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5. 이승만 정부, 장면 내각, 4.19혁명 (발췌개헌, 사사오입, 진보당 사건, 2.4파동, 3.15부정선거, 1공화국, 2공화국)
4·19혁명, 민주주의의 성장 Ⅰ. 이승만 정부 (1공, 48~60) 1. 반공 위주의 정책 - 안보중시, 국민의 자유 제약 2. 자유당의 장기집권 기도 (1) 발췌개헌 (52. 7.) : 1차 개헌 - 대통령 직선제로 고침 (2) 5·26 정치 파동 (1952) - 자유당 정권이 부산에서 공비 토벌을 명목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자신의 계엄령에 반대하는 야당 의원을 체포·감금한 정치사건 (2) 사사오입 (54. 11.) : 2차 개헌 - 3선 금지 조항 폐지 (3) 진보당 사건 (58) 1) 배경 a. 진보당이 평화 통일과 혁신노선을 세우며 자유당 정권에 도전 b. 52. 8. 5. 정·부통령 선거 - 조봉암 후보 2위 (조봉암, 평화통일 주장) ➝ 56년 5월 선거에서 이승만 지지세력 참패 ➝ 부통령에..
2012. 6. 9.
[개화기] 7. 개화당의 개혁운동, 갑신정변 (개화당,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우정국사건, 한성조약, 톈진조약)
개화당의 개혁운동 Ⅰ. 개화당 1. 형성 (1) 정치 - 박규수, 유홍기 →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2) 온건 개화파 1) 양무운동에 영향 받음 (중세처용) 2)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3) 동도 서기론 - 윤선학, 곽기락 “바꾸려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 4) 청, 사대당, 수구당 5) 민씨에 참여 6) 기술만 수용 (3) 급진 개화파 1) 메이지 유신에 영향 받음 (문명개화론) 2) 김옥균, 박영호,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 3) 개화당, 독립당 4) 갑신정변 5) 사상, 제도까지 수용 (soy한국사) cf) 홍영식 - 보빙사, 우정총관, 병조참판 ☞ “우리는 돈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지금 빈손으로 돌아가면 집권 사대당이 나를 비판하며 궁지에 몰아넣을 것이다. 어쨌든 우리 당)..
2012. 5. 31.
[조선] 13. 조선 후기 실학, 국학 연구 (홍만종, 임상덕, 안정복, 동사강목, 이긍익, 연려실기술, 한치윤, 해동역사, 열조통기, 유득공, 이종휘, 동사, 정상기, 조선시대 백과사전, 동국지도, 이중..
[조선] 13. 조선 후기 실학, 국학 연구 (홍만종, 임상덕, 안정복, 동사강목, 이긍익, 연려실기술, 한치윤, 해동역사, 열조통기, 유득공, 이종휘, 동사, 정상기, 조선시대 백과사전, 동국지도, 이중환, 김정희, 대동여지도, 조선 후기 지도, 조선 후기 지리서, 산경표, 신경준, 동국지도, 택리지) 실학 Ⅰ. 실학의 등장 1. 실학 - 17~·8세기 2. 등장 배경 (1) 통치 질서의 와해 -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등장 (2) 경제 변화의 발전 (3) 신분 변동 - 몰락한 양반층의 생계, 서민층의 생존 문제에 주목 (4) 성리학의 사회적 기능 상실 (5) 현실 문제를 탐구하려는 움직임 (6) 서학의 영향 (7) 청의 고증학의 영향 - 실사구시 3. 내용 - 이기설에 학문의 중심이 있는 ..
2012. 5. 27.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불교와 민간 신앙 Ⅰ. 불교의 정비 1. 목적 (1) 사회적 - 유교주의적 국가 기초 확립 (2) 경제적 - 국가 재정을 확보 2. 불교 (1) 태조 - 도첩제(허가증) 실시 - 지나친 건립을 금지 * 도첩제 - 포를 낸 사람만 승려 허가 (출가제한) (2) 태종 - 억불책 - 사원 정리, 몰수 (3) 세종 - 선·교 양종으로 통합, 전국에 36개절만을 인정, 내불당 (4) 성종 - 강력한 억불책 - 도첩제 폐지 (출가 자체를 금지) - 산간 불교 (5) 세조 - 숭불 (6) 중종 - 승과를 폐지 (조광조), 승인호패법 실시 (7) 명종 - 승과 부활 (→ 문정왕후 사후 완전 폐지) 3. 명맥 유지 (1) 배경 1) 민간 신앙으로 정착 2) 호국적 - 왕실의 안녕 명복 기원 3) 사회 통합 - 포용·융합..
2012. 5. 21.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성리학의 발달 Ⅰ. 성리학의 정착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 보기 클릭 Ⅱ. 성리학의 융성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 보기 클릭 Ⅲ. 학파의 형성과 대립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 보기 클릭 1. 어느 파의 내용인가? (1) 서해안의 간척 사업과 토지 매입 등을 통해 농장을 확대하였다? ☞ 훈구 (2) 주나라의 제..
2012.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