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양란, 임진왜란, 병자호란, 정묘호란, 나선정벌, 북벌론

by 소이나는 2009. 10. 21.
반응형


 

양란의 극복, 대청관계


Ⅰ. 왜군의 침략

 

 1. 왜란 전의 정세

  (1) 조선

   1) 국방력 약화 - 16세기 이후

    a. 5위제 붕괴- 갑사들의 녹봉 중단 등으로 군인의 질적 저하

    b. 방군 수포제 시행 - 정군의 수 감소

   2) 16세기 이후 침략 격화

    a. 삼포 왜란 (1510)

    b. 을묘왜변 (1555)

   3) 대응 - 비변사 설치, 이이의 10만 양병설은 채택되지 못함

  (2) 일본

   1) 통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2) 정명가도 - 명을 치러 가는데 길을 열어 달라


 2. 왜란의 발발

  (1) 침략 - 1592년 4월 : 부산진, 동래성 - 정발과 송상현이 분전 끝에 함락

  (2) 북상

   1) 신립의 패전 - 충주에서 배수의 진

   2) 선조의 피난 - 평양, 함경도까지 침입


Ⅱ. 수군의 승리 (이순신의 활약)

 1. 전라좌수사, 판옥선, 거북선

 2. 옥포 해전 - 첫 승리

 3. 사천 전투 - 거북선 최초 사용

 4. 당포·당항포 해전 - 전라 우수사 이억기와 경상 우수사 원균이 합세

 5. 한산도 대첩 - 학익진

 6. 안골포 해전 - 제해권 완전 장악, 서해 진출 차단

 7. 부산포 해전

 8. 이순신의 3대첩 - 한산도대첩, 명량 대첩, 노량해전

 

 cf. 우리 역사상 3대 첩 - 살수대첩, 귀주 대첩, 한산도 대첩

     왜란의 3대 첩 - 한산도 대첩, 진주 대첩(김시민), 행주 대첩 (권율)


Ⅲ. 의병의 항쟁

 1. 봉기 - 농민이 주축, 전직 관리, 사림 양반, 승려

 2. 관군에 편입

 3. 곽재우 - 경상도 의령 - 진주에서 김시민과 활약 (북인), 최초의 의병, 천강홍의장군

 4. 김천일 - 전라도 나주 - 진주 혈전

 5. 조  헌 - 충청도 옥천 - 700의총 - 승장 영규와 합세, 금산에서 고경명 등과 전사

 6. 고경명 - 전라도 담양 - 금산에서 전사

 7. 정문부 - 함경도 경성

 8. 김덕령 - 전라도 담양 - 이옹학의 난에 연루되어 사망

 9. 유  정 - 금강산 - 사명당이라 불림, 포로쇄환사로 일반에 건너감

10. 휴  정 - 묘향산 - 서산대사라 불림 - 제자로 영규, 유정이 있다.

11. 이정암 (연안), 김면 (고령), 정인홍(합천), 권응수 (영천), 김해(예안), 고종후(담양), 홍계남(안성), 우성전 (강화),

    영규(의승) - 공주, 금산 전투에서 사망


Ⅳ. 전란의 극복

 

 1. 전세의 전환

  (1) 배경 - 수군의 승리, 명의 참전

   1) 조승훈 차 구원 실패

  (2) 반격

   1) 평양성 탈환 - 조명 연합군과 휴정, 유정, 유성룡 + 이여송 명군

   2) 행주 대첩 (1593)

   

 2. 왜란 중의 군비 강화

  (1) 중앙군 - 훈련도감을 설치 삼수병(포, 사, 살수) 양성

  (2) 지방군 - 속오법 실시 - 속오군(양반, 노비)

  (3) 군비 보강 - 화포 개량, 조총제작


 3. 정유재란 (1597)

  (1) 재차 침입

  (2) 직산 소사평 전투 (vs 구로다군)에서 승리

  (3) 명량 대첩

  (4) 칠천량 해전 - 원균 대패, 전사

  (5)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과 철군

  (6) 노량 해전 - 이순신의 마지막 전투,



cf) 조선시대 군사제도 = 잡색군(전기 특수군) → 속오군(세조)→ 훈련도감(선조) → 장용영(정조) → 별기군(고종)


