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향촌 사회

by 소이나는 2009. 10. 22.
반응형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Ⅰ. 향촌 사회

 1. 향촌의 편제

  (1) 향 - 중앙에서 지방관 파견

  (2) 촌 - 군·현 밑, 면·리 - 중앙에서 파견하진 않음



 2. 향촌 생활

  (1) 유향소

   1) 수령을 보좌, 향리를 감찰

   2) 변화 - 경재소가 혁파 (1603)되며, 향소 향청으로 명칭이 변경

  (2) 사족의 활동 - 지주로 향안을 작성

   1) 향안 - 지방 사족의 명단으로 임진왜란 전후의 시기에 각 군현마다 보편적으로 작성

   2) 향회 - 종래 양반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였으나 후기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의견을 묻는 자문기구

   3) 향규 - 운영규칙

  (3) 향약의 보급 - 조광조 때 처음 ➝ 이황, 이이의 노력

  (4) 목적 - 사족의 지배력 유지위한 장치일 뿐


Ⅱ. 촌락의 구성, 운영

 

 1. 촌락

  (1) 동. 리

  (2) 면리제

  (3) 오가작통제 - 다섯 집을 하나로 묶고, 통주를 두어 통 내를 관장


 2. 촌락의 신분 분화

  (1) 촌락의 구성

   1) 반촌 - 주로 양반이 거주 (성씨)

   2) 민촌 - 평민 (소작농)

  (2) 특수 마을 - 역촌·진촌·원촌이 형성 - 각종 수공업 생산하는 곳에 점촌이 발달

   

 3. 촌락의 운영

  (1) 사족

   1) 동계, 동약 - 결사체적 성격, 신분적으로 강화

   2) 지주 전호제 - 지배를 관철

  (2) 일반 백성

   1) 동계·동약

    a. 왜란 전 - 사족만 참여

    b. 왜란 후 - 양반, 평민층이 함께 참여

   2) 두레 - 공동 노동

   3) 향도 - 신앙적 기반과 동계 조직과 같은 공동체 조직


 4. 촌락의 풍습

  (1) 석전 (돌팔매)

   1) 돌팔매 놀이

   2) 폐단 - 사상자 속출로 금 ➝ 민간 풍속으로 전승

  (2) 향도계·동린계 - 생활문화 조직 ➝ 기능전환 : 상여를 메는 사람인 상두꾼이 유래

☞ 「용재총화」향도

    “대체로 이웃 사람기리 모여 화합을 갖는데 ~ 상을 당한 자가 있으면 서로 상복을 마련하거나 관을 준비하고

     음식을 마련하며, 혹은 상여줄을 잡아 주거나 무덤을 만들어주니, 이는 참으로 좋은 풍속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