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일제시기 사회의 변화 (민족 유일당 운동, 형평운동)

by 소이나는 2009. 11. 15.
반응형

 

일제 강점기의 사회 변화


Ⅰ. 독립운동

 

 1. 독립운동의 세력의 분화

  (1) 계기 - 3.1 운동 좌절 후

  (2) 민족주의 세력 - 민족 해방

   1) 자본주의 국가체계

   2) 이상재, 안재홍 - 실력양성 운동 (비타협적)

   3) 이광수, 최린 - 민족개량 주의

  (3) 사회주의 세력 - 노동자, 농민 = 민족해방 + 계급해방 → 노동 농민 운동, 쟁의

  (4) 아나키스트 (무정부주의) 운동 - 모두 부정


 2. 사회주의

  (1) 수용 - 레닌의 약소국 독립운동 지원 약속

  (2) 역기능 - 내부의 갈등, 민족운동과 대립

  (3) 순기능 - 사회·경제 대중 운동의 활성화 (여성, 청년, 노동자)

  (4) 민족 유일당 운동의 대두

  (5) 국내 단체

   1) 서울 청년회 (1921)

   2) 신사상 연구회 (1923)

   3) 화요회 (1924)

   4) 북풍회 (1924)

   5) 조선 사정연구회 (1924)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중심

   → 통합운동 : 고려 공산 청년회, 조선 공산당(1925)


* 조선 공산당 (북풍회 중심)

 

    1차 - 김재봉

          1) “조선의 완전 독립”

          2) 12월 테제 “공산당 조직의 어려움은 일제의 탄압에 의한 객관적 조직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고질적인 당내분파 투쟁에서 초래되고 있다.”

          3) 9월 테제 - 혁명노동운동으로 전환 지시

          4) 10월 서신 - 노동대중 속 혁명

          5) 신의주사건으로 해체 (박헌영의 비밀문서)        

    2차 - 강달영 ‘국민당’결성 

          1) 코민테른은 서울청년회, 화요회 동시 인정 

          2) 6·10만세 운동 주도

          3) 순종 인산일 격무으로 해체

    3차 - 김철수, ML당, 안광청, 신간회 결성 등에 참여         

    4차 - 차금봉, 반제국주의 혁명노선

 


  (6) 국외

   1) 이르쿠츠크파 고려 공산당 (고려 혁명군) -볼셰비키당에 직결된 조직 (노농 소비에트 건설 목표)

   2) 상해파 고려 공산당 (대한 의용군) - 이동휘 등

 


Ⅱ. 민족 유일당 운동 (민족 협동 전선)

 

 1. 배경

  (1) 국공합작 - 중국의 공산당, 국민당 합작을 보며 통합 노력

  (2) 북경 촉성회 창립 (1926) - 안창호의 단결 호소

  (3) 6·10 만세 운동 (1926)

  (4) 조선 민흥회 창립 (1926) - 사회(서울 청년회계) + 민족 (조선 물산 장려회)

  (5) 자치론 비판

   1) 식미지배 인정 - 이광수, 최린 → 비타협적 세력

   2) 자치운동 : 지배를 인정하고 자치권을 획득하자

  (6) 정우회 선언 (1926)

   1) 사회주의계

   2) 분파 투쟁의 청산, 사상 단체의 통일, 경제 투쟁에서 정치투쟁

   3) 신간회 창립의 중요계기

   ☞ “민족주의적 세력의 대두로 인하여 전개되는 정치적 운동의 경향에 대하여는 그것이 필요적 과정의 한 형세인

       이상 우리는 냉연히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할 수 없다. ~ 민족주의적 세력에 대하여는 그 부르주아민주주의적

       성질을 명백하게 인식하는 동시에 또 과정적 동맹자적 성질도 충분히 승인하여 그것이 타락하는 형태로

       출현되지 아니하는 것에 한하여 적극적으로 제휴하여 대중의 개량적 이익을 위해서도 종래의 소극적 태도를

       버리고 분연히 싸워야 할 것이다.”

 

 2. 신간회 (1927 ~1931)


  (1) 배경 - 6·10만세운동, 정우회 선언


  (2) 결성 -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경계  - 사회주의와 연대

   1) 민족 유일당, 민족 협동 전선

   2) 이상재, 안재흥, 문일평, 한용운, 이승훈, 홍명희, 조만식

   3) ‘신간출고목’이란 말에서 명칭을 정함


  (3) 조직 - 일제하 최대의 합법적 항일 단체


  (4) 기본강령

   1) 정치적, 경제적 각성 촉진

   2)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한다. (민족 사회 연대 강하)

   3) 기회주의 일체 부인 (자치론자를 비판)


  (5) 활동

   1) 사회운동 전개

    a. 소작쟁의

    b. 수재민 구호 운동

    c. 재만 동포 옹호 운동

    d. 원산 노동자 총파업의 지원

    e. 갑산 화전민 학살사건 진상 규명운동

   2) 광주 학생운동 후원


  (5) 사업목표

   1) 한국어

   2) 조선인 본위의 교육제도 실시

   3) 일본 이민 반대

   4) 사상 연구의 자유

   5) 착취기관 철폐

   6) 한국인에 대한 특수 법규 철폐

   (X - 무장투쟁)


