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5. 조선 후기 문학, 조선 후기 예술 (홍길동전, 청화백자 철사진사국화문병, 달항아리, 청화백자 송죽문호 송치명, 청화백자 죽문각병, 청화백자 매죽문호, 청화백자)

by 소이나는 2012. 5. 28.
반응형

 

 

 

 

 

 

 

 

 

 

 

 

 

 

 

 

문학, 예술


Ⅰ. 서민 문화의 발달

 

 1. 서민 문학의 등장

  1) 조선 후기, 상공업 발달, 서당교육 보급, 신분 향상

  2) 중인, 서민이 주도


 2. 문학과 예술 작품의 변화 양상

  (1) 조선 전기 - 성리학 강조

  (2) 조선 후기 - 사회의 부정과 비리에 대한 고발정신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창작 주체

 양반중심

 중인, 상민의 활동 활발

내용, 성격

 성리학 윤리관

 양반의 교양 여가

인간 감정의 적나라한 묘사

 부정과 비리에 대한 고발

문학의 주인공

 영웅적 존재

 서민적 인물

문학의 배경

 비현실적 세계

 현실적 인간 세계


 3. 서민 문학의 특징

  (1) 전기 - 정적 소극적 → 후기 - 감적을 적나라하게 표현

  (2) 양반들의 위선적 모습 비판


 4. 서민 문화의 발달

   (1) 한글소설  (2) 판소리 탈춤 (3) 풍속화, 민화 (4) 타령, 잡가 (5) 사설시조 (6) 시사

 

Ⅱ. 판소리와 가면극

 1. 판소리

  (1) 직접적 솔직함

  (2) 열두 마당이 있었으나, 지금은 다섯 마당만 전해짐. /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적벽가, 수궁가

  (3) 정리 - 19세기 후반 신재효

  (4) 창(노래) / 아니리(이야기) / 발림(몸놀림) / 으로 구성

 2. 가면극 - 탈놀이, 산대놀이

 3. 의의 - 상품 유통경제 활성화, 사회 모순 비판

  

Ⅲ. 한글 소설사설시조

 

 1. 발달 배경

  

 2. 한글 소설의 발달

  (1) 홍길동전 - 허균

  (2) 춘향전

  (3) 용왕을 골려 주는 토끼전 - 봉진 군주의 향락과 탐욕 비판

  (4) 심청

  (5) 장화·홍련 이야기

  cf) 두껍전 - 몰락 사족과 평민 부호층을 대비하여 조선 후기 향촌사회의 세태 풍자



  [홍길동전]



 3. 사설시조 - 선비들의 절의 자연관, 남녀애정, 일상생활

  

 4. 시조·가사집 편찬

  1) 김천택 - 청구영언

  2) 김수장 - 해동가요


   * 오우가 (윤선도 1642, 인조 때) - 6수의 연시조

     “내 버디 몃치나 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동산(東山)의  오르니 긔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 박긔 또 더야 머엇리.”

     “쟈근거시 노피 떠셔 만물을 다 비취니, 밤듕의 광명(光明)이 너만니 또 잇냐, 보고도 말 아니 니 내 벋인가 노라.”


 5. 한문학의 변화

  (1) 사회 부조리 비판

  (2) 정약용 - 삼정 문란 폭로하는 한시 = 애절양 “갈밭 마을 젊은 아낙 울음소리 ~”

  (3) 박지원

    1) 실용적 태도 강조 - 양반전, 허생전, 호질, 민옹전 (한문소설)

    2) 문체 혁신 시도

    3) 허생전에서 언급한 당시 사회 모습

      a. 중국과의 무역을 허락할 필요가 있었다.

      b 한강을 중심으로 자유 상업이 활발하였다.

      c. 양반들도 평민의 직업인 상업에 종사하였다.

      d. 상인들은 매점매석을 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e. 시장경제의 발달과 빈부의 격차의 심화, 새로운 삶의 유형 묘사

      f. 나라 안에는 수레가 다녀야 한다.

      (X- 만주족에 복수하자는 북벌론은 허구화 되었다.)


