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항일 독립 전쟁

by 소이나는 2009. 11. 13.
반응형


 

항일 독립 전쟁


Ⅰ. 독립운동 기지의 건설


 1. 신민회의 활동

  

 2. 독립운동 기지의 설치 목적

  (1) 항일 독립운동 거점 마련

  (2) 무장 독립 전쟁 수행 (간도, 연해주)


 3. 독립 운동 기지

  (1) 남만주, 삼원보 - 이회영, 이상룡

   1) 경학사, 대한독립단

   2) 신흥무관학교, 서로 군정서

   3) 부민단, 한족회

  (2) 밀산부 한흥동 - 이상설, 이승희

  (3)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 대한 광복군 정부, 대한 국민의회, 성명회, 권업회

  (4) 용정 - 대한국민회, 명동학교, 서전서숙

  (5) 왕청 - 북로군정서, 중광단


Ⅱ. 한인의 국외 이주와 독립운동


 1. 국외 이주

  (1) 19c 중엽의 국외이주 - 연해주, 간도 - 열악한 경제

  (2) 을사조약 이후 - 정치적 망명

  (3) 국권강탈 (1910) 후 - 경제, 교육, 독립전쟁


 2. 중국 지방의 독립운동

  (1) 동제사 (1911) - 상해

   1) 신규식, 박은식, 조소앙, 신채호

   2) 중국 국민당 인사까지 참여

   3) 박달학원 - 청년교육

  (2) 신한 혁명당 (1915) - 북경

   1) 신규식, 박은식, 이상설

   2) 복벽주의로 출발 → 대동 단결 선언 (1917) - 황제권을 포기하고 국민주권 광화주의 내세움

     “융희 황제가 삼보를 포기한~~”

  (3) 신한 청년단 (1919) - 상해

   1) 김구, 박은식, 여운영, 김규식, 장덕수, 조동호, 김철, 선우혁

   2)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 파리 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3) 독립청원서 작성

  (4) 대동보국단 (1915) - 신규식, 박은식


 3. 만주 지역의 동포

  

  (1) 남만주 (서간도)

   1) 경학사 (1910) → 부민단 (1912) → 한족회 (1919)

   2) 경학사 - 이회영, 이시영 - 신흥 강습소 설치 (1911 최초의 자치기구)

   3) 부민단 - 신흥 학교(1912), 백서 농장

   4) 한족회 - 국내 진입위해 , 신흥무관학교 (1919)

   5) 서로 군정서 (1919) - 보약사 (1913)를 확대시켜 박장호, 백삼규 등이 주도

   6) 광복군총영 (1920) - 임시정부 직속

   7) 대한국민단 (1921)

   8) 대한통의부(1922)

   9) 육군 주민 참의부 (1924)

  10) 정의부 (1924)


  (2) 북간도

   1) 중광단 (1911) - 대종교 중심 → 후에 김좌진의 ‘북로군정서’로 개편 → 사관양성소

   2) 대한 국민회 (1919) - 간민회(1913)에서 변경

   3) 대한 독립군 (1919) - 홍범도

   4) 군무 도독부 - 최진동

   5) 무오독립선언 (1913)

   6) 서전서숙 (1906) - 이상설

   7) 명동학교 (1908) - 김약연

   8) 대한독립군단 (1922)

   9) 신민부 (1925)





  (3) 북만주 밀산부

   1) 한흥동 (1909) - 이상설

   2) 한민학교 (1909)


  (4) 수난

   1) 간도참변 (경신참변) - 소련 적색군의 공격

   2) 미쓰야 협정 (1925)

   3) 만보산 사건 (1931) → 한·중을 이간질

*종교계

 1) 대종교 - 북로군정서   /   2) 개신교 - 대한 신민회  /  3) 천주교 - 의민단


 4. 연해주 이주 동포

  (1) 한민회 (1905) - ‘해조신문’

  (2) 13도 의군(1910) - 유생 의병장인 유인석, 이상설

  (3) 성명회 (1910) - 유인석, 이상설, “광복 날까지 피의 투쟁”

  (4) 권업회 (1911) - 이종호, 이상설, 홍범도 →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5) 대한 광복군 정부 (1914)

   1) 임시정부의 탄생의 계기

   2) 정통령 - 이상설   /   부통령 - 이동휘

   3) 블라디보스토크

  (6) 대한 국민의회 (1919) - 한족회 중앙 총회가 정부형태로 개편 (노령 임시 정부)

