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16. 고려시대 유학의 발달, 고려시대 역사서 편찬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명왕편, 제왕운기, 개성 성균관, 국자감, 7재, 양현고, 9재학당, 안향, 고려 과거제도, ..

by 소이나는 2012. 5. 11.
반응형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Ⅰ. 유학의 발달

 

 1. 고려 문화의 특징

  (1) 유교 : 치국의 도

  (2) 불교 : 수신의 본

  (3) 유·불 함께 발전


 2. 유학의 진흥책

  (1)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2) 광종 : 과거 제도, 당태종의 「정관정요」 - 통치 지침서

  (3) 성종 : 유교 정치사상 (국자감), 원구례·적전례 시작 (유교의 예제)


 3. 고려 초기의 유학

  (1) 최승로 : 시무 28조

  (2) 김심언 : 봉사 2조

  (3) 자주적, 주체적


 4. 고려 중기의 유학

  (1) 최충 : 해동공자

  (2) 김부식 : 삼국사기, 보수적, 현실적 성격

  (3) 귀족 취향, 보수적 (문벌귀족 - 시문을 중시)

  (4) 훈고학 :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

  (5) 주례 강조

  (6) 북송 성리학 수용

  (7) 귀족적 성격                                             soy한국사 


 5. 무신 정권의 유학 위축

 

Ⅱ. 성리학의 전래 (원 간섭기)


 1. 성리학의 특징

  (1) 본질 : 남송의 주희(주자학 - 인간심성, 우주)가 집대성 - 훈고학

  (2) 5경보다 4서 중시 (4서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주자가례 중시, 가묘 건립


 2. 성리학의 전래 과정

  (1) 소개 : 충렬왕 때 안향주자전서」(원 시기)

  (2) 수용 초기

    1) 성리학자들은 불교 철학으로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2) 실천적·윤리적 측면이 매우 강했따. (형이상학적 측면이 약했다.)

  (3) 백이정이 배워와 이제현, 박충좌 등에게 전수

  (4) 충선왕 때 이제현 ➝ 이색 등에게 전파

  (5) 충숙왕 이후 안축, 이곡, 이색 등이 원나라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는 등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6) 확산 : 공민왕 때 이색 ➝ 정몽주(동방 이학의 조), 권근, 정도전

    * 안향, 백이정 ➝ 이제현, 박충좌 ➝ 이색, 이숭인, 정몽주 ➝ 정도전, 조준, 길재, 권근


  
  [안향]

 3. 성리학의 영향

  (1) 신진 사대부의 사상적 기반 ➝ 조선 개창 이념으로 등장

  (2) 실천적 기능 강조

  (3) 유교 의식 보급 : 「소학」이 존중, 「주자가례」가 채용, 가묘(개인 사당)을 세움 (고려 후기)

  (4) 유학의 성격이 철학적인 유학으로 바뀜

  (5) 불교 비판

    T) 정몽주는 배불론을 전개했다? (X)


    T) 성리학이 전래되면서 고려의 유학은 점차 보수적으로 바뀌었다?  (X)

        ☞ 중기가 보수적, 후기는 점차 급진적 (조선의 개창)



Ⅲ. 역사서의 편찬

 

 1. 배경

  

 2. 전기

  (1) 고구려 계승 의식 표방, 자주적

  (2) 왕조 실록 : 건국 초기 (소실)

  (3) 7대실록 : 태조 ~ 목종의 이야기 ➝ 현종 ~ 덕종 때 완성  (황주량 등이 중심) (오늘날 전해지지 않고 있다.)

  (4) 고금록 : 박인량 (문종)

  (5) 편년통록 - 왕건의 가계와 역사를 상세히 정리

  (6) 속편년통재 : 홍관 (예종) - 편년체의 역사서


 3. 중기


   * 삼국사기 : 김부식 (인종) 

      1) 신라 계승 의식

      2) 왕명에 의해 편찬

      3) 고조선과 삼한의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다.

      4) ‘구 삼국사’를 기본으로 함

      5) 삼국을 我로 표현

T) 삼국사기의 백제 의자왕 대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신라에 비해 많이 나타나고 있다.

  * 649년 우레가 있고 얼음이 얼지 아니하였다.

  * 653년 봄에 크게 가물어 백성이 굷어 죽었다.

  * 656년 왕은 궁녀들을 데리고 술 마시기를 기치지 아니하였다.

  * 657년 크게 가물어 붉은 땅이 되었다.

  * 660년 왕도의 우물물과 금강물이 핏빛이 되었다.

