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여행, 식당 ♠/대구 부산 경상

전쟁의 기억이 남아 있는, 낙동강의 호국의 다리 (왜관철교) 와 왜관터널, 한국전쟁 참전국 [경북 칠곡군 왜관읍, 漆谷 倭館鐵橋, Waegwan Railroad Bridge of Chilgok]

by 소이나는 2012. 5. 27.
반응형

 

 

 

 

 

 

전쟁의 기억이 남아 있는,

낙동강의 호국의 다리 (왜관철교) 왜관터널,

그리고 한국전쟁 참전국

[경북 칠곡군 왜관읍 漆谷 倭館鐵橋]

 

 

 

[호국의 다리]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추풍령을 넘어 경상북도를 지날 때에 낙동강을 볼 수 있습니다.

그곳이 바로 칠곡군의 왜관읍이 있는 곳이고, 경부선 철도 옆으로는 호국의 다리가 있습니다.

 

[경부선 철도]

 

 

왜관역에서 나와 쭉 앞으로만 걸어가면 낙동강에 이르고,

멀리 오른쪽으로 호국의 다리가 보입니다.

역에서 걸어가면 25분 정도가 걸릴 것 같습니다.

 

[낙동강변]

 

[호국의 다리]

 

이 다리는 처음에 1901년에 착공하여 1905년에 개통되었던 다리입니다.

하지만 한국전쟁 중 다리를 부수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국 전쟁에 참여한 국가들에 대해 소개되어있는 다리가 만들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집중호우 때문인지, 물살 때문인지, 새로만들고 있는 칠곡보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2011년에 이 호국의 다리가 붕괴된 적이 있었습니다.

아무튼 호국의 다리는 차가 들어갈 수 없고, 사람들만이 걸어 지나갈 수 있습니다.

 

 

 

 

 [호국의 다리]

 

건립일 : 1901년 8월 착공, 1905년 1월 1일 개통
수량(면적) : 철골 콘크리트조, 길이 469m, 폭 4.5m, 높이 8m


 이 다리는 일본이 대륙침략을 위해 부설한 경부간 군용철도의 교량이다. 경부선 철도는 1901년 8월에 착공하여 한국 노무자와 학생들을 동원, 3년여만에 445㎞의 단선(單線)을 완공하고 1905년 1월 1일에 개통, 부관연락선(釜關連絡線)으로 일본과 연결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제는 군수물자의 신속한 수송을 위해 경부선 423㎞를 복선화(複線化)하면서 1941년 11월 30일 507m의 새로운 복선철교를 상류쪽에 가설하고 이 철교는 경부간 국도의 인도교(步車道)가 되었다.
 6·25전쟁시 적 도하 방지를 위해 1950년 8월 3일 폭파된 경간(經間)은 그 해 10월 총반격때 침목등으로 긴급 복구한 이후 계속 인도교로 활용해 왔다. 1970년 11월 바로 위쪽에 경부간 국도의 왜관교(길이510m, 폭13.5m, 높이7.2m 시멘트콘크리트조)를 새로 가설한 후에는 인도교로 이용했으나 그간 복구 부분이 너무 노후하여 1979년 11월부터는 통행을 전면 차단하였다. 이 다리는 관리하는 철도청에서는 철거를 검토하였으나 호국의 상흔(傷痕)을 간직한 이 다리를 보존하자는 郡民들의 의사를 수렴, 칠곡군이 무상관리 승인을 받고 91년 8월부터 93년 2월까지 6억1천만원(도비4억, 군비2억1천만)원을 투입하여 교각 1기 신설, 상판 63m 복구, 트러스 도색, 난간보수, 교면 및 접속도로를 포장하여 복구함으로써 '호국의 다리'로 명명되어 전쟁과 호국의 산 교육장으로서 주민들의 사랑을 받으며 人道로 활용되고 있다. 이 다리가 어떻게 하여 호국의 다리로 불리게 되었는지 6·25전쟁시 왜관 일대의 전황을 자세히 살펴보자.

 대구와 부산이 함락위기에 놓였던 1950년 8월 1일, 국군과 유엔군은 낙동강을 중심으로 최후의 방어선(워커라인, 낙동강 교두보)을 구축하고 격전을 벌이게 되는데 이 곳 왜관 일대는 그 중심지였다. 이에 따라 그 해 8월 3일 왜관 전 주민의 소개령(疏開令)이 내렸고 낙동강 방어선의 교량들은 적 도하방지를 위해 8월 4일 새벽까지 모두 폭파되었는데 이 때 왜관 인도교도 폭파되었다.