  * 문체반정 - 정조가 일으킨 문풍 복고 운동


6. 시사의 조직 (동인 모임)

  (1) 시인 동우회로 중인은 중인끼리 상민은 상민끼리 시사를 조직

    1) 천수경 - 옥계 시사    2) 회경흠 - 직하 시사

  (2) 위항인으로 불리는 중인층의 여항 문학이 태동                                     (soy한국사)


7. 풍자 시인의 활동  - 김삿갓, 정수동


 8. 야담 잡기류 - 유몽인 ‘어유야담, 작가미상 ’대동야승‘

  

15세기

 사장 중심의 한문학

 악장, 시조

16세기

 경학 위주의 학풍 - 서정미, 가사문학

 시조, 가사

17세기

 애국 사상, 사회 비판

 한글 소설, 야담

18세기

 창자의 주체 형식의 다양화

 한글 소설, 사설 시조

19세기

 서민 문화의 전성기

 판소리, 가곡

 cf) 희조일사 (이경민 1866) - 기예나 공로가 뛰어나면서도 신분이 낮아 출세하지 못한 위항인 들의 전기를 모은 것



Ⅳ. 조선 후기 - 진경산수화, 풍속화, 서양화풍, 문인화

    [조선] 15-1. 조선 후기 그림 (진경산수화,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정선, 풍속화, 김홍도, 신윤복, 강세황, 영통골 입구도, 김정희, 무동, 세한도, 민화, 까치와 호랑이, 조선 후기 예술, 신선도, 단..  - 보기 클릭


Ⅴ. 건축의 변화

     [조선] 15-2. 조선 후기 건축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수원 화성, 선암사 승선교, 화성 성역 의궤) ) - 보기 클릭

 


Ⅵ. 백자·생활 공예와 음악

 

 1. 공예

  (1) 자기 공예

   1) 백자가 민간에 널리 사용

   2) 청화 백자가 유행 - 안료인 회회청을 국산화 (정조)

  (2) 목공예(장롱, 문갑 등), 화각공예

     1) 고비 - 편지나 종이 말이를 꽂아 두던 것으로 안방용은 사군자 등을 음각 색칠해서 그림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고, 사랑방용은 여백을 살려 소박하게 만듦

     2) 사방탁자 - 네 개의 기둥과 층널로 이루어지는데 각 층간 비례의 미가 두드러지게 아름다운 것이 특징

     3) 해주 소반 - 나주 소반의 다리가 네 개인 데 비해, 여러 무늬가 투각된 두 개의 판자 다리로 만들어짊

     4) 궤 - 윗부분을 반쯤 여닫으며 쓴다고 해서 반닫이라고도 함.

             무쇠 장식과 자물쇠를 단 강화산은 묵직하고 강건한 모습을 띠었으며 나무무늬를 살린 것이 특징

     5) 구절판 - 아홉으로 나누어진 목기로 여기에 아홉 가지 재료를 담았다고 해서 그릇 이름대로 구절판이라 함.



   
[달항아리]                                          [청화백자 철사진사국화문병]        [청화백자 매죽문호]

 
[청화백자 송죽문호 송치병]               [청화백자 죽문각병]


 2. 음악

  (1) 양반 - 가곡 시조

  (2) 서민 - 민요

  (3) 직업, 광대, 기생 - 판소리, 잡가

  (4) 가객 - 김천택, 김수장, 이세춘, 송실손, 장우벽

  (5) 악사 - 송경운, 김성기, 유우춘

  (6) 기악곡 - 영산회상

  (7) 성악곡 중 중대엽, 삭대엽


 3. 무용

  (1) 탈춤 -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고성·통영오광대, 송파 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2) 인형극 - 꼭두각시 놀음, 망석중 놀이


 4. 조선 후기 문화의 특징 - 서민

  

 

역 사

화풍, 화가

건 축

15세기

1) 성리학적 - 고려국사, 동국사략

2) 자주적 -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1) 인물, 산수 (진취적)

2) 도화서 - 안견 몽유도원도, 최경

3) 문인 - 강희안(고사관수도). 강희맹

궁궐, 관아, 성곽, 성문, 학교(숭례문,

돈화문, 개성 남대문,  해인사 장경판전,

무위사 극락전, 원각사지 10층 석탑,

평양 보통문)

16세기

 존화주의 사관

 - 기자실기, 동사찬요, 동국사략(박상)

1) 사군자 - 선비 정신

2) 이상좌 - 송하보월도

3) 이암, 심사임당, 어몽룡(매화),

   황집중(포도), 이정 (대)

4) 자연의 아름다움

 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17세기

 산수화 (김명국)

 사원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성전)

18세기

1) 반도 중심 탈피 - 동사, 발해고

2) 고증 사학의 토대 - 동사강목

1) 윤두서, 심상정, 정선(진경산수화)

2) 김홍도, 신윤복 (풍속화)

3) 강세황, 심수철 (서양화)

 수원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안성 석남사,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19세기

1) 실증적, 객관적 - 연려실기술

2) 국사 인식의 폭 - 해동역사

1) 복고적 문인화풍 (실학적 쇠퇴)

2) 신위(대), 김정희(세한도).