   이를 통해 추론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저자는 천재지변과 국가의 운명을 상호 관련시켜 인식하고 있다?   (O)

   2) 역사는 이긴 자의 입장에서 서술되기 쉬우므로 백제의 부정적인 면이 강조되었을 수도 있다?    (O)

   3) 역사서는 사실을 나타내면서도 역사가의 주관과 선택이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O)

   4) 백제에 천재지변이 많았다는 것은 당시 한반도의 기후가 오늘날과는 달랐음을 보여준다?     (X)


 4. 후기

  (1)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

  (2) 자주성 - 몽골과 강화한 이후 자주성 손상되었기 때문에


  (3) 삼국유사

   1) 민간설화, 전래 기록 - 일연 (충렬왕)

   2) 9편목으로 구성 - 왕력, 기이, 흥법, 탑상 의해, 신주, 감통, 피은, 효선

   3) 민족의 시조에 대한 관념이 강하게 표현

   4) 고승전 체제를 바탕으로 기이편을 앞부분에 넣고 효선편을 마지막에 붙여서 유사체로 편침

 

삼국사기

삼국유사

 김부식

 일연

 귀족 사회 전성기 (인종 1145)

원 간섭기 (충렬왕 1285)

기전체

기사본말체

 삼국부터 왕조 중심 정사

 단국 이야기 설화의 야사

 합리적 유교 사관 (충절, 효행, 정절)

 민족적 자주적 사관 (불교, 단군, 무속)

 신라

 고조선


  (4) 해동고승전 : 교종의 관점, 중국과 대등, 일부만 전해짐 - 각훈  


  (5) 동명왕편 (1193 - 무신집권기) - 이규보

    1) 고구려 계승의식 (X-단군)

    2) 영웅서사시

    3)「동국이상국집」에 수록

    4)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을 비판하고 고대사의 소박한 원형을 표출

    5) 민족사 범위의 확대와 세계화

    6) 군주 중심의 역사 인식

    7) 한시로 읊은 것이다.


  (6) 제왕운기

    1)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보고,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하는 자주성  (몽골 간섭기)

    2) 이승휴(충렬왕)

    3) 우리나라의 역사를 단군으로부터 서술(단군신화 내용), 단일 민족사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4) “요동의 또 하나의 천하 ~~  ” - 요동이 중국과 독자적 지역이라는 천하관


  (7) 본조편년강목 - 우리나라 최초의 강목체 - 민지 (충숙왕)


  (8) 성리학적 유교 사관

   1) 정통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

   2) 사략 : 이제현

    a. 성리학적 입장 (x- 자주적)

    b. 조선 역사학에 영향을 주웠다.

   3) 왕권 중심으로 국가 질서를 회복하려는 의식 반영

 

  (9) 기타 - 세대편년절요, 선원론(임익),  본조금경록, 고금록 - 원부(충렬왕), 이인복(공민왕)                                             soy한국사 



[참고]

 

 

사 관

사 서

전기

 자주적 사관

 7대실록 등

중기

 합리적 유교 사관

 삼국사기

후기

 자주적 사관

 동명왕편, 삼국유사, 제왕운기

말기

 성리학적 유교 사관

 사략

 

 

서술 방법

대표적 사서

기전체

본기, 열전, 세가, 지, 연표 (정사체)

삼국사기, 고려사, 동사, 해동역사

편년체

 연월을 중심 (사실편술)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기사본말체

 사건마다 (실증적), 인과관계

연려실기술, 삼국유사, 조선사연구초

강목체

 강, 목으로 서술

동사강목, 강목집요, 본조편년 강목

 

 * 편년체 : 실록, 절요, 통감은 모두 편년체  /  기전체 : 사마천의 사기

 * 동국통감 - 고조선 ~ 고려 말까지 역사 기록

 * 동사강목 - 고조선 ~ 고려 말까지 역사 정리 - 고증 사학의 토대를 마련

 * 본기 - 연대순  /   세가 - 제후국 역사   /   지 - 정치, 경제, 군사, 예술

   연표 - 연대 기록 표  /   열전 - 장군, 충신, 역신

 * 기사본말체 - 사건 내역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참고.hwp






Ⅳ. 교육 시책과 교육 기관

    T) 신분적 성격이 반영된 교육제도


 1. 교육 시책 : 서경에 학보 설치

  

 2. 교육기관의 정비 - 관리양성을 위한 것

  (1) 태조 : 학보 설치 (개경, 서경에 학교 설립)

  (2) 성종

   1) 교육 조서의 반포 “교육이 아니면 인재를 얻을 수 없다.”