 

 

 

[6.25 당시 폭파된 왜관철교]

 

 낙동강 방어선에서 왜관(자고산, 303고지) ~ 현풍까지 40㎞(하천거리 56㎞)구간을 담당하던 미제1기병 사단장 게이(Hobert Raymond Gay)소장은 휘하 부대가 김천에서 왜관으로 철수완료하면 작전상 한강교와 버금가는 왜관 낙동강 인도교를 폭파하여 전차를 앞세운 적의 남진을 저지할 계획이었다. 낙동강 연안의 왜관에는 김천~대구간 4번 국도를 잇는 유일한 인도교를 통해 많은 피난민과 군인들로 붐볐다. 7월 중순까지만 해도 수십만의 피난민들이 내려와 있었는데 다 하순부터는 하루에도 25,000명 이상이 낙동강을 건너 좁은 아군지역으로 모여들고 있었다. 피난민들이 길을 메워 군의 작전 기동력에 장애도 되고 특히 적 게릴라들이 피난대열에 끼어 들어와 아군을 교란시키는 사례가 많았다(유엔군은 당시 게릴라 총병력을 약 3만, 핵심 조직요원은 5천명으로 판단했으며 8, 9월중 4천명을 소탕했다). 이 때문에 낙동강 방어선에는 적 게릴라 침투를 막기 위해 부득이 진지점령에 앞서 강안(江岸)으로부터 8㎞이내에 거주하는 전 주민들을 소개시켰다.

8월 3일, 아침부터 경찰서 사이렌이 울리고 전단과 확성기로 '오후 6시까지 지시된 지역에서 퇴거하지 않는 주민은 적으로 간주하여 사살한다.'라는 내용을 포고하자 왜관 일대 주민들은 황망히 피난짐을 쌌다. 이날 따라 왜관역에는 마산으로 이동하는 미제25사단 병력수송열차가 들어서 있었다. 때때로 가랑비가 내리는 가운데 피난민들은 화차에 타기도 하면서 봇짐행렬이 줄을 이었다.

 유엔군은 피난민들이 인도교를 건너 소개지역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게이 소장은 다리 근처에서 부대철수를 지휘하고 있었다. 인도교 건너편에는 수천명의 피난민들이 도강기회를 보고 있다가 3일 해질 무렵 뒤편의 미제8연대가 마지막으로 다리를 건너려 하자 뒤따라 몰려왔다. 사격위협을 해도 필사적으로 따라 오는데는 어쩔 수 없어 폭파시기를 놓쳐버렸고 그사이 날은 저물어 드디어 적의 사격이 시작되었다. 폭파시기 판단은 게이소장의 생애중 가장 어려운 결단이었다. 1950년 8월 3일 오후 8시 30분, 굉음과 함께 인도교와 복선철교 각 1구간이 폭파되었다. 어둠이 짙어진 밤하늘에는 불꽃놀이 하듯 파편이 날면서 트러스와 상판이 무너져 내렸는데 총길이 469m중 왜관쪽 둘째경간 63m가 끊어졌다.

 뒤에는 적이 밀려오고 막다른 처지에 몰린 피난민들은 수심이 얕은 곳으로 몰려 갔다. 짐스러운 것은 버리기까지 하면서 군의 제지를 피해 강을 건넜는데 등에 업은 아이가 익사하는 줄도 모르고 건넌 부녀자등 정신없이 강을 건너는 가운데 희생자가 많이 속출하였다. 적은 전차가 건너올 수 없어 일단 강 서편에 집결하고 미제1기병단은 8월 4일 아침까지 강 東岸에 진지구축을 완료했다. 이후 적은 모래 가마니를 깔아 전차 도하를 여러번 시도했으나 아군의 포격으로 번번이 좌절되었다. 8월 16일에는 B29 전투기 98대가 강 건너편 일대 67㎢에 26분 동안 90톤이나 되는 폭탄을 떨어뜨려 인민군 4만명중 3만여명이 죽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그 유명한 융단폭격 작전으로 세계전사에 기록되어 있다.

 왜관을 빼앗길 경우 대구는 북한군의 야포 사정권안에 들게 되며 부산까지 밀리게 되므로 국군과 유엔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중심으로 다부동전투와 함께 필사적으로 전선을 지켜 북한군에게 큰 타격을 줌으로써 전세를 역전시키고 반격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하여 우리 칠곡군은 '호국의 고장'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지금은 전쟁의 상처를 딛고 일어서 살기좋은 고장으로 발돋움해 있다.

 

[호국의 다리에서 본 낙동강]

 

다리 위에는 한국전쟁에 참여한 국가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었습니다.

