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현대사] 현대 사회의 변화

by 소이나는 2009. 11. 22.
반응형
 

현대 사회의 변화


Ⅰ. 인구의 변화

 1. 광복 직전 - 2,600만 정도 

 2. 휴전 직후 - 베이비 붐 - 출산율이 6.3명 

 3. 1960년대 - 출산율 감소, 비율 변화, 핵가족화, 남녀 성차별

 4. 연령별 인구구성의 변화 - 60년대 피라미드형 → 90년대 종 모양 → 2000년대 고령화


Ⅱ. 산업화와 도시화

  

Ⅲ. 농촌 사회의 변화

  60년대 - 4H운동 머리, 가슴, 손, 건강 - 사회 문제를 해결

  70년대(새마을 운동) - 쌀의 자급 자족이 가능

  

Ⅳ. 노동 계층의 확대와 노동 운동

 1. 노동 계층의 확대

 2. 노동 환경- 고통 

 3. 노동 운동

  (1) 전태일 분신 사건 (70) - “근로 기준법을 지켜라” - 박정희 정부의 탄압

  (2) YH사건 (79) - 가발 생산 업체 생존권보장

  (3) 87년 - 전국적 노동운동

  (4) 91년 - 국제 노동기구 (ILO) 기본 조약 비준

  (5) 95년 - 전국 민주 노동 조합 총연맹 결성

  (6) 98년 - 노사정 위원회 발족

 

Ⅴ. 여성 운동


Ⅵ. 사회 보장 정책

 1. 소외 계층 문제의 발생 

 2. 정부의 대책

    - 국민연금법, 의료 보험 제도 확대, 고용 보험 제도 국민 연금제도, 국민 건강 보험법,

       남녀 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Ⅶ. 시민 운동의 성장

 1. 계기 -  6월 민주 항쟁 이후 NGO가 늘어남 

 2. 시민운동 단체 (NGO)

 

Ⅷ. 의식주 생활의 변화

 1. 의생활

  (1) 50년대 - 플레어스커트, 타이트 스커트, 맘보바지

  (2) 60년대 - 미니 스커트  / 군사정권 - 남성은 작업복 스타일의 ‘재건복’, 여성은 ‘신생활복’

  (3) 70년대 - 미니, 맥시, 판탈롱, 핫팬츠

  (4) 80년 이후 - 캐주얼 웨어

 2. 식생활 

 3. 주생활

 

 



 


 현대 문화의 성장과 발전


<1> 한국학 연구·서구 문화의 수용, 전통문화의 계승


Ⅰ. 한국학 연구의 발전

 

 1. 광복 직후  - 식민지 잔재 일소 노력, 단절된 전통문화 복원 노력

 2. 50년대 중반 이후

  (1) 학회 창립 - 역사학회, 국어 국문학회, 한국 철학회

  (2) 우리말 큰사전 완간 (57년) - 한글 학회

 3. 60년대 중반 이후  - 한국학 진전, 민족주의적 성격 강화


Ⅱ. 서구 문화의 수용과 전통문화의 계승

 1.  서구 문화의 수용, 영향 

 2.  전통문화의 계승

  


<2> 언론 활동의 발달, 교육의 확대


Ⅰ. 언론 활동의 발달

 1. 언론의 확대 

 2. 언론에 대한 통제 

 3. 언론의 자유 확대와 책임  - 6월 광주항쟁이후

  


Ⅱ. 교육의 확대

 1. 학제 - 미국식 633학제 

 2. 교육의 이념 - 홍익인간 

 3. 교육 기관의 확대 

 4. 높은 교육 열기 

 5. 5·16군사 정변 이후 - 근대화 운동, 교육관계 특례법 제정 

6. 박정희 정부 - 반공교육, 관료적 통제, 교육제도 정비 

7. 80년대 - 통일 안보 교육, 경제 교육, 새마을 교육 

  


<3> 대중문화의 성장, 체육의 발달


Ⅰ. 대중문화의 성장

  * 2000년대 - 한류

 

Ⅱ. 문학과 예술, 종교와 체육의 발달

 

 1.  문학과 예술

   * 6.25 이후는 서정적

 2. 종교 

 3. 체육 활동의 성장

  (1) 서윤복 47보스턴 마라톤 우승

  (2) 태릉선수촌 - 60년대

  (3) 양정모 레슬링 최초 올림픽 금메달 (몬트리올)

  (4) 시드니 올림픽 (2000) - 태권도 채택

  (5) 남북교류 - 일본 지바 세계 탁구 선수권 단일팀, 시드니 한반도기 동시 입장



<4> 과학 기술의 발전, 북한 문화


Ⅰ. 과학 기술의 놀라운 발전

 

 1. 정부의 과학 기술 육성책

  (1) 50년대 후반 - 원자력 발전소

  (2) 60년대 - 카이스트 설립

 2. 과학기술의 발전

  

Ⅱ. 북한 문화와 예술의 이해

   * 문학 - 피바다, 꽃 파는 처녀, 청춘 송가

  



 

<참고>

 

1. 김구

 1) 신민회, 한인 애국단, 한국 국민당,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 한국 광복군, 반탁 독립 투쟁 위원회 위원장

 2) 이봉창, 윤봉길 지휘, 대일 선전 포고,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발표, 조언 인민 공화국 내각 내무부장 선임

 3) 경교장에서 안두희에게 암살

 

2. 김규식

 1) 파리 강화 회의에 한국 대표, 임시 정부 부주석, 조선 민족 혁명당 당수,

 2) 평양 남북 연석회의 참가, 5.10 총선 거부, 통일 독립 촉성회 결성, 남조선 대한국민 대표 민주 의원 부의장

 

3. 여운형

 1) 배재학당, 2.8독립선언, 3.1운동, 조선중앙일보 사장, 조선 건국 동맹 결성, 농민 동맹 결성

 2) 좌우 합작 위원회 참석, 저격으로 사망

 

4. 김원봉

 1) 의열단, 황포 군관 학교 훈련생

 2) 조선 민족 통일 전선 연맹, 한국 광복군, 최고 인민 회의 대의원 역임

 

 

<cf>

 

1. 닉슨 독트린 선언 - 우리 정부가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게 된 계기

 

2. 자영농 육성

 1) 신라 성덕왕 정전 지급

 2) 유형원 균전론, 이익 한전론, 정약용 여전론

 3) 1949년 농지 개혁법

 

3.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결사적으로 반대 궐기 했던 사항 - 모스크바 3상회의, 휴전 협정

 

4. 5.10 총선 → 4. 19 (60) → 5. 16 군사 정변 → 3.1 민주 구국선언(76) → 10. 26. 사태, 12.12사태 (79)

   → 광주 민주화 운동 (80) → 6월 민주 항쟁 (87) →

  

5. 87년 6월 항쟁 - 4. 13 호헌 조치를 철회시키기 위한 민주 장정 시작, 40년 독재 청산 → 직선제 개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