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8-1. 조선 천주교의 전래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호박해, 남인, 진산 사건, 추조 적발 사건)

by 소이나는 2012. 5. 24.
반응형

 

 

 

 

1. 소개 - 17세기 우리나라 사신 들이 베이징 천주당을 방문 후 한문교리서를 통해 ‘서학’으로 소개  (x-프랑스 신부)

광해군

허균

최초의 신자

이수광

‘지봉유설’에서 ‘천주실의’를 소개(최초로 천주교 소개), 불교와 차이점 언급

유몽인

‘어우야담’에서 유·불·선과 천주교의 차이점을 논함

인 조

정두원

천주교서적, 화포, 자명종, 천리경 수입

소현세자

북경에서 아담 샬로부터 천주교 서적, 천주상, 과학 서적 수입


 2. 천주교의 신앙 활동 -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 실학자), 한글로 번역된 교리서 보급

 

 3. 천주교의 금압

  (1) 초기 - 정부가 스스로 사라질 것이라 여김

  (2) 원인 : 전례문제가 계기 - 유교의 제사 의식 거부하자 신분질서 부정과 국왕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생각

  (3) 추조 적발 사건 (정조 1785)

      - 김범우의 집에서 예배를 보다가 의금부(추조)에 적발 - 혹세무민하는 사교로 규정하여 금지령                 (soy 한국사)

  T) 남인 학파 인물 가운데 서학의 수용에 비판적인 인물은?  안정복「천학문답」


 4. 천주교의 박해

   * 신해 → 신유 → 기해 → 병오 → 병인


  (1) 사교로 규정 (추조적발사건 1785 - 정조) : 역관 김범우의 신앙 집회 발각


  (2) 신해박해 (정조, 1791)

   1) 최초의 박해

   2) 진산 사건 : 윤지충의 신주 소각 사건이 발달

   3) 천주교에 관대하던 시파의 시기라 큰 탄압은 없음



 

  (3) 신유박해 (순조, 1801)

   1) 노론 벽파가 남인 시파를 축출하며 정치적으로 박해 → 시파 위축, 실학 쇠퇴

   2) 이승훈, 이가환, 정약종 (남인), 청나라 신부 주문모 = 사형 / 정약전, 정약용 = 유형

   3) 황사영 백서사건 발생 - 북경 프랑스 주교 주교에게 북경의 군대를 동원해 조선의 신앙과 포교의 자유를

                             보장받게 해달라는 서신이 발각 → 탄압이 심해짐 (X-로마주교)

   4) 조선 교구의 설립 (1831)






  (4) 기해박해 (헌종, 1839)

   1) 풍양 조씨가 세도하며 천주교 탄압

   2) 프랑스 신부 (모방, 샤스탕), 정하상(정약전 아들) = 순교

   3) 오가작통법 실시 - 연대 책임제

   4) 척사윤음 발표 - 사교를 배격하자는 내용

   5) ‘상재상서’ - 정하상이 작성 : 재상에게 올리는 글이라는 뜻으로, 천주교 교리의 정당성을 알리고자 작성

      “죽은 사람 앞에 술 음식을 차려 놓는 것은 천주교에서 금하는 일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에도 영혼은

       술과 밥을 받아먹을 수 없는데, 하물며 죽은 뒤 영혼이 어찌하겠습니까?”


  (5) 병오박해 (헌종, 1846) - 한국인 최초의 신부 김대건 순교


  (6) 병인박해 (고종, 1866)

   1) 최대의 박해

   2) 프랑스 신부 9인, 남종삼 등 수천명 순교 → 프랑스의 침입, 병인양요 발발의 구실


 5. 천주교 교세의 확장

  (1) 남인 시파 등 불우한 계층

  (2) 확장 배경 - 불안한 사회, 신앞에 평등이라는 교리에 공감

  (3) 하층민과 여성들로부터 큰 호응

  cf) 실학자 이익은 ‘천주교의 천당 지옥설은 불교의 윤회설과 마찬가지로 세상을 현혹하는 종교이다.’ 라고 함

  cf) 이규경, 최한기는 서양세계에 대한 과감한 개방과 통교를 주장

 

*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0-1. 조선 후기 농업 (모내기법, 이모작, 제언사, 타조법, 도조법, 정액지대,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0) 2012.05.25
[조선] 9.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영정법, 대동법, 양척동일법, 균역법, 양역변통론, 선무군관포, 전정, 군정, 삼정의 문란, 삼정, 환곡, 방납, 공납, 백골징포, 늑대, 허류, 반작, 분석, 탄정..  (0) 2012.05.25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0) 2012.05.25
[조선] 8-3. 조선 후기 (19세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7) 2012.05.24
[조선] 8-2. 동학의 개창 (최제우, 용담유사, 동경대전)  (2) 2012.05.24
[조선] 7.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 (부농층, 요호부민, 사족 양반, 향전, 동족부락, 사우, 임노동자, 조선 후기 농민, 자리짜기 김홍도)  (0) 2012.05.24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0) 2012.05.23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0) 2012.05.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0) 2012.05.23
[조선] 3. 조선 후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붕당 정치의 변질, 환국, 경신환국, 숙종,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신축옥사, 경종, 무고의 옥, 장희빈, 숙종의 탕평책, 숙종의 업적)  (0) 2012.05.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