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39. 조선 후기 공예, 음악, 무용, 문화 특징 (청화백자, 고비, 구절판, 해주 소반, 사방탁자, 궤, 죽문각병, 송죽문호송치병, 매죽문호, 철사진사국화문병)
1. 조선 후기에는 도시 상인층의 지원에 의해 산대놀이가 민중 오락으로 정착하였고,우리의 고유한 자연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유행하였으며,중인층의 문예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시사가 조직되었고, 설화문학이 유행하여 ‘필원잡기’와 ‘용재총화’가 편찬되었다?(X) ☞ 마지막 문장은 15세기 고려말2. 추월색과 금수회의록은 순한글의 언문일치 문장으로 쓰여 졌다? (O)3. 다음 시기는?(1) 선비들의 정신세계를 사군자료 표현? ☞ 조선 중기(2) 당악과 향악을 속악으로 발전“? ☞ 조선 중기(3) 전통 한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동의보감 편찬? ☞ 조선 후기4. 시대 순으로 배열하기1) 무위사 극락전 → 옥산 서원 → 금산사 미륵전 → 논산 쌍계사2) 금오신화 → 홍길동전 → 구운몽 → 허생전3) 강희안 → 이상좌 ..
2014.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