) 민족운동 확산



Ⅱ. 3·1운동


 1. 배경

  (1) 러시아 혁명 (1917) - 약소 식민지 지원 약속 (레닌)

  (2) 윌슨 ‘민족자결주의’ (1918)

   1) 독일, 러시아 식민지에만 적용

   2) 미일에는 적용 x

  (3) 파리 강화회의 대표 파견 - 신한청년당 - 김규식

   * 유림단 사건 - 김창숙, 곽정석 등 유림 대표가 독립 정당의 글을 김규식에게 전달하려다 발각 (1919)

  (4) 국외의 독립선언

   1) 무오독립 선언서 (1918)

     a. 길림 : 대종교 계열 ‘중광단’ 중심

     b. 조소앙, 이상룡 집필 “우리 대한 동족 남매와 온 세계 ~~”

   2) 2.8 독립선언 (1919) - 도쿄, 민족대회소집청원서, 독립선언서 작성,

                            “본 단은 한일합병이 우리 민족의 자유의사에서 나오지 않고, ~~”

  (5) 고종 독살설

  (6) 일본의 토지 약탈

  (7) 국내 독립운동 준비 - 종교계 중심


 2. 전개

  (1) 독립선포 (1919) - 33인 - 손병희(천도교), 이승훈(기독교), 한용운(불교) 등

  (2) 최남선 - 독립선언서 “오등은 ~~”

      한용운 - 공약 3장 “최후의 1인까지 ~~”

      ☞ 오늘 우리들의 이 거사는 정의, 인도, 생존 번영을 위하는 겨레의 요구이니, 오직 자유의 정신을 발휘할 것이요,

         결코 배타적 감정으로 치닫지 말라. 마지막 한 사람에 이르기까지, 마지막 한 순간에 다다를 때까지, 민족의

         정당한 의사를 시원스럽게 발표하라. 모든 행동은 가장 질서를 존중하여, 우리들의 주장과 태도를 어디까자나

         떳떳하고 정당하게 하라.

  (3) 일본 탄압 - 헌병 경찰, 육, 해군

  

Ⅲ. 3·1 독립의 선언

  (1) 1기 - 민족대표 : 독립선언서 제작, 배포 (학생) = 비폭력, 만세

  (2) 2기- 학생주도 (쌍인, 노동자) : 만세, 철시

  (3) 3기 - 농민 : 무력적 저항

  cf) 4기 - 해외 확산기


Ⅳ. 3·1운동의 의의, 영향


 1. 의의

  (1) 독립의지의 천명, 방향제시

  (2) 민족의 저력 고시, 주체성 확인


 2. 영향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대한국민의회,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성정부

  (2) 세계 약소 민족 운동에 자극 →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3) 인제 통치 방식의 변화 - 문화통치

  (4) 민족의 역량 통합





 3. 3·1 운동 이후 민족 운동의 양상

  (1) 외교 독립론 - 국제 연맹 위임 통치론 (이승만)

              ☞ “일본을 상대로 무장 투쟁을 벌인다는 것은 공연한 힘의 낭비입니다. 우리는 일본을 압박할 수 있는

                  강대국을 상대로 일제의 부당성과 우리의 독립 열망을 전하여 독립을 얻어 내야 합니다.”            

  (2) 자치·참정론 - 일제 지배 인정 (이광수, 최린)

  (3) 실력 양성론 - 민족 역량 배양 (김성수, 안창호) →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 “그러나 함부로 나갈까, 준비를 완성한 후에 나갈까, 혹 말하기를 혁명 사업은 타산적으로

                  할 수 없나니, 준비를 기다릴 수 없다 하오. 그러나 준비는 필요하오. 준비 없이 개전하면 적에게

                  죽기 전에 기아에 죽을 것이오.”

  (4) 무장 투쟁론 - 신채호, 이동휘, 김좌진

              ☞ “이승만은 나라도 팔아먹을 놈이다.”

              ☞ “강도 일본이 정치·경제의 양 방면으로 억압해 올 때 무엇으로 실업을 발전시키고,

                  교육을 진흥 시킬 수 있습니까? 무장 투쟁만이 독립을 쟁취할 수 있습니다.”

  (5) 민족 유일당 운동 - 신간회,  근우회


<문제>

 

1. 1919년 3·1운동 전후의 국내외 정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본은 시베리아에 출병하여 러시아 영토의 일부를 점령하고 있었다.

 (2) 러시아에서는 볼세비키가 권력을 장악하여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하였다.

 (3)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미족 자결주의를 내세워 전후 질서를 세우려 하였다.

 (4) 산동성의 구독일 이권에 대한 일본의 계승 요구는 5·4운동으로 인해 파리 평화 회의에서 승인받지 못하였다.

 

 ☞ 4번

 

2. 3·1운동 이후 일제가 실시한 문화 통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헌병 결찰 제도 대신에 보통 경찰 제도가 채용되고 경찰 인력이 다소 축소되었다.

 (2) 물산 장려 운동이 성공적으로 전개되어 조선인의 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3) 언론과 교육이 완화되었다.

 (4) 문화 통치를 계기로 무관 출신의 총독 대신 문관 출신의 총독이 파견되었다.   

 

  ☞ 3번 (조선, 동아일보)

 

3. 3·1운동의 전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연해주에서 3월 17일 대한 국민 의회 주최로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이 전개되었다.

 (2) ‘민족대표’들은 비폭력의 원칙을 내세웠다.

 (3) 3·1운동 기간 동안 서북간도의 조선인들은 독립군의 편성을 도모하였다.

 (4) 3·1운동의 지방적 확산에는 농민회와 소작인 조합이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 4번, 3·1운동 이후

 

4. 3·1운동의 결과로 국내외에 설치된 임시정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만주 - 군정부

 (2) 국내 - 한성정부

 (3) 연해주 - 대한 광복군 정부

 (4) 상해 - 대한민국 임시정부

 

 ☞ 3번 대한광복군 정부는 1914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