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사운동 - 지방민의 적극적 호응
1. 무신집권기(중기)의 불교
(1) 지눌 (보조국사)
1) 수선사 결사 제창 (순천 송광사)
a. 명리에 집착하는 타락상 비판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 분리 될 수 없다.
b. 수선사 결사운동, 독경과 선 수행, “부처는 한마음을 깨달았다.” (승려 본연의 자세)
2) 조계종의 성립
a. 정혜쌍수 : 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 둘이 아니라는 사상 체계, 선정과 지혜를 같이 닦아야 한다.
b. 돈오점수 : 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 꾸준한 수행으로 깨달음 확인을 강조 「수심결」
c.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상적 터전 마련
3)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포용 - 선교 일치 사상을 완성
4) 화엄론절요
5) 간화선의 주창 soy한국사
☞ 보조국사 법어
“정(定)은 본체이고 혜(慧)는 작용이다. 작용은 본체를 바탕으로 해서 있게 되므로 혜가 정을 떠나지 않고
본체는 작용을 가져오게 하므로 혜를 떠나지 않는다.”
☞ “범부가 깨치지 못하였을 때에는 자신이 바로 참된 법신인 것을 모르며, 또 자기의 영지가 곧
참된 부처인 줄 몰라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헤매다가 어느 날 문득 자신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
☞ 권수정혜결사문
“지금 불교계를 보면, 아침저녁으로 행하는 일들이 비록 부처의 법에 의지하였다고 하나, 자신을 내세우고 이익을
구하는 데 열중하며, 세속의 일에 골몰한다. 도덕을 닦지 않고 옷과 밥만 허비하니, 비록 출가하였다고 하나
무슨 덕이 있겠는가?”
“한마음(一心)을 깨닫지 못하고 한없는 번뇌를 일으키는 것이 중생인데 부처는 이 한마음을 깨달았다.
깨닫고 아니 깨달음은 오직 한마음에 달려 있으니 이 마음을 떠나 따로 부처를 찾을 것이 없다. ~
하루는 같이 공부하는 사람 10여 인과 약속하였다. 마땅히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같은 모임을
맺자. 항상 선을 익히고 지혜를 고르는데 힘쓰고, 예불하고 경정을 읽으며 힘들여 일하는 것이 이르기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경영한다. 인연에 따라 성품을 수양하고 평생을 호방하게 고귀한 이들의
드높은 행동을 좇아 따른다면 어찌 통쾌하지 않겠는가”
[보조국사 지눌 초상화]
(2) 혜심 (진각국사)
1) 유불 일치설, 성리학을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마련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내가 두 성인을 중국에 보내 교화를 펴리라. 한 사람은 노자로, 그는 가섭보살이요.
또 한사람은 공자로, 그는 유동보살이다.’라고 하였다. 즉 유교나 도교가 방편에서는 불교와 다를지 몰라도,
결국 진리는 같다는 말이다.”
2) 지눌의 제자
3) 선문염송집,「무의자시집」,「진각국사 어록」
4) 수선사의 교주였다.
5) 유교를 공부하다 출가하였다.
(3) 충지 (원감국사) - 원감록 : 영남지방 시대상황을 잘 보여줌
(4) 요세 (원묘국사)
1) 백련결사 제창
a. 백성들의 신앙적 요구
b. 강진 만덕사에 백련결사 제창, 자신의 행동을 진정으로 참회하는 법화 신앙에 중점
cf. 백련사는 충렬왕 대에 왕실의 원찰인 묘련사로 바뀌었다.
2) 수선사와 양립
3) 수행 - 수참(참회), 미타정토, 참회멸죄
4) 최우 후원
수선사(1204) |
지눌 |
조계종 |
독경과 선 수행, 노동에 노력 |
대몽 항쟁 |
송광사(순천) |
개혁적 승려, 지방민 |
백련사(1208) |
요세 |
천태종 |
법화신항(참회) |
기층사회의 교화 |
만덕사(강진) |
지방민 |
[백련사 - 전남 강진]
2.
원 간섭기 (권문세족) - 말기(1) 불교계의 폐단과 변모
1) 개혁 운동의 의지가 퇴색
2) 불교의 세속화 : 부패
3) 귀족적, 보수적 경향
4) 천태종의 백련사는 왕실의 원찰인 묘련사로 변질, 최씨 정권과 밀착되었던 수선사는 탄압
(2) 보우
1) 교단 통합·정리
2) 임제종 (선종 계통) : 원나라에서 들어옴 (전통 불교와 다른 새로운 불교 유행)
3) 불교계의 폐단을 바로 잡는 우선 과제라 생각 교단 정리
(3) 지공 - 인도의 선종을 도입
(4) 혜근 - 조계종 발달
(5) 라마교 전래
T) 보우가 라마교를 들여왔다? (X)
3. 신진 사대부의 불교 비판
* 정도전 - 불씨잡변
<문제> soy한국사
1. 의통, 제관의 천태종 연구 (광종, 전기) ➝ 의천 속장경 간행 (숙종, 중기) ➝ 선종 중심 통합 (후기) ➝ 라마교 수입 (원)
2. 대승기신론소(통일 신,라 원효) ➝ 천태사교의(제관 ,초기) ➝ 신편제종교장총록(중기, 의천) ➝ 해동고승전(후기, 각훈)
3. 교관겸수를 강조하는 불교 종파인 천태종이 개창된 것은 고려 중기 때이다.
4. 고려시대 국가 불교가 발전한 사실과 관련 (1) 승과를 실시해 법제를 부여 (2) 팔관회, 연등회 성대히 거행, 왕이 보살계를 받는 보살계도량이 별도로 열렸다. (3) 승정을 담당한 승록사라는 기구가 있었으며 승군이 조직되어 국방의 일익을 담당
5. 의천의 종파는 무신 정권의 후원을 받았다? (X) ☞ 의천은 천태종, 무신은 조계종
6. 교관겸수를 주장하는 사람은 대장경에 대한 주석서를 모아 교장을 편찬하였다? (O) ☞ 의천
7. 정혜상수를 주장하는 사람은 수선사 결사를 제창하여 불교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O) ☞ 지눌
8. 승록사는 고려 때 처음 설치하여 도승록, 부승록, 승정, 승유 등의 승관을 두고 중국에서와 같은 승려의 적장과 인사 관계를 관장하게 하였다? (O)
9. 일연으로 대표되는 선종 가지산파가 부흥하였다? (O)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