 

[미국 참전인원 1,789,000명]                                           [영국 참전인원 56,000명] 

 

[호주 참전인원 8,407명]                                                  [네덜란드 5,322명]  

 

[터키 참전인원 14,936명]                                                 [태국 참전인원 6,326명] 

 

[그리스 4,992명]                                                            [남아공 826명] 

 

[벨기에 참전인원 3,498명]                                                 [룩셈부르크 83명]

 

[콜롬비아 5,100명]                                                          [에티오피아 3,518명]

 

[스웨덴 160명]                                                                [인도 627명]

 

그 밖에도 캐나다가 2,5687명, 뉴질랜드가 3794명, 필리핀이 7420명을 참전시켜

총 21개국이 6.25전쟁에 참여하였습니다. 정말 많은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에와 피를 흘렸네요.

 

이런 전쟁의 역사를 뒤로하고, 지금의 왜관에는 4대강 사업으로 칠곡보가 설치되고,

낙동강변으로 자전거길과 산책로가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세련되어진 분위기에 옛 역사의 기억은 단지 호국의 다리를 바쳐주는 벽돌만이 알고 있는 듯 합니다.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과 호국의 다리]

 

[낙동강의 민들레씨]

 

그리고 호국의 다리 끝을 지나 왜관 쪽으로 가면,

근처에 구 왜관터널이 있습니다.

 

[호국의 다리와 왜관터널 근처]

 

[구 왜관터널 - 등록문화제 제285호]

 

구 왜관터널은 대한제국시절인 1905년에 만들어 졌습니다.

1941년 경부선 복선화가 개통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던 터널입니다.

2006년에 터널 1기 폭 4.84m, 높이 3.15m 연장 70~80m가 문화재로 등록되었습니다.

 

 

이 터널은 석조와 붉은 벽돌로 된 말굽형 터널이다. 터널 입구는 화강석으로 마감되었으며,

입구 아치는 정점에 이맛돌(keystone)을 둔 반원형 아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터널 내부 하단은 시각적 안정감을 위하여 화강석 견치석 쌓기를, 상부는 붉은 벽돌로 정교하게 쌓아져 있습니다.

안을 들여다보니 어두침침해서 들어가 볼 생각은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관리가 잘 되어 있지는 않은지 낙서도 조금 쓰여있고, 잡다한 짐도 약간 있더군요.

 

[터널 위쪽 부분]

 

왜관에 들일 일이 있으면, 잠시 낙동강변과 함께 호국의 다리를 걸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낙동강변의 민들레]

 

 

 

 

반응형

'♠ 여행, 식당 ♠ > 대구 부산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도 맑아지는 카페 맑음 - 대구 경북대 근처 카페 [Daegu cafe Malguem, 大邱 咖啡馆 (カフェ) ]  (7) 2012.10.22
도시인들의 이야기터 카페 난니니 NANNINI [대구 동성로 카페 (Daegu DongSeong-ro cafe), 大邱 東城路 咖啡馆 (カフェ) ]  (7) 2012.10.20
열정과 냉정 사이를 흐르는 아포카토 - 에스프레사맨테 일리 espressamente illy [대구 동성로 카페] [大邱 東城路 咖啡馆 (カフェ)  (7) 2012.10.17
한국전쟁의 흔적이 전해지는 왜관 여행 정보, 볼거리 [Waegwan-eup Travel, 倭館邑 旅行]  (0) 2012.07.09
왜관 애국동산의 애국선열추모제단과 UN승전기념비 (왜관지구승전비, 倭館地區戰勝碑), 왜관 석전리 충혼비, 이담명 영세불망비  (0) 2012.06.05
카페 '그대 때문에 늘 봄날' [경북 왜관 카페 WaeGwan cafe 그대 때문에 늘 봄날, 倭館邑 咖啡馆 (カフェ)]  (5) 2012.05.23
마고촌 - 경북 왜관 고깃집 식당 (WaeGwan restaurant Magochon 倭館邑 饭厅)  (0) 2012.05.19
낙동강에 흐르는 초토의 시의 시인 구상을 기리는, 구상 문학관 [경북 칠곡군 왜관읍 waegwan, Kusang Literary Memorial, 倭館邑 具常 文学館]  (1) 2012.05.07
수림굴제비 해물 손 수제비 칼국수 [경북 왜관 칼국수 식당] (WaeGwan Noodles restaurant 倭館邑 面条 饭厅)  (1) 2012.05.05
걷기 좋은 대구 중구 볼거리 (대구 여행 관광 정보. Daegu Junggu tourist information, 大邱 中區 旅游热线 りょこう じょうほう)  (9) 2011.01.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