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활동
Ⅰ. 귀족의 경제생활
1. 귀족의 경제 기반 : 과전, 녹봉
2. 과전과 사전의 수입
(1) 과전 : 사망시 반납(공음, 공신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토지의 일부분이라도 물려받을 수 있었다. - 조 1/10
(2) 사전 - 조 1/2
3. 녹봉 (문종때) - 현직 실직주의 / 지급목록 - 미·속·맥
4. 토지확대
5. 귀족의 사치 생활
(1) 누각·별장 소유
(2) 말·차 이용
(3) 비단·고운 모시
(4) 부가 집중되어 고리대 성행
Ⅱ. 농민의 경제생활
1. 경제 기반
(1) 민전 경장, 소작
(2) 품팔이 등
2. 생활 개선 노력
(1) 소득 향상 노력
(2) 개간 사업
(3) 강화도 간척
(4) 수리 시설 개선 : 김제의 벽골제, 밀양 수산제 개축
(5) 진전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
[고려 말기 강화도 개간] soy한국사
3. 농업 기술의 발달
(1) 초기
1) 우경에 의한 깊이갈이 (심경법) 의 일반화
2) 윤작법 : 보리, 콩, 조 등을 도려짓기 하는 2년 3작 (X-벼) (윤작법 실시 → 조선시대에는 일반화)
3) 근경법, 간종법 시행
4) 건경직파법 - 마른 논에 직접 씨를 뿌림
5) 연작시행 (상경전)
* 재역전(再易) - 1년 경작 후 2년 휴한하는 농토의 등급
* 일역전(一易) - 2년마다 한번 농사 가능
* 불역전(不易) - 매년 농사지을 수 있는 토지
(2) 후기
1) 시비법의 발달
a. 가축의 배설물을 거름으로 사용, 콩 등 심은 뒤 갈아엎어 비료로 사용하는 녹비법 시행
불태워 재를 거름으로도 이용
b. 해마다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가 늘어났다. (휴경지 감소 → cf. 조선시대에는 소멸)
c. 초분, 인분, 답분법
2) 이앙법 : 모내기 (고려 말) - 남부 일부
3) 농업 기술의 연구 진척 :
a. 중국의 농서 도입 → 이암 :「농상집요」(1372) / 손씨잠경 / 농서집요 / 원조정본농상집요
b. 중국으로부터 새 농법 소개 (강남 농법)
4) 공민왕 문익점의 목화씨로 의생활의 변신 (cf. 면방직의 발달은 조선 전기)
5) 농기구·종자개량(신품종) - 점성도, 선명도 (중국 강남 쪽 벼).
6) 아직 논농사보다 밭농사 비중이 컸다.
4. 농민의 몰락
- 권문세족의 대농장, 지나친 세금
<문제> 1. 고려시대에 녹비법이나 가축의 분뇨 등을 이용하면서 휴경지가 감소하였다? (O) 2. 고려시대에 보리, 콩, 조를 돌려짓는 2년 3작의 윤작법이 보급되었다? (O) 3. 고려 말에 남부 일부 지역에서 이모작이 시작되었다? (X) ☞ 조선 초 4. 농민인 진전(陣田)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국가에서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해 주었다? (O) 5. 원나라를 통해 소주를 내리는 증류주법이 유입되어 보급되었다? (O) |
Ⅲ. 수공업자
1. 고려 전기
(1) 관청 수공업
1) 부역 동원, 공장안에 생산
2) 최고 미20석, 최하 도7석에 녹봉에 해당하는 ‘별사’의 대우
T) 관청에 소속되지 않은 공장들도 공장안에 올라 일정기간 공사에 징발되었다.
