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일제시대 경제적 저항 운동

by 소이나는 2009. 11. 14.
반응형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Ⅰ. 농민 운동

 1. 배경

  (1) 농장 확대 - 일본의 토지 약탈, 한국인 지주성장

  (2) 결과 - 농민 이탈, 소작

 2. 1920년대 소작 쟁의의 전개

  (1) 소작

  (2) 무현군 (신안) ‘암태도 소작쟁의’ (1923), 동양척식주식회사 농장소작쟁의(1924) 

3. 1920 중반 - 조선 농민 총동맨 (1927)

 → 소작료 인하, 생존투쟁, 소작권 이전 반대

 4. 1930 이후

  1) 동양 척식주식회사

  2) 비합법적, 혁명적 농민 조합 조직 → 항일, 사회주의와 연계

  3) 더욱 활기 있게 전개



조선 노동 공제회

(1920) →

조선노동 공제회(22) →

전 조선 노동대회(24)

 → 조선노농 총동맹

→ 조선 노농 총동맹 (27)

조선노동 연맹회(22) →

조선노동연맹회 (24)

남선 노농 동맹(24)

→ 조선 농민 총동맹 (27)


Ⅱ. 노동 운동, 노동 쟁의

 1. 계기

  1910 - 80% 이상 농업

  1930 이후 - 노동자

 2. 원인

  - 열악한 조건,  민족 차별,  일본의 독점 자본주의의 수탈

 3. 노동 조합의 결성 - 조선노동 총동맹, 적색 노동조합 

 4. 1920년대 후반기 - 영흥 노동자 총파업(1928), 원산노동자 총파업(1929) - 생존 

 5. 1930년대 - 투쟁적, 항일

    

Ⅲ. 민족 기업의 육성

 1. 배경 - 민족산업육성, 경제적 자립도모 

 2. 소규모 공장 건설이 두드러짐 

 3. 민족 기업의 설립

  (1) 평양 메리야스 공업 (서민)

  (2) 물산장려운동

  (3) 경성 방직 주식회사 (지주)

 

Ⅳ. 물산 장려 운동 (1922)

 1. 사회주의 계열은 부르주아 운동 이라며 불참 

 2. 자본가 이익 독점

 3. 자작회 (1923)

 4. 물산장려회 - 조만식, 평양

 5. “내 살림 내 것으로 ~”,  “조선인이 만든 것을 입고, 먹고, 쓰자.”

    “독립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장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독립의 기초가 되는

     경제와 문화 분야와 실력을 양성하는 일이다.”

 

1. 1920년대 농민·노동운동에 대한 설명

 1) 소작 쟁의는 주로 소작인 조합을 중심으로 전개 되었다?  (O)

 2) 노동 운동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투쟁은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었다?  (O)

 3) 농민 운동으로 안태도 소작 쟁의가 일어났다?  (O)

 4) 농민·노동자의 쟁의가 절정에 달하였다?  (X)  ☞ 1930년대

 

2. 애국 계몽운동

 1) 학회, 학교 설립, 문화 운동 등을 통해 대중을 계몽하고자 하였다?  (O)

 2) '식산흥업‘표방, 실력 양성론 등은 제국주의 침략을 묵인한 한계이다?  (O)

 3) '우승열패론‘을 기반으로 약자에 대한 강자의 지배를 인정하였다?  (O)

 4) 의병의 항일 투쟁에 호의적이었다?  (X)

 

<참고>

1. 동제사 - 상하이 1912 - 신규식 - 한국 유학생

2. 일본의 민족 기업 육성 억압정책 - 회사령, 어업령, 광업령, 전매제도

3. 방곡령 (1889) - 황무지 개간 저지 - 보안회 (190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