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0-1. 조선 후기 농업 (모내기법, 이모작, 제언사, 타조법, 도조법, 정액지대,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by 소이나는 2012. 5. 25.
반응형

 

 

 

 


 1. 조선 후기의 경제적 변화 - 농업발달(수리시설, 새 작물), 자유 상공업 발달

   

 2. 수취 체제 개편의 한계 - 양반 중심의 지배 체제 유지 


 3. 조선후기 농민 생활

    ☞ “소민의 생업을 보면, 오막살이집에 진흙으로 벽을 발라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어와 사람이

        살기 힘듭니다. ~ 이에 만일 흉년을 당해 망치면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일성록>


 4. 조선 후기 농업

  (1) 모내기법 (이앙법), 이모작 확대

  (2) 금지령에도 이앙법 확산 

      1) 금지한 이유 - 가뭄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

      2) 이앙법 - 벼농사 생산성 증대, 면적당 수확량이 2배 이상 증가, 노동력 절감

      ☞ 「호조 판서 이유가 경연에서 아뢰기를, “모내기는 적은 노력으로 많은 효과를 거두므로, 이를 안 하는 곳이

           없는 지경이니 이를 금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가뭄을 만나면 높고 건조한 곳에서는 농사를 망칠 위험이

           있으니 이를 엄히 금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 “남부 지역에서는 모두 이앙을 한다. 그 노동력이 직파에 비해 5분의 4가 절약되므로 노비나 고공이 많은

          사람들은 경작 면적을 계속 넗혀 가서 토지가 없는 자는 조금도 경작할 수 없다.”

  (3) 광작의 대두 → 일부 부농층 성장 (관권과 결탁), 다수의 임노동자화, 소작농도 광장을 행

  (4) 견종법의 보급 - 밭고랑에 씨를 뿌리는 방법

  (5) 상품 작물의 재배 : 담배 (일본), 인삼 - 개성

  (6) 구황 작물의 재배 : 고구마(일본, 18세기), 감자 (19세기 청)

  (7) 농기구의 개량 - 볏이 달린 쟁기가 보급되어 밭농사 능률이 높아짐.

  (8) 목면, 면포 - 농촌사회 변화 ➝ 생산자와 소비자 분리

  (9) 밭농사에서 가을 보리를 심어 여름에 거둔 뒤 다시 콩, 조를 심는 ‘그루갈이’가 발달

  (10) 영세농의 이농현상


   ☞ 상업적 농업의 발달

      “진안의 담배 밭, 전주의 생각 밭, 임천과 한산의 모시밭, 안동과 예안의 왕골 밭은 우리나라에서

       으뜸으로 꼽히는 곳이다. 이곳들은 이들이 이익을 얻는 원천이다.”     <택리지>

      “왕십리에서 무, 살곳이 다리에서 순무, 석교에서 사지·오이·수박, 연희궁에서 고추·부추·해채, 청파에서

       미나리, 이태원에서 토란 같은 것이 나온다. ~ 그래서 엄행수는 매년 6천전을 벌어들인다.” <연암집>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5. 수리 관개 시설의 발달

  (1) 조선 후기 저수지 축조 - 당진 합덕지, 연안 남대지

  (2) 제언사(현종) - 저수지 관리

  (3) 제언절목 반포 (정조) - 저수지 법률 (독점 소유 금지)

  (4) 논의 비율 증대


 6. 개간사업, 개척사업

  

 7. 지대의 변화

  (1) 지대 변화 -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병행하여 지주권의 약화, 전호권의 성장을 가져왔다.

  (2) 지대

   1) 타조법

       a. 정률지대 : 풍·흉에 따라 지주와 소작인이 수확을

       b. 전세와 종자 그리고 농기구를 소작인이 부담 - 농민에게는 불리 (지주유리, 지주 간섭, 영농 제약)

       c. 대부분이 타조법

   2) 도조법

      a. 소작인에게 유리

      b. 작인이 개간한 토지 등에서 행해짐

      c. 정액지대 : 풍·흉작에 관계없이 해마다 정해진 일정 지대 납부 - 수확량의 1/3  (영농의 자유, 경영 자유)

         → 점차 화폐로 내는 경향이 등장

      d. 도지권을 가진 작인은 도조 토지를 매매할 수 있다.

   cf) 농민 유리 - 대동법, 균역법, 도조법  / 농민 불리 - 영정법, 영농기술 발달, 타조법, 개간 사업



 

7. 몰락 농민의 증가 






신석기

청동기

철기

고려

조선전기

조선 후기

농경 시작

(조, 피, 수수)

남경, 지탑리

벼농사 등장

(본격)

(보리, 콩, 벼)

흠암리, 송국리

가축을 

농경에 이용

저수지

우경 시작

우경의 깊이갈이 일반화

(심경법)

2년3작의 윤작법 보급 시작

가을갈이 농사법

2년3작 윤작법 일반화

상품 작물 재배

구황 작물 재배

광작

녹비+ 가축 배설물

→ 휴경지 감소

밑거름+뒷거름

→휴경지 소멸

견종법

 

돌도끼, 흠자귀

바퀴날도끼

반달돌칼

 

남부 일부 지역에

이앙법 보급(시작)

남부 일부 지역에 이모작 실시

이앙법, 이모작 전국

목화 전래

목화재배확산→ 무명 생산(면직)

광작 현상, 제언사, 제언절목

농상집요’ 원에서 전래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  [조선] 10. 조선 후기 경제 (조선 후기 민영수공업, 선대제 수공업, 대장간 김홍도)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3-2-1. 다산 정약용 (실학자, 여전론, 정전제, 정약용 저서)  (1) 2012.05.26
[조선] 12.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 박세당, 윤휴, 정제두, 강화학파, 치양지설, 지행합일설, 심즉리, 우암 송시열)  (0) 2012.05.26
[조선] 11.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조선 후기 상업, 사상, 공인, 장시, 보부상, 어영상인, 관허상인, 은진 강경장, 경강상인, 조선 후기 대외무역, 금난전권 철폐, 중강, 조선 후기 화폐, ..  (0) 2012.05.26
[조선] 10. 조선 후기 경제 (조선 후기 민영수공업, 선대제 수공업, 대장간 김홍도)  (0) 2012.05.26
[조선] 10-2. 조선 시대 광업 (잠채, 설점수세제, 수령수세제, 덕대, 조선 후기 광업)  (0) 2012.05.25
[조선] 9.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영정법, 대동법, 양척동일법, 균역법, 양역변통론, 선무군관포, 전정, 군정, 삼정의 문란, 삼정, 환곡, 방납, 공납, 백골징포, 늑대, 허류, 반작, 분석, 탄정..  (0) 2012.05.25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0) 2012.05.25
[조선] 8-3. 조선 후기 (19세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7) 2012.05.24
[조선] 8-2. 동학의 개창 (최제우, 용담유사, 동경대전)  (2) 2012.05.24
[조선] 8-1. 조선 천주교의 전래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호박해, 남인, 진산 사건, 추조 적발 사건)  (0) 2012.05.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