   2) 지방 교육

      a. 향교 : 인종 이후 지방교육의 중심

      b. 박사(경학박사, 의학박사)를 12목에 파견

   3) 중앙 교육

    a.  국자감 - [유학부] 국자학, 태학, 사문학   

                 [기술학부] 율학, 서학, 산학 (잡학) (→ 율·서·산 외 나머지는 각 해당 관청에서 선출)

    b. 입학 기준 : 신분별 입학

                 [유학부] 7품 이상 자제

                 [기술학부] 8품 이하

   4) 도서관 설치 : 비서성(개경),   수서원(서경)

   5) 문신 월과법 시행 : 관리의 질적 향상위해 글 받음

      a. 중앙 문신 : 매월 시 3편과 부 1편

      b. 지방관 : 1년에 1회씩 글

   6) 유교 진흥책


국자감

6학

입학자격 (신분별)

교육내용

기간

유학부

(신분별 입학)

국자학

 3품 이상

유교 경전, 문예

9년

태학

 5품 이상

시문학

 7품 이상

기술학부 

(잡학)

율학

 8품 이하, 서민의 자제

법률

6년

서학

서예, 그림

산학

수학


 3. 사학의 발달

  (1) 12도 융성 : 문종 때 최충문헌공도(9재 학당) 등 융성

     * 9재 학당- 나성, 대중, 성명, 경업, 조도, 솔성, 진덕, 대화, 대방 (➝ 후에 사학의 효시가 됨)       

  (2) 영향

   1) 국자감 위축

   2) 문벌 귀족 사회 확립


 4. 관학 진흥책

  (1) 숙종 : 서적포 (서적간행), 평양에 기자 사당

  (2) 예종   (cf. 여진과 대치 시기)

      1) 국학 개칭 : 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

      2) 7재 설치 (전문 강좌)

         - 여택재(주역), 대빙재(상서), 경덕재(모시), 구인재(주례), 복응재(예기), 양정재(춘추), 강예재(무학)

      3) 양현고 : 관학 강화위한 장학 재단

      4) 청연각·보문각 :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

      5) 편찬 - 편년통재속편, 정관정요, 해동비록

  (3) 인종

      1) 경사 6학 정비 -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

      2) 지방 - 향교 중심 교육, 주현에 향학을 설치하여 지방교육 선도

  (4) 충렬왕

      1) 섬학전 : 양현고의 부실을 보충위한 교육재단

      2) 문묘 신축 : 국학을 성균관으로 개칭, 문묘(공자 사당) 건립

      3) 안향 활약

      4) 경사교수도감 (유학교육)

  (5) 공민왕 : 성균관을 유교 교육 기관으로 개편

  (6) 공양왕 - 성균관의 유학부와 기술학부를 분리



[개성 성균관]

[문제]

 

1. 태학에는 7품 이상의 자제들이 입학하였다?   (X)  ☞  5품

 

2. 순서 : 국자감 ➝ 12도 ➝ 7재 ➝ 경사 6학

 

3. 국자학, 태학, 사문학의 교과목은 동일하였다.

 

4. 율학, 서학, 산학 등은 국자감에서도 교육하였다.

 

5. 농민은 일정한 직역이 없는 백정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과거 응시가 가능하였다.

 



Ⅴ. 과거 제도와 음서제도

 

 1. 과거 제도

  (1) 실시 목적 : 호족 억제 (광종 958) - 문치 관료제도 강화, 신·구세력의 교체

  (2) 종류

    1) 문과

       a. 제술업 : 문학적(한문학) 재능, 정책, 가장 중시

       b. 명경업 : 유교 경전 (장정은 12궤, 백정은 9궤)

       cf) 삼장연권법 - 초장, 중장, 종장을 모두 합격해야 급제

       cf) 예부시명경업 -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분하여 시험

    2) 잡업(잡과) - 11종류 : 법률, 의업, 산수, 지리업, 서업, 주금업, 복업, 하론업, 정요업, 삼전업, 삼례업

    3) 승과 : 대선·대덕이라는 법계를 줌

       a. 교종 : 화엄경으로 시험 ➝ 왕륜사에서 행

       b. 선종 : 전등록으로 시험 ➝ 광명사에서 행

    4) 무과 : 무신 - 실시 X

  (3) 응시 자격

    1) 양인 이상 응시 가능 ➝ 백정 농민은 대체로 잡과에 응시

    2) 6품 이상의 관직자는 과거응시 不可

  (4) 실시 시기 :