  (6) 해체

   1) 코민테른의 좌경화 정책 - 코민테른 ‘12월 테제’발표 → 전선폐기

   2) 중앙 본부의 우경화로 지회와 마찰

   3) 일제의 탄압


  cf) 프로핀테른 : 적색 녹동조합 인터내셔널 - 신간회를 민족개량주의 단체로 규정

 


 * 신민회 (1907 ~ 1911)

  1) 안창호, 양기탁, 비밀결사단체

  2) 민족의식, 독립사상, 동지의 결합, 단합

  3) 상공업기관건설, 교육기관 설립, 청소년교육, 부 창출

  4) 국권회복, 공화정책

  5) 문화, 경제적 실력 양성 운동

   a. 대성학교 (안창호), 오산학교 (이승훈), 태극서관 (대구), 도자기회사 (평양), 조선 광문회

  6) 독립군 기지 건설

  7) 해체 - 105인 사건



 3. 근우회

 (1) 여성계 민족 유일당 (신간회의 자매단체)

 (2) 김활란, 황신덕, 정종명, 주세죽

 (3) 여성 차별 철폐 / 봉건적 미신타파 / 조혼금지 / 결혼의 자유 / 인신매매·공창 폐지 /

     농촌 부인의 경제적 이익 옹호 / 산후 임금 지불 / 야간 근무 폐지 /

 (4) “인류 사회는 많은 불합리를 생각하는 동시에, 그 해결을 우리에게 요구해 마지않는다. ~

      일어나라! 오너라! 단결하자! 분투하자! 조선 자매들아!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사회주의

조선공산당(화요회, 북풍회) → 정우회

 = 조선 민흥회 →

신간회

민족주의

실력 양성운동 (비타협 민족주의, 자치운동) 정우회를 지지



Ⅲ. 여성 운동과 학생 운동

 

 1. 여성운동

  (1) 여자 청년회, 부인회 - 평등, 문맹퇴치, 구습타파, 생활개선

  (2) 조선여자 교육회, 조선 여자 기독교 청년회

  (3) 근우회

  (4) 중앙여자청년동맹(1926)


 2. 소년운동

  (1) 천도교 - 청년회

  (2) 조선 소년 연합회 (1927) - 방정환

  (3) 중일 전쟁 후 중단


 3. 청년운동

  (1) 물산장려운동, 민립 대학 설립

  (2) 조선 청년 총동맹 (1924)


 4. 학생운동

 (1) 노예교육철폐, 역사, 조선어, 학생회 자치, 언론집회 자유

 (2) 광주 항일학생 운동 (1929)

 (3) 2·8독립선언, 3·1운동

 (4) 조선학생대회 (1920)

 (5) 조선학생회 (1922)

 (6) 6·10만세운동

 (7) 동맹휴학전개(1927)




Ⅳ. 형평 운동

 1. 배경 - 사회적 차별

  cf) 도한 - 백정의 다른 명칭

 2. 전개

  (1) 진주 이학찬조선 형평사 (1923) → 운동

  (2) “백정은 어떠한 지위와 압박을 받았는가? ~~”

  (3) 목표 - 저울 처럼 공평한 사회 건설

  (4) 조선 형평사 혁신동맹창립총회 (1924, 천안)

 3. 민족 해방 운동 성격 

 4. 변화

  (1) 1920말 - 급진파, 온건파 대립

  (2) 1930 중반 - 1936 ‘대동사’로 개칭 → 사회주의 계열의 순수 경제 이익 운동

 

Ⅴ.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변화

1. 인구의 증가

  [서울] 1920 (24만) → 1940 (93만)

 2. 일본인 거리

  1) 본정 - 충무로      2) 명치정 - 명동             3) 황금정 - 을지로

  4) 청계천의 북쪽은 북촌(한국인), 남쪽은 남촌 (일본인)

 

Ⅵ. 의식주 생활의 변화

 1. 의생활

  (1) 한식 양식 혼합

  (2) 1910 - 가르마, 블라우스, 스커트, 단발머리, 파마, 스타킹

  (3) 1940 - 국방색 국민복, 몸뻬

 2. 식생활 - 과자, 빵, 케이크, 스테이크, 수프, 아이스크림 

 3. 주택

  (1) 1920 - 개량한옥 - (사랑방과 문간방이 없음)

  (2) 1930 - 2층 양옥

  (3) 1940 - 영단주택

  (4) 변두리 - 토막집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세계 (현대사회)  (1) 2009.11.18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사의 연구)  (1) 2009.11.17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0) 2009.11.17
현대사회 연표  (0) 2009.11.16
일제시대의 문예활동  (1) 2009.11.16
민족 교육 진흥운동  (0) 2009.11.15
일제시대 경제적 저항 운동  (2) 2009.11.14
항일운동  (2) 2009.11.13
항일 독립 전쟁  (0) 2009.11.13
대한민국 임시정부  (0) 2009.11.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