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15. 고려시대 경제 활동 (고려 화폐, 고려 고리대, 건경직파법, 시비법, 이앙법, 고려 농업, 고려 수공업, 관청 수공업, 경시서, 소금전매제, 장생고, 고려 교통로, 고려 강화도 개간, 활구,..

by 소이나는 2012. 5. 11.
반응형

 

 

경제 활동


Ⅰ. 귀족의 경제생활

 1. 귀족의 경제 기반 : 과전, 녹봉 

 2. 과전과 사전의 수입

  (1) 과전 : 사망시 반납(공음, 공신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토지의 일부분이라도 물려받을 수 있었다. - 조 1/10

  (2) 사전 - 조 1/2

 3. 녹봉 (문종때)  - 현직 실직주의 / 지급목록 - 미·속·맥

 4. 토지확대 

 5. 귀족의 사치 생활

  (1) 누각·별장 소유

  (2) 말·차 이용

  (3) 비단·고운 모시

  (4) 부가 집중되어 고리대 성행


Ⅱ. 농민의 경제생활

 

 1. 경제 기반

  (1) 민전 경장, 소작

  (2) 품팔이 등


 2. 생활 개선 노력

  (1) 소득 향상 노력

  (2) 개간 사업

  (3) 강화도 간척

  (4) 수리 시설 개선 : 김제의 벽골제, 밀양 수산제 개축

  (5) 진전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



 [고려 말기 강화도 개간]                                            soy한국사 


 3. 농업 기술의 발달


  (1) 초기

   1) 우경에 의한 깊이갈이 (심경법) 의 일반화

   2) 윤작법 : 보리, 콩, 조 등을 도려짓기 하는 2년 3작  (X-벼) (윤작법 실시 → 조선시대에는 일반화)

   3) 근경법, 간종법 시행

   4) 건경직파법 - 마른 논에 직접 씨를 뿌림

   5) 연작시행 (상경전)

     * 재역전(再易) - 1년 경작 후 2년 휴한하는 농토의 등급

     * 일역전(一易) - 2년마다 한번 농사 가능

     * 불역전(不易) - 매년 농사지을 수 있는 토지


  (2) 후기

   1) 시비법의 발달

    a. 가축의 배설물을 거름으로 사용, 콩 등 심은 뒤 갈아엎어 비료로 사용하는 녹비법 시행

       불태워 재를 거름으로도 이용

    b. 해마다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가 늘어났다. (휴경지 감소 → cf. 조선시대에는 소멸) 

    c. 초분, 인분, 답분법

   2) 이앙법 : 모내기 (고려 말) - 남부 일부

   3) 농업 기술의 연구 진척 :

    a. 중국의 농서 도입 → 이암 :「농상집요」(1372) / 손씨잠경 / 농서집요 / 원조정본농상집요

    b. 중국으로부터 새 농법 소개 (강남 농법)

   4) 공민왕 문익점의 목화씨로 의생활의 변신  (cf. 면방직의 발달은 조선 전기)

   5) 농기구·종자개량(신품종) - 점성도, 선명도 (중국 강남 쪽 벼).

   6) 아직 논농사보다 밭농사 비중이 컸다.


 4. 농민의 몰락

   - 권문세족의 대농장, 지나친 세금


<문제>

1. 고려시대에 녹비법이나 가축의 분뇨 등을 이용하면서 휴경지가 감소하였다?  (O)

2. 고려시대에 보리, 콩, 조를 돌려짓는 2년 3작의 윤작법이 보급되었다?   (O)

3. 고려 말에 남부 일부 지역에서 이모작이 시작되었다?  (X)   ☞ 조선 초

4. 농민인 진전(陣田)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국가에서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해 주었다?  (O)

5. 원나라를 통해 소주를 내리는 증류주법이 유입되어 보급되었다?   (O)







Ⅲ. 수공업

 

 1. 고려 전기

  (1) 관청 수공업

    1) 부역 동원, 공장안에 생산

    2) 최고 미20석, 최하 도7석에 녹봉에 해당하는 ‘별사’의 대우

    T) 관청에 소속되지 않은 공장들도 공장안에 올라 일정기간 공사에 징발되었다.

  (2) 수공업 : 공물로 납부, 전업적 수공업 집단

  (3) 가내 수공업


 2. 고려 후기

  (1) 민간 수공업

   1) 농촌의 가내 수공업 중심 : 삼베, 비단, 모시, 명주

   2) 다양화 : 대나무 제품, 종이 등

   3) 유통 경제 발전

  (2) 사원 수공업 : 제지, 직포


   T) 지리산 인근에서 무명옷을 만들어 입었다?   (O)


Ⅳ. 상업활동

   - 농업에 의존하였기에 상공업은 그리 발달하지 못하였다. 자급자족 위주의 경제활동


 1. 고려 전기

  (1) 도시 상업

   1) 시전 설치 (개경) : 관청, 귀족이 이용

   2) 관영 상점 설치 (개경, 서경, 동경) : 서적, 약점, 주점 등

   3) 비정기적인 시장

   4) 경시서 설치 : 상행위를 감독

   5) 소시(가로시) - 영세 소상인들에 의한 장시

  (2) 지방 상업

   1) 관아 근처에 시장 형성

   2) 행상 : 돌아다니며 판매, 일용품

   3) 장시 - 미·포로써 화폐를 삼아 물물 교환

   4) 불교사원 - 적극 참여

  (3) 화폐 유통 미미


 2. 고려 후기

  (1) 개경의 상업 활동

   1) 시전 규모 확대

   2) 항구 발달 : 벽란도

  (2) 지방의 상업 활동 : 미곡, 생선, 소금, 도자기

  (3) 경제 구조 변화

   1) 소금 전매제 시행 - 각염법 (충선왕)

