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by 소이나는 2012. 5. 19.
반응형

 

 

 

 

 

 

 

민족 문화의 융성


Ⅰ. 조선 초기 민족 문화 발달 배경

 1. 민족적, 실용적인 성격의 학문 

 2. 한글창제 

 3. 성리학 이외 학문, 사상 중시 

 4. 유교 이념에 토대를 둔 국왕의 장려

 



Ⅱ. 교육제도, 과거제도

    [조선] 18-1.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서당, 향교, 성균관, 진사, 생원, 상피제, 백패, 홍패, 증광사, 알성시, 서경제도, 한품서용제, 대가제)  - 보기 클릭


Ⅲ. 한글 창제

 

 1. 배경

  (1) 한자의 불편

  (2) 피지배층의 도덕적 교화 - 양반 중심 사회를 유지

  (3) 농민의 사회적 지위 상승


 2. 창제, 반포 - 정음청을 설치 훈민정음 반포 (1446, 세종)

  1) 초성자 - 발음기관 상형, 가획원리도 관련, 28자

               T) 훈민정음의 초성 글자들은 음성기관의 상형을 기본으로 삼아 만들어졌다?   (O)

  2) 중성자

      a. 삼재, 팔괘의 원리

      b. 해례본 설명에 따르면 천지인 삼재를 기본으로 만들었다.

  3) 종성자 - 초성 중 8개로 충분  ㄱ~ㅇ





 1. 훈민정음 해례본 - 최고 한문 목판본,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


 2. 훈몽자회(1527) - 최세진 : 자음 명칭

    ☞ 처음에 ‘ㄱ'을 '기역’이라 부르지 않았다.

    T) '기역’, ‘니은’은 「훈민정음」 용자례에서 비롯되었다?  (X)

        ➝ 최세진이 훈몽자회에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아, 야, 어, 여 등 표기 시작

    ☞ 현대 한글맞춤법에 제시된 한글 자모 ≠ 훈몽자회 순서

 3. ‘한글’명칭 - 주시경

 4. ‘한글날’ - 1928                                                                                                     (soy 한국사)


 3. 한글의 우수성

  

 4. 보급과 이용

  (1) 한글 서적의 번역· 출간

   1) 용비어천가 - 왕실 덕 찬양

   2) 월인천강지곡 - 부처의 덕

   3) 불경, 농서, 윤리서, 병서  (X- 상공업 지리서)

  (2) 행정 실무에 이용


 5. 의의

  (1) 일반 백성들도 문자 생활 가능

  (2) 민족 문화의 확고한 기반 마련

1. 이두는 고구려에서 발생하여 신라에서 발달하였다?  (O)

2. 향찰로 된 글은 문장 전체를 고유어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O)



Ⅳ. 역사서의 편찬

      [조선] 18-2. 조선 전기 역사서의 편찬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국사, 동국사략, 의궤)  - 보기 클릭



Ⅴ. 지도·지리서 편찬

 

 1. 목적 - 중앙 집권, 국방 강화


 2. 지도의 제작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역대제왕혼일강리도 - 태종 : 이회, 이무, 김사형)

    1) 동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 현존

    2) 아메리카 대륙은 빠져 있음, 유럽, 아프리카, 한반도, 중국, 일본 등

    3) 아라비아 지도학의 영향을 받아 모든 원나라 세계지도에 한반도의 지도를 덧붙인 것 
      

  (2) 팔도도 (세종)

      T) 과학 기구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제작된 양성지의 팔도도는 압록강 이북까지 상세히 기록하여,

         당시 국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3) 동국지도 (세종 ~ 세조, 양성지) - 최초의 실측 지도 (‘이지의’등 이용, 북방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

  (4) 조선방역지도 (명종) - 현존, 만주와 쓰시마 섬 표기, 영토 의식 반영

       


 3. 지리서

  (1) 신찬팔도지리지 (세종) - 전라·경상도 등 8도

  (2) 팔도지리지  (1. 성종 - 양성지 1478 /  2. 세종 - 1432)

  (3) 동국여지승람 (성종, 노사신 1481)

       1) 우리 국토의 역사·문화 정리 - 연혁, 지세, 인물, 풍속, 성씨, 고적, 산물, 시문, 교통 등이 자세히 수록

       2) 수령이 참고 가능, 민족 고취

  (4) 신증동국여지승람 (중종 ) - 오늘 날까지 전해짐, 한반도 중심의 역사의식

  (5) 해동제국기 (세종~성종, 신숙주 1471) - 일본에 다녀온 후 
      

  (6) 세종실록지리지 (1453) - 각 지역의 연혁, 산물, 인물, 성씨, 호구, 단군신화 내용 등 기록

   cf) 조선 후기 - 동국여지도(영조), 여지도서(영조)


 4. 군·현의 읍지 편찬 (16c 사림)


Ⅵ. 윤리, 의례서, 법전 편찬

      [조선] 18-3. 조선 윤리서, 의례서, 법전의 편찬 (국조오례의,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경국대전, 대전통편, 속대전, 경제육전, 경제문감, 대전회통)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0) 2012.05.21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3) 2012.05.20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5) 2012.05.20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2) 2012.05.20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0) 2012.05.20
[조선] 18-3. 조선 윤리서, 의례서, 법전의 편찬 (국조오례의,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경국대전, 대전통편, 속대전, 경제육전, 경제문감, 대전회통)  (0) 2012.05.19
[조선] 18-2. 조선 전기 역사서의 편찬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국사, 동국사략, 의궤)  (0) 2012.05.19
[조선] 18-1.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서당, 향교, 성균관, 진사, 생원, 상피제, 백패, 홍패, 증광사, 알성시, 서경제도, 한품서용제, 대가제)  (0) 2012.05.18
[조선] 17. 조선 전기 경제활동 (양반 평민 농민의 경제활동, 조선 전기 수공업, 조선 전기 상업, 육의전, 경시서, 장시, 윤작법, 이모작, 관영수공업)  (0) 2012.05.18
[조선] 16. 조선시대 경제 정책, 경제구조, 수취체제 (과전법, 직전법, 관수관급제, 전분6등법, 연분9등법, 공납, 요역, 조창, 경창, 방납, 환곡, 조선시대 조운로)  (2) 2012.05.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