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의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의 예술)

by 소이나는 2009. 10. 11.
반응형



 

 예술의 발달


 

고분 양식

대표적 고분

벽 화

특 징

고구려

초기

 돌무지 무덤 (석총)

 장군총

X

 

후기

 굴식 돌방무덤 )토총)

 강서 대묘, 쌍영총

O

 도교적, 서역 계통

백제

한성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

X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웅진

 굴식 돌방무덤

 송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큼, 고졸

 벽돌무덤

 무령왕릉

X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송산리 6호분

O

 사신도, 일월도

사비

 굴식 돌방무덤

 능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작음, 세련

신라

일반적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호우총

X

 부장품 보존, 도굴 어려움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어숙묘

O

 고구려, 백제의 영향

통일 신라

 굴식 돌방무덤

 김유신묘, 괘릉

 성덕 대왕릉

X

 12지 신상, 둘레돌

 화장법

 문무왕릉

X

 호국적

발 해

 굴식 돌방무덤

 정혜공주 묘 (육정산)

X

 고구려 영향, 돌사자, 모줄임

 벽돌무덤

 정효공주 묘 (용두산)

O

 당 영향, 도교적



Ⅰ. 고구려

 

 1. 고분 미술

  (1) 초기 ~ 돌무지무덤 (석총)

   1) 돌무지무덤 : 돌을 쌓아 만든 무덤

   2) 장군총 (집안)




  

  (2) 후기 - 굴식 돌방무덤(토총)

   1) 도굴이 쉽다.

   2) 만주 집안, 평안도 용강, 황해도 안악

   3) 널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


 


   

  (3) 고분 벽화

   1) 초기 : 생활 표현

   2) 후기 : 추상화, 사신도, 상징적 그림

   3) 대표 고분

    a. 강서 대묘 : 사신도 (진취성)

    b. 쌍영총 : 서역 계통의 영향 (돌기둥, 기사도)

    c. 각저총 : 씨름도, 별자리

    d. 무영총 : 무용도, 수렵도

    e. 수산리 고분 - 다카마쓰 벽화에 영향

    d. 약수리 고분 - 생활상



 

 


 <사신도 중 현무도>


<사신도 중 청룡도>

 <사신도 중 주작도>

 




   cf) 돌무지 무덤

     1) 요령 여대시의 다석곽식 돌무덤 등 예맥족 돌무덤의 전통에 연결

     2) 4c 수혈식 적성총

         5c 횡혈식 적성총 - 피라미드


 2. 건축

  (1) 궁궐 건축 : 안학궁 (620m)

  (2) 가옥 건축




 3. 불상

  (1) 중국에서 불상 제작법 받아들임

  (2)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 독창 (북조의 양식을 따르기는 함)




 4. 탑

  


 

Ⅱ. 백제

 

 1. 현존하는 미술품

  

 2. 고분 미술

  (1) 한성 시대 : 계단식 돌무지 무덤 (고구려와 같은 계통) (서울 석촌동)

  (2) 웅진 시대

   1) 굴식 돌방무덤 : 공주 송산리 고분

   2) 벽돌 무덤 (6세기 전반)

    a. 송산리 6호분 : 남조계 벽돌 무덤, 사신도, 일월도

    b. 무령왕릉 : 중국 남조의 영향, 벽화 無



  (3) 사비 시대

     = 굴식 돌방무덤 : 부여 능산리 고분 (규모가 작지만 세련)


 3. 향로

  (1) 금동 대향로 (백제 금동 용봉 봉래산 향로) : 부여 능산리 고분 근처

  (2) 도교 불교




 4. 사찰 : 미륵사 (7세기 무왕, 백제 중흥)

  

 5. 불상 : 서산 마애 삼존불

  



6. 석탑

  (1) 익산 미륵사지 석탑 (목탑의 모습)



  (2)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안정적, 경쾌) → ‘평제탑’이라는 수모 (소정방이 백제 정발이라 기록)

  




Ⅲ. 신라

 

 1. 특징 : 초기 고구려 영향 ➝ 백제의 영향 = 패기 + 조화

  

 2. 사원 건축 : 황룡사 (진흥왕)

  

 3. 건축 : 황룡사9층목탑 (주변국 통일, 태평기원) /  분황사 모전 석탑 (3층만 남아있고 인왕상, 석사자 조각) / 첨성대



<첨성대>


  
<분황사 모전 석탑>

   

 4. 불상

  (1)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 중생을 구제하기로 정해진 보살 (삼선관을 쓰고있음)



  (2) 경주 배리 석불 입상



 5. 고분

  (1) 돌무지덧널 무덤 중심 : 천마총, 호우총, 서봉총, 황남대총 (벽화 無) - 꺼묻거리가 남아있다. 도굴이 어렵다.