    1) 식년사 : 3년마다 정기  (☞ 실제는 격년시가 유행)

    2) 지공거 : 과거 시험관 (‘좌주’라 칭 - 합격자인 문생과는 부자관계 처럼 평생 지속)

  (5) 절차

    1) 1단계 : 상공(개경), 항공(지방), 빈공(외국인)

    2) 2단계 : 국자감시(사마시, 진사시) ➝ 합격자와 국자감생, 12공도 생도, 현직 관리 등 시험 (춘관시, 문과)

    3) 3단계 : 예부시(동당감시) ➝ 진사가 응시한 본시험 - 국자감생, 12공도, 중기 이후 국자감시를 거쳐 응시

    4) 친시(복시) - 단지 예부시 급제자의 순위만 결정

  (6) 좌주(시험관), 문생(합격자) 결속 강화, 관직 진출

  (7) 능력이 중시

  (8) 한계

    1) 합격 후 관직에 못 오를 수도 있다. (관직수의 부족) → 실직을 위해서는 이부의 전주, 대간의 서경을 거쳐야 한다.

    2) 과거보다 음서 중시

  (9) 합격자 - 홍패와 등과전(토지)지급


 2. 음서 제도

  (1) 과거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벼슬을 할 수 있는 제도, 조상의 음덕으로 관직 진출이 가능한 것

  (2) 대상 - 공신, 종실, 5품 이상 관인의 자손 / 수양자나 사위, 외손도 혜택 (X- 직계자손을 대상)

  (3) 세습, 공음전의 특권을 통해 문벌 귀족 사회 강화

  (3) 귀족적 특성 - 보수적, 폐쇄적

  (4) 한직제 제한 無 - 승진에 제한 無

  (5) 종류

    1) 공신자손음서

    2) 조종묘예음서

    3) 5품 이상 관료자손음서(가장 폭넓게 시행)

  (6) 동정직(산직)이 주어짐 → 후기에는 권무직, 품과실직을 받은 예가 많아지기도 했다.

  (7) 전품음서의 시행 - 관직자를 다시 올려주기 위한 음서

  

 cf) 조선의 문음 - 2품 이상 관료로 제한

 cf) 6품 이하의 자제로 관직을 얻지 못한 자 = 한인 ➝ 한인전이 분급

  


3. 천거 제도 - 성종 이후 비정기적으로 시행


* 관리등용의 변화

1) 정방 - 뇌물을 받고 관직을 매매하는 기구로 변질

2) 과거 부정 심화 - ‘분홍방’이라는 말도 유행

3) 천거, 성중애마(궁인 + 숙위 임무자)의 선보, 남반(당직)·잡로(잡류의 출사직)를 통한 승진

4) 첨설직의 남설

5) 납속보관제 남발 - 곡식·은을 받고 관직을 팔음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20.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대 조각,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갑사 승탑, 개성 만월대, 경천사 10층 석탑, 고달사지 승탑,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  (0) 2012.05.12
[고려] 19. 고려시대 문학 (향가, 한문학, 패관문학, 가전체문학, 경기체가)  (0) 2012.05.12
[고려] 18. 고려시대 과학기술 (고려 천문학, 사천대, 태의감,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화통도감, 고려 인쇄술, 고려 무기 제도, 개성 첨성대, 신기전, 고려 누전선, 고려 배)  (5) 2012.05.12
[고려] 17. 고려시대 종교, 고려 불교 (승록사, 천태종, 제관, 의천, 대장경, 교관겸수,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초상화), 고려 풍수지리설, 고려 ..  (11) 2012.05.11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0) 2012.05.11
[고려] 15. 고려시대 경제 활동 (고려 화폐, 고려 고리대, 건경직파법, 시비법, 이앙법, 고려 농업, 고려 수공업, 관청 수공업, 경시서, 소금전매제, 장생고, 고려 교통로, 고려 강화도 개간, 활구,..  (0) 2012.05.11
[고려] 14. 고려의 산업, 재정 (중농정책)  (0) 2012.05.10
[고려] 14-2. 고려시대 수취체제 (조세, 공납, 공부, 역, 잡세)  (0) 2012.05.10
[고려] 14-1.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토지소유 (역분전, 과전법, 녹과전, 시정 전시과, 개정 전시과, 별정 전시과, 경정 전시과, 한인전, 공음전)  (3) 2012.05.10
[고려] 13.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향도, 자모정식법, 흑창, 의창, 상평창, 제위보, 혜민국, 동서대비원, 구급도감, 고려 여성지위, 고려시대 상속)  (6) 2012.05.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