Ⅴ. 왜란의 영향

 

 1. 왜란의 승리 요인

  (1) 민족의 잠재적 역량 우월 - 전 국민적 차원의 국방 능력은 능가

  (2) 문화적 우월감

  (3) 무기와 전술의 우수 - 비격진천뢰(이장손) / 화차(변이중) 등 무기 발명


 2. 국내적 영향

  (1) 비변사 기능 강화

  (2) 인구 감소, 국가 재정 감소

  (3)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전래

  (4) 납속책·공명첩 시행 (공명첩 - 부유층으로부터 돈이나 곡식을 받고 팔았던 명예직 임명장)

     * 납속책, 공명첩 - 정부의 재정 확보책의 하나로 신분이나 직첩을 매매하여 합법적으로 신분을 상승하는데 영향

  (5) 이몽학이 민란 봉기

  (6) 불국사, 경봉국, 사고 등 소실 (전주사고는 보본), 창덕궁·창경군도 소진

  (7) 존화사상 고조, 실학 태동

  (8) 관우 숭배 사상 전래, 숭명사상 강화

  (9) 군사

   1) 척계광의 「기효신서」를 얻어 ‘절강무예’ 조련

   2) 훈련도감 설치

   3) 진관체계 복구

   4) 비격진천뢰, 화차, 조총


 3. 국제적 영향

  (1) 여진족의 흥기 - 명과 청의 교체

  (2) 일본 중세 문화 발전 - 성리학, 출판술, 도자기 문화 발달의 토대 마련

    1)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고도 함 - 이삼평, 심당길

    2) 강황 - 제2의 왕인으로 평가, 「강양록」

  (3) 도쿠가와 막부 성립

  (4) 기유약조 체결

  (5) 명·청 교체

 

[왜란, 재란]

1592 4월 - 침략, 곽재우, 조헌 의병

      5월 - 서울 함락, 거북선 처음 이용

      6월 - 평양 함락, 명 원군 1진 도착

      7월 - 한산도 대첩(이순신), 휴정의 승병

      8월 - 금산 전투 (조헌, 영규 전사),  명 일본과 화친 교섭 (심유경)

     10월 - 진주 대첩 (김시민)

     12월 - 명군 2진 (이여송) 도착

 

1593 1월 - 평양 수복 (휴정, 이일, 유성룡, 이여송

      1월 - 벽제관 전투 - 이여송 패전

      2월 - 이치전투 (금산 근처)

      2월 - 행주 대첩 (권율)

      4월 - 서울 탈환

      5월 - 명, 도요토미와 화친 논의 (심유경)

      6월 - 진주성 함락 (김천일, 논개 전사)

 

1594 2월 - 훈련도감 설치

     11월 - 속오군 편성

 

1596 7월 - 이몽학, 홍산에서 난

      8월 - 김덕령 옥사 (이몽학의 난 연루)

      9월 - 도요토미, 조선 재침

 

1597 1월 - 정유재란

      2월 - 이순신, 무고로 하옥

      3월 - 명군 2차 출병

      7월 - 원균 전사, 이순신 삼도 수군통제사 임명

      9월 - 명군 직산에서 일본군 대파, 명량대첩

 

1598 8월 - 도요토미 사망 후 철수

     11월 - 노량해전 이순신 전사, 일본군 철수

 


   

Ⅵ. 광해군의 중립 외교

 

 1. 광해군의 내치

    - 북인 정권이 성립, 부국책, 강병책, 문화시책 (동의보감, 허준)


 2. 광해군의 대외 정책

  (1) 후금 건국 - 누르하치 (1616)

  (2) 명의 원군 요청

  (3) 중립 외교

  (4) 강홍립을 도원수로 삼아 명을 지원, 상황에 따른 대처 명 - 사르흐 전투에서 패

  (5) 조명 연합군의 후금 군에 패배, 금과도 친선으로 중립적 정책 추진

  (6) 일 - 기유약조 : 세사미두 100석, 세견석 20척


 3. 인조반정 (1623)