(2) 소 수공업 : 공물로 납부, 전업적 수공업 집단
(3) 가내 수공업
2. 고려 후기
(1) 민간 수공업
1) 농촌의 가내 수공업 중심 : 삼베, 비단, 모시, 명주
2) 다양화 : 대나무 제품, 종이 등
3) 유통 경제 발전
(2) 사원 수공업 : 제지, 직포
T) 지리산 인근에서 무명옷을 만들어 입었다? (O)
Ⅳ. 상업활동
- 농업에 의존하였기에 상공업은 그리 발달하지 못하였다. 자급자족 위주의 경제활동
1. 고려 전기
(1) 도시 상업
1) 시전 설치 (개경) : 관청, 귀족이 이용
2) 관영 상점 설치 (개경, 서경, 동경) : 서적, 약점, 주점 등
3) 비정기적인 시장
4) 경시서 설치 : 상행위를 감독
5) 소시(가로시) - 영세 소상인들에 의한 장시
(2) 지방 상업
1) 관아 근처에 시장 형성
2) 행상 : 돌아다니며 판매, 일용품
3) 장시 - 미·포로써 화폐를 삼아 물물 교환
4) 불교사원 - 적극 참여
(3) 화폐 유통 미미
2. 고려 후기
(1) 개경의 상업 활동
1) 시전 규모 확대
2) 항구 발달 : 벽란도
(2) 지방의 상업 활동 : 미곡, 생선, 소금, 도자기
(3) 경제 구조 변화
1) 소금 전매제 시행 - 각염법 (충선왕)
2) 관청·관리·사원(곡물, 수공업) 등의 개입
3) 상인·수공업자의 성장
[고려의 산업 중심지와 고려의 교통로]
Ⅴ. 화폐 주조와 고리대의 유행
1. 주조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탤 수 있음
(1) 배경 : 상업 활발
(2) 이점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탬
(3) 발행
1) 성종 : 건원중보, 유통은 실패 (실효성이 적었다.), 최초의 철전
2) 숙종
a. 동전 =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b. 은전 = 활구(은병 - 의천(숙종의 동생)의 주장,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듦)
3) 충렬왕 : 쇄은 - 은을 무게로 달아 사용
4) 충혜왕 - 소은병
5) ‘보초’유입
6) 공양왕 : 저화 - 최초의 지폐
(4) 화폐 유통의 한계
1) 지급자족의 경제 활동
2) 귀족의 반발
3) 미포, 쌀, 베 등 물품 화폐가 여전히 중요한 비중
4) 조세, 공물을 현물로 거두는 제도
cf) 전폐 - 조선 세조 때 주조
[삼한통보] [해동통보]
2. 고리대업의 성행, 농민의 몰락
(1) 고리대 성행
(2) 농민 몰락
(3) 장생고 : 「일종의 사설 금융 기관」 고리대화
3. 보의 발달
(1) 이자를 사업의 경비로 충당하는 것
1) 법정이자율 - 1/3
2) 주로 사원에서 설치 운영
3) 통일신라에도 사원에서 보가 설치 되었다.
(2) 종류
1) 제위보 (광종) - 빈민 구제
2) 학보 (태조) - 학교 재단
3) 광학보 (정종) : 승려의 면학
4) 경보 (정종) - 불경 간행
5) 팔관보 (문종) : 팔관회의 경비 충당
6) 금종보 : 현화사의 범종 주조를 위해 만든 재단
7) 기일보
(3) 보의 변질 : 이자 취득에만 급급했다. soy한국사
cf) 보 - 공공복리를 위해 만든 일종의 재단
Ⅵ. 무역활동
1. 대외 무역
(1) 국가의 통제 : 호족
(2) 공무역 중심
(3) 송, 요 등 활발
(4) 벽란도 : 예성강 어귀
cf. 삼국시대 : 당항성(한강) ➝ 통일신라 : 울산항(경주 근처) ➝ 고려 : 벽란도 (개경 근처)
2. 송과의 무역
(1) 수입 : 비단, 약재, 서적, 자기
(2) 수출 : 종이, 인삼, 나전칠기, 화문석, 먹, 금·은
(3) 북송 때 : 벽란도 ➝ 옹진 ➝ 산둥 ➝ 덩저우
(4) 남송 때 : 벽란도 ➝ 흑산도 ➝ 밍저우
3. 기타 각국과의 무역
(1) 거란(요) : 농기구, 목식, 문방구 (수출) ⟷ 은, 모피, 말(수입)
(2) 여진 : 농기구, 곡식, 포목 (수출) ⟷ 은, 모피, 말 (수입)
(3) 일본 : 식량, 인삼 서적 (수출) ⟷ 황, 수은, 감귤 (수입) = 활발하지는 않음 (문종 11세기 즈음)
(4) 아라비아 : 수은, 향로, 산호 등 수입 : Corea를 알림
(5) 원 간섭기 : 사무역이 다시 활발 → 지나친 유출
[고려의 대외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