  (7) 1920년대 : 볼세비키 정권 후 ‘자유시 참변’ 등으로 약화

  (8) 1930년대 - 강제 이주 (중앙아시아) (1937)

  (9) 한인단체 결집시도

   1) 전로한족회중앙총회 (1917)

   2) 10월 혁명 (1917) - 이동휘 석방

   3) 한인사회당 (1918) - 문덕 중학교, 집지 ‘자유종’ → 고려공산당 (1921)


 5. 미주 이주 동포

  (1) 교민 단체의 결성

   1) 하와이 - 신민회(1903), 한인합성협회 (1907)

   2) 본토 - 공립협회 (1905) / 흥사단 (1913, 안창호 LA) - ‘동광’ 잡지 발행

   3) 대한인 국민회 조직 (1910) - ‘신한민보’ / 박용만, 이승만

   4) 대조선 국민 군단 (1914) - 박용만, 하와이

   5) 구미 위원부 (1919)  - 이승만, 임시정부 외교 사무소, ‘한국평론’ - 월간지

   6) 한인소년병학교 (1909)

  (2) 멕시코 - 숭무학교


6. 일본 이주 동포

  (1) 최팔용 - 조선 청년 독립단 → 2.8 독립선언 발표

  (2) 조선인노동동맹회 (1922) / 북성회 (1922) / 일월회 (1925) / 조선여자 삼월회 (1925)

  cf) 관동 대학살 - 지진 때 유언비어로 일본의 조선인 피해

* 이상설

1) 서전서숙 (1906) - 북간도 용정, 최초의 민족주의 교육기관

2) 헤이그특사 (1907) - 이상설, 이위종, 이준 등이 을사조약의 무효를 밝힘

3) 권업회 (1912) - 이상설, 이종덕 / 블라디보스토크 / 무장조직의 성격을 감추기 위해 실업을 권한다는 뜻

4) 대한광복군정부 (1914) - 대통령 이상설, 부통령 이동휘 / 블라디보스토크 / 만주에 사관학교 설립

5) 신한혁명당 (1915) - 이상설,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박용만, 조소앙



Ⅲ. 독립군의 항일 전쟁과 시련


 1. 국외의 독립군 부대 활동

  (1) 만주 - 대한 독립단, 서로 군정서, 북로 군정서, 대한 독립군, 국민회군, 태극단, 대한 통의부

  (2) 연해주 - 신민단, 경비대, 혈성단

  (3) 미국 - 국민 군단, 비행사 양성소, 소년병 학교


 2. 독립 전쟁

  * 봉오동 → 훈춘사건 → 청산리 → 간도참변 → 대한독립군단 → 자유시참변

    → 3부 성립 → 미쓰야 협정 → 3부 통합운동 → 혁신의회 → 한중연합


  (1) 봉오동 전투 (1920. 6)

   1) ‘삼둔자’에서 패배 후 일본이 봉오동을 기습

   2) 홍범도 ‘대한 독립군’ + 안무 ‘국민회 독립군’ + 최진동 ‘군무 도독부군’ - 대승

  (2) 청산리 전투 (1920. 10. 10.)

   1) 훈춘 사건 조작 (일본)

   2) 김좌진 ‘북로 군정서’ 등

   3) 백운평 전투, 완루구 전투, 천수평 전투, 어랑촌 전투


 3. 시련

  (1) 간도참변 (경신참변) - 1920. 10.

  (2) 자유시 참변 (1921)

   1) 대한 독립군단 조직 (밀산부) - 홍범도, 서일, 김좌진

   2) 자유시 참변 - 소련으로 이동, 적색군(소련) vs 백색군 (반혁명군) 중 적색군을 도움

   3) 이용만 당하고 강제 해산


 4. 독립군의 재정비


  (1)  대한 통의부 (1922) - 남만주

   1) 서로군정서 + 대한 독립단

   2) 공화주의 vs 복벽주의로 분열 - 다시 분열 (1923) - 통의부,의금부


  (2) 3부의 조직

   1) 육군 주만 참의부 (1923 ~ 1927) - 백광운 (임시정부 직할)

   2) 정의부 (1925 ~ 1927) - 오동진, 지청천

   3) 신민부 (1925 ~ 1927) - 김좌진 (간도 참변후 소련 영토에서 되돌아온 독립군이 조직)

   4) 성격 - 민주적 민정기관, 군정 설치


 5. 미쓰야 협정 (삼실협정, 1925)

  (1) 독립군 체포시 보상금

  (2) 만주 군벌 장쭤린 과 총독부 미쓰야

     “중국 관헌은 각 현에 통고하여 재류 조선인이 무기를 휴대하고 조선에 침입하는 것을 엄금한다.