   2) 관청·관리·사원(곡물, 수공업) 등의 개입

   3) 상인·수공업자의 성장



 [고려의 산업 중심지와 고려의 교통로]



Ⅴ. 화폐 주조와 고리대의 유행

 

 1. 주조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탤 수 있음

  (1) 배경 : 상업 활발

  (2) 이점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탬

  (3) 발행

    1) 성종 : 건원중보, 유통은 실패 (실효성이 적었다.), 최초의 철전

    2) 숙종

       a. 동전 =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b. 은전 = 활구(은병 - 의천(숙종의 동생)의 주장,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듦)

    3) 충렬왕 : 쇄은 - 은을 무게로 달아 사용

    4) 충혜왕 - 소은병

    5) ‘보초’유입

    6) 공양왕 : 저화 - 최초의 지폐

  (4) 화폐 유통의 한계

    1) 지급자족의 경제 활동

    2) 귀족의 반발

    3) 미포, 쌀, 베 등 물품 화폐가 여전히 중요한 비중

    4) 조세, 공물을 현물로 거두는 제도


  cf) 전폐 - 조선 세조 때 주조



 [삼한통보]                       [해동통보]

 2. 고리대업의 성행, 농민의 몰락

   (1) 고리대 성행

   (2) 농민 몰락

   (3) 장생고 : 「일종의 사설 금융 기관」 고리대화

  

 3. 의 발달

  (1) 이자를 사업의 경비로 충당하는 것

   1) 법정이자율 - 1/3

   2) 주로 사원에서 설치 운영

   3) 통일신라에도 사원에서 보가 설치 되었다.

  (2) 종류

   1) 제위보 (광종) - 빈민 구제

   2) 학보 (태조) - 학교 재단

   3) 광학보 (정종) : 승려의 면학

   4) 경보 (정종) - 불경 간행

   5) 팔관보 (문종) : 팔관회의 경비 충당

   6) 금종보 : 현화사의 범종 주조를 위해 만든 재단

   7) 기일보

  (3) 보의 변질 : 이자 취득에만 급급했다.                                             soy한국사 

   cf) 보 - 공공복리를 위해 만든 일종의 재단

 

Ⅵ. 무역활동

 

 1. 대외 무역

  (1) 국가의 통제 : 호족

  (2) 공무역 중심

  (3) , 요 등 활발

  (4) 벽란도 : 예성강 어귀

  cf. 삼국시대 : 당항성(한강) ➝ 통일신라 : 울산항(경주 근처) ➝ 고려 : 벽란도 (개경 근처)


 2. 과의 무역

  (1) 수입 : 비단, 약재, 서적, 자기

  (2) 수출 : 종이, 인삼, 나전칠기, 화문석, , 금·은

  (3) 북송 때 : 벽란도 ➝ 옹진 ➝ 산둥 ➝ 덩저우

  (4) 남송 때 : 벽란도 ➝ 흑산도 ➝ 밍저우


 3. 기타 각국과의 무역

   (1) 거란(요) : 농기구, 목식, 문방구 (수출) ⟷ 은, 모피, 말(수입) 

   (2) 여진 : 농기구, 곡식, 포목 (수출) ⟷ 은, 모피, 말 (수입)

   (3) 일본 : 식량, 인삼 서적 (수출) ⟷ 황, 수은, 감귤 (수입) = 활발하지는 않음 (문종 11세기 즈음)

   (4) 아라비아 : 수은, 향로, 산호 등 수입 : Corea를 알림

   (5) 원 간섭기 : 사무역이 다시 활발 → 지나친 유출



[고려의 대외 무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19. 고려시대 문학 (향가, 한문학, 패관문학, 가전체문학, 경기체가)  (0) 2012.05.12
[고려] 18. 고려시대 과학기술 (고려 천문학, 사천대, 태의감,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화통도감, 고려 인쇄술, 고려 무기 제도, 개성 첨성대, 신기전, 고려 누전선, 고려 배)  (5) 2012.05.12
[고려] 17. 고려시대 종교, 고려 불교 (승록사, 천태종, 제관, 의천, 대장경, 교관겸수,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초상화), 고려 풍수지리설, 고려 ..  (11) 2012.05.11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0) 2012.05.11
[고려] 16. 고려시대 유학의 발달, 고려시대 역사서 편찬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명왕편, 제왕운기, 개성 성균관, 국자감, 7재, 양현고, 9재학당, 안향, 고려 과거제도, ..  (2) 2012.05.11
[고려] 14. 고려의 산업, 재정 (중농정책)  (0) 2012.05.10
[고려] 14-2. 고려시대 수취체제 (조세, 공납, 공부, 역, 잡세)  (0) 2012.05.10
[고려] 14-1.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토지소유 (역분전, 과전법, 녹과전, 시정 전시과, 개정 전시과, 별정 전시과, 경정 전시과, 한인전, 공음전)  (3) 2012.05.10
[고려] 13.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향도, 자모정식법, 흑창, 의창, 상평창, 제위보, 혜민국, 동서대비원, 구급도감, 고려 여성지위, 고려시대 상속)  (6) 2012.05.10
[고려] 12. 중세의 사회, 고려의 사회 (고려 신분제도, 문벌귀족, 신진사대부, 호적제도, 남반, 고려 백정, 권문세족, 천자수모법, 일천즉천, 조인규, 솔거노비)  (4) 2012.05.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