  (1) 광해군의 현실적이고 실리 있는 외교 정책은 복구에 큰 기여 그러나 인목대비를 폐위하는 등

      유교 윤리에 어긋나는 약점

  (2) 서인이 주도한 반정 (이괄, 김류, 이귀)

  (3) 인조

   1) 서인 정권에 남인 참여

   2) 호위청, 어영청 설치, 총융청 설치

   3) 서원을 중심으로 공론 형성

   4) 산림의 영향력


Ⅶ. 호란의 발발

 

 1. 정묘호란 (1627) - 후금

  (1) 원인

   1) 친명배금 정책 - 서인 정권은 중립 외교를 비판

   2) 가도 사건 - 명나라 장군 모문룡이 요동을 빼앗기 위해 평안도 가도에 주둔

   3) 이괄의 난 - 후금과 내통, 2등공신이 되고 좌천 되자 불만

  (2) 광해군을 위해 보복한다는 명분으로 평안도 의주를 거쳐 황해도 평산으로 침입 (1627)

  (3) 철산 용골 산성의 정봉수, 의주 이립이 의병으로 싸움

  (4) 결과 - 형제관계를 맺게 됨

  (5) 정묘약조 - 형제, 형님인 후금에 조공, 중강 개시와 회령 개시를 연다. 조선은 엄정 중립을 지킨다.

  (6) 이후 상황

    1) 수어청 설치   2) 영정법 시행   3) 정초군 설치


 2. 병자호란 (1636)

  (1) 후금이 청으로 바꾸고 군신관계 요구

  (2) 주화론과 주전론의 대립

   1) 주전파 (척화론) - 김상헌, 3학사(윤집, 홍익한, 오달제) ➝ 대의명분, 성리학  “명은 우리의 부모요 ~”

   2) 주화파 (강화론) - 최명길 ➝ 외교적 교섭, 양명학   “허점을 노리는 것이 최상의 계책 ~”

   3) 대세가 주전론에 기울자 청이 침입 (1636)

  (3) 청 태종은 서울 점령 ➝ 최명길 등 주화파의 건의에 따라 삼전도에서 항복의 예

  (4) 결과 - 청과 군신 관계 ➝ 두 왕자(소현 세자, 봉림 대군)와 3학사를 인질로 잡아감.


 3. 영향

  (1) 국토의 황폐화    (2) 청에 대한 반감   (3) 북벌론 제기



Ⅷ. 북벌론과 나선 정벌

 

 1. 북벌론 대두

  (1) 청과의 관계 - 청에 사대 하며 북벌 준비

  (2) 북벌 준비

   1) 효종 (봉림대군, 인조의 차자) - 청에 반대하는 송시열, 송준길, 이완 중용, 어영청을 중심으로 군대 양성

     a. '이완‘을 어영대장에 임명

     b. 대포부대인 별파진 만듦

     c. 지방군 - 공호충정 재개, 영장제 복설, 속오군 급복

     d. 훈련도감의 군액 증대

     (cf. 효종 - 하멜, 대동법 호남까지 확대)

   2) 숙종 - 윤휴를 중심

      (cf. 성리학과 과련 X - 강홍립, 최명길, 윤휴)

   3) 실천에 옮기지는 못함

  (3) 북벌론의 악용

   1) 서인의 정권 유지 수단

   2) 서인의 남인 견제책


 2. 북학운동으로 전환 - 청의 문물이 발달함에 따라 오히려 그 문화를 받아들이자는 운동

  

 3. 나선 정벌

  (1) 원인 - 러시아 세력

  (2) 청이 조선에 원병 요청 - 효종 때 조총 부대를 출동시켜 성과 (1차 - 변급 1654, 2차 - 신유 1658)

광해군

인조

인조~효종

북인

서인 주도 (남인 참여)

서인, 남인 공존

노장사상, 조식 사상,

성리학에 구애 받지 않음

주자 중심의 이이, 이황의 사상계승

척화론, 의리 명분론 강조

중립 외교

친명배금, 호란 초래

청을 정벌 - 북벌 정책 추진


 cf) 현종

   1) 진휼책      2) 대동법 확대     3) 노비의 신공 완화     4) 대농장 확대     5) 예송논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