   장승업(군마도, 수상서금도)

 경복궁 근정전, 경회루


 





 

위표.hwp

 

(http://desert.tistory.com)


<문제>

 

1. 조선 후기에는 도시 상인층의 지원에 의해 산대놀이가 민중 오락으로 정착하였고,

   우리의 고유한 자연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유행하였으며,

   중인층의 문예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시사가 조직되었고, 

   설화문학이 유행하여 ‘필원잡기’와 ‘용재총화’가 편찬되었다?

   (X)  ☞ 필원잡기 조선초기, 용재총화 조선중기

 

2. 추월색과 금수회의록은  순한글의 언문일치 문장으로 쓰여 졌다?  (O)

 

3. 다음 시기는?

 (1) 선비들의 정신세계를 사군자료 표현?  ☞ 조선 중기

 (2) 당악과 향악을 속악으로 발전“?  ☞ 조선 중기

 (3) 전통 한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동의보감 편찬?  ☞ 조선 후기

 

4. 시대 순으로 배열하기

 1) 무위사 극락전 → 옥산 서원 → 금산사 미륵전 → 논산 쌍계사

 2) 금오신화 → 홍길동전 → 구운몽 → 허생전

 3) 강희안 → 이상좌 → 정선 → 김홍도 → 장승업

 4) 의방유취 (세종) → 동의보감 (광해군) → 마과회통 (정조) → 동의수세보원 (고종)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기] 3. 개항과 개화 운동 (조선 말기 각국과의 조약체결, 조미 수호 통상조약, 최초 최혜국 대우 조약,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조영`조불`조러 수호 통상 조약)  (5) 2012.05.30
[개화기] 3-1.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 병자수호조약, 운요호 사건, 최초 근대 조약, 조일 통상 장정, 조일 수호 조규 부록)  (1) 2012.05.30
[개화기] 2. 흥선 대원군 (이하응, 호포법, 동포제, 로드 암허스트호, 척화비, 오페르트 도굴, 병인양요, 신미양요, 병인박해, 당백전, 경복궁, 어재연 장군, 외규장각, 어재연 장군기)  (0) 2012.05.29
[개화기] 1. 개화기 연표, 근대 사회의 전개  (0) 2012.05.29
[역사] 한국의 세계 유산, 세계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석굴암, 불국사, 경주, 제주도, 종묘, 종묘제례악, 종묘 제례, 수원 화성, 창덕궁 돈화문, 창덕궁, 창덕궁 비원, 경복궁, ..  (0) 2012.05.29
[조선] 15-2. 조선 후기 건축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수원 화성, 선암사 승선교, 화성 성역 의궤)  (0) 2012.05.28
[조선] 15-1. 조선 후기 그림 (진경산수화,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정선, 풍속화, 김홍도, 신윤복, 강세황, 영통골 입구도, 김정희, 무동, 세한도, 민화, 까치와 호랑이, 조선 후기 예술, 신선도, 단..  (0) 2012.05.28
[조선] 14. 조선 후기 과학기술 (시헌력, 동의수세보원, 이제마, 마과회통, 김석문, 지전설, 조선 후기 농서, 임원경제지, 자산어보, 정약전, 곤여만국전도, 배다리 김홍도)  (0) 2012.05.28
[조선] 13. 조선 후기 실학, 국학 연구 (홍만종, 임상덕, 안정복, 동사강목, 이긍익, 연려실기술, 한치윤, 해동역사, 열조통기, 유득공, 이종휘, 동사, 정상기, 조선시대 백과사전, 동국지도, 이중..  (1) 2012.05.27
[조선] 13-1. 조선 후기 실학의 등장 (이수광, 한백겸, 김육, 허균, 유몽인)  (0) 2012.05.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