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사회로의 전환
<1> 중세의 세계
Ⅰ. 동양의 중세
1. 5대 10국 시대 (907~960)
2. 송
(1) 중앙 집권적 문치주의, 국방력 약화와 북방 민족의 침입, 경제 발전
(2) 북송 멸망 (1127) : 여진족의 침입
(3) 남송 멸망 (1279) : 몽골 (원)
3. 몽골
Ⅱ. 서양의 중세
1. 서유럽
(1) 프랑크 왕국 (486~870) - 카룰루스 대제 전성기 ➝ 분열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2) 봉건제도
(3) 크리스트교 세계 형성
(4) 십자군 운동 이후 변화 : 봉건 제후 몰락
2. 비잔틴
(1) 그리스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의 전통이 강함
(2) 슬라브 족에게 그리스 정교 전파, 러시아가 비잔틴 문화 수용
3. 이슬람
<2> 한국의 중세사회
Ⅰ. 지방 세력의 대두
1. 신라 말기의 모순
1) 골품제의 보수성, 2) 왕위 쟁탈전, 3) 수취체제의 모순
2. 호족 세력의 대두
1) 호족 : 토착적, 중앙 귀족과 6두품들이 호족화
2) 반독립적 세력 형성
3) 중앙 정부에 반발 : 스스로를 성주, 장군이라 칭, 군사 행정 경제 장악
4) 양길(원주), 기훤(죽산), (전주) 견훤
3. 말기 6두품 - 최치원, 최승우 (견훤), 최언위 (왕건), 최은암, 최승로
Ⅱ. 후삼국의 성립
1. 후삼국 시대의 전개 : 견훤, 궁예 성장, 신라 축소
[고려성립] * 후백제 : 견훤(완산주, 900) ➝ 후고구려 : 궁예(송악, 901) ➝ 고려 : 왕건(송악(918) ➝ 발해 멸망 : 거란(926) ➝ 신라통합 : 경순왕 (935) ➝ 후백제 멸망 : 고려 (936) |
2. 후백제 성립 (900~936)
(1) 건국 : 견훤 - 완산주 (농민출신), (군사, 호족)
(2) 신라의 대야주 공격, 일선군 점령
(3) 경애왕 살해 (927) : 신라에 적대적, 농민 수취
(4) 남중국(오, 월), 거란(요), 일본
3. 후고구려
(1) 궁예 : 송악 (901) - 신라왕족의 후예 (초적, 호족)
(2) 국호 변경 : 마진 (도읍 : 철원)
(3) 관서 설치 : 광평성(국정 총괄, 후고구려 최고 관부), 9관등제
1) 독자적 관부 - 병부, 대용부
2) 새로운 관계 - 정광, 원보, 대상
(4) 궁예의 가혹한 수취, 장군살해, 미륵신앙, 관심법
T) 왕이라 자칭하고 사람들에게 이르기를, “이전에 신라가 당나라에 군사를 청하여 고구려를 격파하였기 때문에
옛 서울 평양은 오래되어서 풀만 무성하게 되었으니 내가 반드시 그 원수를 갚겠다.”라고 하였다.
국호 |
연호 |
수도 |
후고구려 - 901 |
|
송악 |
마진(대동방국) - 904 |
무태 성책 |
송악 철원 |
태봉 - 911 |
수덕만세 정개 |
철원 |
4. 신라의 쇠약
Ⅲ. 중세 사회의 성립과 전개
1. 왕건의 등장, 고려의 성립
(1) 고려 건국 (918) : 궁예를 몰아냄 (연호 : 천수)
(2) 왕건 등장
1) 지방 호족 + 해상무역 (예성강 하구 중심)
2) 금성(나주) 점령에 큰 공 ➝ 광평성 시중 까지 오름
(3) 고려 - 북중국(5대) + 신라 + 발해
2. 왕건의 통일 정책
Ⅳ. 민족의 재통일
1. 후삼국 시대의 국제 정세
(1) 중국 : 5대 10국 (926)
(2) 고려 : 5개 여러 나라와 교류
(3) 후백제 : 주로 남중국 오와 협력, 거란과 무역, 일본과 수교
2. 후삼국의 통일
(1) 신라의 병합 (935) - 경순왕 투항, 청통성 확보
(2) 후백제의 멸망(936)
1) 고려와 후백제 대립 : 공산 전투(신숭겸 전사) 패 → 고창(안동)전투(930), 운주(흥성)전투 후백제 격파 후 주도권
2) 후백제 병합 : 신검·금강의 내분, 선산(일리천)에서 격파
3. 발해 유민의 포섭
(1) 동족 의식 표현
(2) 민족 재통일
(3) 세자 대광현이 고려에 투항(귀순)
Ⅴ. 중세 사회의 성립
1. 중세 사회의 성격
(1) 새로운 지배 계층의 형성 : 호족, 문벌 귀족(성종부터)
(2) 유교 정치 질서 중시 : 6두품계열, 행정적 기능 강조
(3) 중세 문화의 발달
1) 문화의 폭 확대 : 혈적, 종교에서 벗어남
2) 독자적 성격
3) 지방 분화의 성격 뚜렷 : 세련, 소박, 귀족 문화
4) 유·불 문화의 공존
5) 기록에 의한 출판 문화 발달 : 대장경의 조판, 금속활자
6) 소박미 - 관촉사, 개태사, 둔마리 고분, 이천동 석불
(4) 강력한 민족의식의 형성 : 고구려 강토 회복, 북방 민족과의 항쟁과정
T) 중세사회는
1) 유교와 불교 문화가 융합된 사회였다.
2) 민족의식이 강화되었다.
3) 중세사회는 중앙 집권적 관료제 사회였다? (X) ☞ 지방 분권적
2. 고려 개창의 역사적 의의
(1) 중세 사회로의 전환
(2) 독자적 변화
고 대 |
중 세 |
귀족 중심 |
호족 중심 |
신분 본위 : 폐쇄적 사회 |
능력 본위 : 개방적 사회 |
불교 중심 |
유·불 공존 |
귀족 |
행정 |
민족의식 약화 |
민족의식 강화 |
수도 중심 귀족 문화 |
귀족과 지방 문화 공존 |
고 려 |
전 기 |
후 기 | |||
초 기 |
중 기 |
무신집권기 |
원 간섭기 |
말 기 | |
구 분 |
체제 정비기 |
문벌 귀족시대 |
혼란기 |
자주성 상실기 |
개혁·보수 갈등기 |
지배세력 |
호족 |
문벌 귀족 |
무신 |
권문세족 |
신진사대부 |
외 교 |
친송정책 거란 침입 |
여진정벌 금의 사대 요구 |
대몽 항쟁 |
일본 원정 |
홍건적·왜구 침입 요동수복운동 |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후기의 상황 (원의 내정간섭, 홍건적의 침입, 공민왕) (5) | 2009.10.14 |
---|---|
고려의 대외관계 (몽골의 침입, 거란의 침입, 윤관, 강감찬(귀주대첩), 강조의 정변) (5) | 2009.10.14 |
[고려] 무신 정권 시대 (6) | 2009.10.13 |
[고려] 문벌귀족사회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4) | 2009.10.13 |
[고려] 정치 구조의 정비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중앙, 지방, 군사조직) (3) | 2009.10.12 |
고려시대 연표 (5) | 2009.10.11 |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2) | 2009.10.11 |
삼국의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의 예술) (0) | 2009.10.11 |
삼국의 학문과 기술의 발달 (1) | 2009.10.10 |
외세의 경제침략, 국민 경제의 모색 (개항 경제) (0) | 2009.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