      이를 어긴 자는 체포하여 조선 관헌에 인도한다.”


6. 3부의 통합 운동 (1926, 북경)

  (1) 혁신의회 (1928) - 한국독립당, 한국 독립군 결성 (지청천) ← 촉성회

  (2) 국민부 (1929) - [만주사변 후] 조선 혀명당, 조선 혁명군 (양세봉)  ← 협의회




7. 한·중 연합 작전

  (1) 만주사변 (1931) 계기

  (2) 촉성회 →  한국 독립군 (지청천) + 중국 호로군

                -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의란, 아성, 징보, 대순자령 전투)

             → 한국광복군

  (3) 협의회 → 조선 혁명군 (양세봉) + 중국 의용권 - 홍경성 전투, 영릉가 전투 (도보가, 청원, 결석령 전투)

             → 조선의용대 → 한국광복군 제1지대에 흡수, 통합

  (4) 약화 - 일본의 대토벌작전, 중국군의 사기 저하


 8. 만주사변(1931. 9)과 중일 전쟁 무렵 독립군

  (1) 동향

   1) 추수투쟁, 춘황 투쟁 (1931)

   2) 동북 인민 혁명군 결성 (1933)

    a. 한인 항일 유격대 (만주 공산계열) + 중국 공산당 유격대 (중국 공산당 계열 정규군)

    b. 동북 ‘항일 연군’으로 개편 (1936) → 조국 광복회 조직

  (2) 조국 광복회 조직 (1936)

   1) 민족 연합 전선 실현

   2) 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결합

  (3) 보천보 전투 (1937)

   1) 동북 항일 연군 대원에 의해 발생

   2) 일제 행정 관청을 태우고 압록강을 건너다 추격하는 일본군에 상당한 피해

   3) 이 사건으로 조국 광복회의 국내조직 색출과 만주 지역 독립군에 대한 공세를 펼침


9. 민족 연합전선의 형성 노력

  (1)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1932)

  (2) 민족 혁명당 창당 (1935) - 남경

   1) 민족 독립운동, 단일 정당, 의열단, 한국독립당, 신한독립당, 조선혁명당, 대한독립당

   2) 김원봉 중심의 의열단이 주도하자, 지청천, 조소앙이 탈퇴

   3) 조선 민족 혁명당 (1935)으로 개편 - 조선 민족 전선 연맹 결성 (1937) : 사회주의계 통일조직

      → (But) 조선 의용대 편성 (1938) : 호가성 전투(1941), 반소탕전 (1942) → 한국광복군에 합류

     

  (2) 전국 연합 진선 협회 (1939)

   김구 중심, 임시정부 핵심 - 한국 국민당 (1935) → 민족주의계 : 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 (1937, 광복전선)

   → 조선민족 전선과 제휴 (1937)하여 만듦 → (But) 한국광복군 (1940) → 1942 의용대를 흡수

   * 한국 광복운동 단체 연합회 -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협회, 조선혁명당


 10. 한국광복군

  (1) 연합작전 수행

   1) 대일, 대독 선전 포고문 (1941 - 태평양전쟁)

   2) 연합군으로 영국군과 미얀마, 인도 전선 작전 수행

  (2) 심리전에 참가 - 회유방송, 포로심문, 암호번역 등

  (3) 국내 진입 작전 계획

   1) 국내 정진군의 편성 - 총사령관 - 지청천  /  지대장 - 이범

   2)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  “왜적이 항복하였다 ~ 하늘이 무너지는 듯 한일 ~”

 11. 화북 지역의 활동

  (1) 화북 조선청년 연합회 (1941)

   1) 최창익

   2) 무정을 중심으로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확대, 개편 → 조선독립 동맹 결성

  (2) 조선독립동맹 (1942)

   1) 김두봉 (사회주의계)

   2) 민주공화국 목적, 친일 재산 몰수, 8시간 노동제, 남녀평등, 의무교육,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

   3) 조선 의용군 조직 (1942) - 중국 팔로군과 연합작전 수행 - 북한 인민군에 편입 (194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