  (2) 통일 직전 : 식 돌방무덤, 어숙묘연화문 벽화

  (3) 고분의 출토품 : 천마도, 금관, 유리제품, 금팔찌, 금귀고리


<금관>


6. 회화

  (1) 솔거 : 황룡사 벽의 소나무 그림

  (2) 천마도 - 벽화가 아니다. 도교성도 없다.



  (3) 화엄경 변상도



  (4) 정화, 홍계 - 불화



   cf) 묘지 - 생애, 가족관계를 기록해 함께 묻은 유물, 조선시대에는 백자로 만들기도 함





Ⅳ. 통일 신라

 

 1. 특징 : 조화미


 2. 건축

   1) 불국사 :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세련된 균형미)



   2) 석굴암 : 인공 석굴



   3) 안압지 : 조경설


  cf) 14면체 주사위 : 삼잔일거, 음진대소, 금성작무, 곡비즉진, 중인타비 등 글귀, 정사각 6개 육각 6개



 3. 범종

  (1) 오대산 상원사 종 : 가장 오래된 범종 (725)



  (2) 성덕 대왕 신종 : 청동, 비천상




 4. 조각

  (1) 무열왕릉비 받침돌

  (2) 성덕 대왕릉 둘레돌의 조각 : 사실적인 미

  (3) 불국사의 석등·법주사의 쌍사자 석등 : 균형




 5. 석탑

  (1) 신라 중대

   1) 감은사지 3층 석탑 : 장중



   2) 석가탑 (불국사 3층 석탑) : 가장 오래된 부도 (승탑)



   3) 다보탑



  (2) 신라 말기

   1)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2) 승탑·탑비

    a. 선종으로 유행

    b. 팔각원당형을 기본형, 승려의 일대기를 비에 새김

    c. 쌍봉사 철감 선사 승탑, 염거화상 부도탑,  고선사지 3층 석탑,

       의성 탑리 5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실상사 3층 석탑




6. 불상

  (1) 석굴암의 본존불, 보살상

  (2) 균형, 불교의 이상 세계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함


<불상>

 

제1기 (676~700) - 금동불 - 아미타불, 미륵불금제여래상

                    마애불 - 경주배리삼존입상, 봉화마애여래좌상, 영주삼존마애상, 마애삼존불상

 

제2기 (중대, 8c) - 금동불 - 아미타여래좌상(불국사), 비로자나불상(불국사), 금동약사여래입상(백률사)

                   석불 - 감산사지 아미타불입상, 미륵보살상, 석굴암(경덕왕)

                   석굴암 - 전방후원형, 부신장상, 인왕상, 사천왕상 등

 

제3기 (9c) - 비로자나불 성행 : 지권인 (智拳印)을 함 → 남원 실상사 철불, 장흥 보림사 철불, 철원 도피안사 철불)

 


7. 고분

  (1) 화장법 유행 : 호국적 성격 ➝ 대표 : 문무대왕릉(대왕암)



  (2) 굴식 돌방무덤의 등장 : 주위 둘레돌, 12지신 상 (통일신라 독특)

  (3) 성덕대왕릉, 김유신 묘, 괘릉

 

 8. 서예

  (1) 김생 : ‘집자 비문’(고려시대 작품), 해동 필가의 조종으로 원화첩은 전해오지 않는다.

  (2) 김인문 : 무열왕릉비의 비문, 화엄사의 화엄경 석경, 황희지체

  (3) 요극일 : 구양순체


9. 그림 : 김충의

  



Ⅴ. 발해

 

 1. 건축 - 상경터 : 남북으로 넓은 주작대로(당), 오돌장치(고구려)


 2. 고분

  (1) 정혜 공주 묘 : 육정산 고분군, 굴식 돌방무덤, 돌사자상, 모줄임 천장  → 고구려 영향



  (2) 정효 공주 묘 : 용도산 고분군, 벽돌 무덤, 불로장생 사상, 도교적 성격 → 당 영향



 3. 조각, 공예

  (1) 불상, 기와, 벽돌 : 고구려 계승

   1) 보상화 무늬 벽돌 

   2) 이불병좌상 - 법화경에 의거한 조상례, 고구려 전통 반영

   3) 도제의 보살상

  (2) 석등 : 웅대

  (3) 자기 공예

  

