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8-2. 동학의 개창 (최제우, 용담유사, 동경대전)

by 소이나는 2012. 5. 24.
반응형

 

 

 

 

 

 

 

 

 1. 개창 - 1860 (철종), 최제우 (유학자)

   → ‘서학’(천주교)에 대항한다는 의미

   ☞ “서도로써 사람들을 가르쳐야 하겠는가 하니 아니다. ~ 영부의 모양은 태극의 그림과 같고 혹은 활궁자를

       겹쳐 놓은 것과 같다. 이 부적을 받아가지고 사람들의 병을 고치며 또 내 주문을 받아가지고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나를 위하게 하라. 그러면 너도 역시 오래 살아서 온 세상을 이롭게 할 것이다.”

   ☞ “서양인들이 천주의 뜻이라 하여 부귀를 바라지 않고 천하를 정복하여 교회당을 세우고 그 도를 널리

       보급시킨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과연 그럴까 어찌 그럴 수가 있을까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 “나도 1년이 거의 지나도록 도를 닦으면서 잘 생각하여 보니 역시 자연스러운 이치가 있으므로

       한편으로 주문을 짓고 한편으로 강령의 법을 만들고 불망의 노래를 지었다.”


   ☞ “나는 그 말씀을 듣고 그 부적을 받아 종이에 써서 먹어 보았다. 그랬더니 몸이 윤택해지고 병이 나았다.

       비로소 선약임을 알았다.”


 2. 동학 사상의 특색

  (1) 유·불·선의 주요내용, 주문·부적 등 민간신앙, 무격신앙, 천주교리까지 흡수 - 종합적 (X- 회교)

  (2) 주기론 - 현실적

  (3) 샤머니즘, 도교 - 궁궁을을이라는 부적, 주술 중요시

  (4) 평등사상 - 시천주인내천 사상 “사람이 곧 하늘이다.~차별을 없애고 선사의 뜻을 받들어 생활하라”

  (5) 후천 개벽 - 조선 왕조 부정

  (6) 보국안민, 제폭구민, 광제창생

  (7) 반봉건적, 반외세적                                                                                                      (soy 한국사)


  ☞ “동양사상 속에 존재하고 있는 천인합일사상이 종래 천에 무게를 두어 인이 매몰되던 것을, 이제는 인에

      무게를 두어 천이 인에 매몰되게 역전시킴으로써 하느님을 사람의 마음속에 넣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이 원리를 더욱 발전시켜 사람들의 마음속에 들어간 하느님이 모두 동일한 하느님을 밝혀

      사람들은 모두 평등하게 되는 원리를 정립하였다.”


  ☞ “서도(西道)로써 사람들을 가르쳐야 하겠는가 하니 아니다. ~ 영부의 모양은 태극의 그림과 같고 혹은

      활 궁(弓) 자를 겹쳐 놓은 것과 같다. 이 부적을 받아 가지고 사람들의 병을 고치며 또 내 주문을 받아

      가지고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나를 위하게 하라. 그러면 너도 역시 오래 살아서 온 세상을 이롭게 할 것이다.”


 3. 동학 교세의 확대, 탄압

  (1) 교조의 처형 - 혹세무민죄로 최제우 처형 (1864)

  (2) 교리 - 최시형은 ‘동경대전’, ‘용담유사’를 씀

     1) 동경대전 -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 한문

     2) 용담유사 - 용담가, 안심가 / 한글 가사체

  (3) 교단 조직, 전국적 확대

   1) 충청도 보은 중심

   2) 배경

      a. 부세부담의 증대와 농민의 유망

      b. 세도정치로 인한 국가 기강의 해이

      c. 이양선 출몰과 서학의 전래로 인한 민심의 동요 

 
[용담유사]                                                                [동경대전]


 






 

동  학

천주교

창시

 최제우 *1860)

 유불선 + 민간 + 천주교

 17세기 서학

 18세기 - 남인 계열 - 신앙

탄압

 인간 존엄, 평등사상 - 최제우 처형

 천주교의 평등사상

확대

 최시형 - 저국 확산

 피지배층, 여성

 

 

*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0-2. 조선 시대 광업 (잠채, 설점수세제, 수령수세제, 덕대, 조선 후기 광업)  (0) 2012.05.25
[조선] 10-1. 조선 후기 농업 (모내기법, 이모작, 제언사, 타조법, 도조법, 정액지대,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0) 2012.05.25
[조선] 9.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영정법, 대동법, 양척동일법, 균역법, 양역변통론, 선무군관포, 전정, 군정, 삼정의 문란, 삼정, 환곡, 방납, 공납, 백골징포, 늑대, 허류, 반작, 분석, 탄정..  (0) 2012.05.25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0) 2012.05.25
[조선] 8-3. 조선 후기 (19세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7) 2012.05.24
[조선] 8-1. 조선 천주교의 전래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호박해, 남인, 진산 사건, 추조 적발 사건)  (0) 2012.05.24
[조선] 7.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 (부농층, 요호부민, 사족 양반, 향전, 동족부락, 사우, 임노동자, 조선 후기 농민, 자리짜기 김홍도)  (0) 2012.05.24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0) 2012.05.23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0) 2012.05.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0) 2012.05.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