 4. 발해 미술의 특색 : 웅장, 건실

  

 




<문제>

 

1. 경주 안압지, 월성 해자, 함안 성산산성, 부여 궁남지에서 발견된 고대의 기록을 전하는 유물은?  ☞ 목간

 

2. 백제 미륵사지 석탑과 신라의 분황사탑은 각각 목탑과 젙탑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O)

 

3. 백제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벽화를 그려 넣지 않았다?   (X)

   ☞ 송산리 6호분 일월도 등

 

4.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처음에는 사신도가 유행했으나 점차 생활풍속도로 변화했다?  (x)

   ☞ 앞뒤가 바뀜, 초기 생활풍속도(생활)에서 후기 사신도(추상)

 

5. 통일 신라 때 무덤의 봉토 주위에 둘레돌을 두르고 12지 신상을 조각하는 신라만의 독특한 양식이 나왔다?   (O)

 




 

Ⅵ. 향가, 한문학

 

 1. 한시

  (1) 황조가 : 고구려 유리왕의 이별가  “훨훨 나는 꾀꼬리는 ~ ”

  (2) 오언시 : 을지문덕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 ”


 2. 민중의 노래

  (1) 구지가

  (2) 회소곡 : 신라 유리왕 때, 두 여자의 길쌈 대회 (노동요)

  (3) 정읍사 : 백제민중들의 어려운 생활


 3. 향가 - 승려, 화랑

  (1) 통일 전 : 혜성가, 서동요, 풍요 등

  (2) 통일 후

   1) 제망매가(월명사), 모죽지랑가(득오), 찬기파랑가, 안민가, 도천수관음가, 우적가, 처용가, 원왕생가, 헌화가

   2) 향가집

    a. 부전 : 위흥의 ‘삼대목’ 이라는 향가집 (9세기 후반, 진성여왕 때)

    b. 현전 : 삼국유사 14수, 균여전 11수 합 25수

  (3) 가야 - 구지가      

제망매가

 

살고 죽는 길이

여기 있기도 두렵고

여기 있고 싶어도 안 되어

간다는 말도 못하고 가십니까,

가을바람에 여기저기 떨어지는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도 가는 곳을 모르는 구나,

아아, 미타찰에서 만나리,

나, 도 닦으며 기다리리라.

모죽지랑가

 

간 봉을 그리워하매

모든 것이 울어서 시름하는구나.

아름다움 나타내신 얼굴에

주름살이 지려 하는구나.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만나 뵙기를 짓고저

죽지랑이여, 그리운 마음에 가는 길에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이 있으리오.



 4. 설화 문학 : 에멜레종 설화, 설씨녀 이야기, 효녀 지은 이야기

  

 5. 발해의 한문학

  (1) 수준 : 4·6변려체 -정혜공주, 정효 공주의 묘지

  (2) 양태사 : ‘다듬이 소리’

다듬이 소리 (야청도의성)

 

서리 기운 가득한 하늘에 달빛 비치니 은하수도 밝은데

나그네 돌아갈 일 생각하니 감회가 새롭네.

홀로 앉아 지새는 긴긴 밤 근심에 젖어 마음 아픈데

홀연이 이웃집 아낙네 다듬이질 소리 들리누나.~~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 신라

발해

건축

안학궁

미륵사

황룡사, 첨성대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상경 궁성, 온돌,

목탑 위주 건립(소실)

익산 미륵사지 석탑,

부여 정립사지 5층석탑

황룡사 9층 목탑

분황사 모전 석탑

석가탑, 다보탑

승탑과 탑비

석등

불상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서산 마애 삼존불

경주 배리 석불 입상

석굴암의 본존불

이불병좌상

문예

황조가(유리왕)

오언시(을지문덕)

정읍사 (미상)

혜성가(미상)

향가 (삼국유사 14수,

      균여전11수)

다듬이 소리 (양태사)



 


Ⅶ. 삼국의 음악, 무용

 

 1. 고구려 : 왕산악(거문고) - ‘진’의 칠현금 개량

 2. 백제 

 3. 신라 - 옥보고, 백결선생(방아타령)

 4. 가야 - 우륵 (가야금, 12악곡), 대가야(가야금)

 5. 통일신라

   (1) 3죽 (대중소 피리), 3현 (거문고, 가야금, 비파)

   (2) 당악 - 당의 군악

   (3) 범패 - 불교의식 때

 6. 발해 

 7. 특징 

 



[고려] 문화 예술  - 보기 클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