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형법

공동정범과 착오

by 소이나는 2009. 6. 11.
반응형

 

공동정범과 착오


      (1) 구체적 사실의 착오 - 구성요건착오의 일반론이 적용

            cf) 자상 case (공동정범)

                 1) 문제제기 - 甲과 乙이 강도를 공모하고 추격자가 있으면 상해까지 가할 것을 공모한 후 실행에

                               착수하였으나 발각되어 도주하던 중 甲이 자신을 추격하여 온 자(丙)로 오인하고

                              몽둥이로 상해를 가하였으나 상해를 입은 자가 공동정범이었던 乙이었던 경우

                              - 범행 피해자인 乙에게도 강도상해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할 수 있을 것인지가

                                문제된다.

                2) 부정설

                3) 긍정설

                4) 불능미수설 (타당하다) - 乙은 자상한 것에 불과하다.


      (2) 추상적 사실의 착오


            1) 미달

               ex) 甲과 乙이 강도를 공모하였는데 甲이 절도에 그친 경우

                     = 甲과 乙은 공동정범과 강도예비,음모의 상상적 경합

           2) 초과


                ① 질적 초과 (전혀 별개)

                   ex) 甲과 乙이 절도를 공모하고 乙이 망을 보는 사이에 甲이 저도를 실행한 후 의사연락 없이

                       강간만 한 경우 = 甲, 乙은 절도의 공동정범, 강간죄甲의 단독정범

                   ex) 甲이 공모한 절도는 하지 않은 채 강간만 한 경우

                       = 甲은 범죄의 예비,음모의 죄책만 진다.


                ② 양적 초과 (죄질을 같이)

                   ex) 甲과 乙이 절도를 공모하였으나 甲이 강도를 실행한 경우에는 공모의사 범위 내에서

                       부합하므로 甲은 강도죄가 乙은 절도죄가 성립하고 양자는 공동정범관계에 있다.


                ③ 결과적 가중범

                   ex) 甲과 乙이 상해를 공모하였는데 甲이 살인을 저지른 경우

                       = 甲에게는 살인죄가 성립하고 乙에게는 고의범인 기본범죄(상해)에 대해서만 공동정범이

                        성립하고 사망부분에 대해 乙에게 과실(예견가능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해치사죄의

                        결과적 가중범이 성립한다(多).



                 [판례]


                    1) 신흥사 사건 - 수인이 폭행 등의 범의로 1인의 살인의 결과를 발생케 한 경우

                       상해치사죄, 폭행치사죄 면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살인죄의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2) 건물을 집단방화하기로 공모하고 내부를 소훼케하는 도중에 공격조의 일인이 위 건조물 내의

                         피해자를 향하여 불이 붙은 화염병을 던진 것, 공모에 참여한 집단원 모두는 위 상해 결과에

                         대하여 현주건조물방화치상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


 

1. 강도 → 강도상해

   (1) 강도상해죄의 공동정범

       - 과도를 들고 강도를 한 경우, 의사연락이 있는 것이어서 강도상해의 공동정범이 성립한다.

   (2) 강도치상죄의 공동정범

       - 강도상해를 인정하는 것이 주류이나, 강도치상죄를 인정한 판시도 있다.

 

2. 특수절도 - 준강도 → 강도상해

   - 특수절도를 공모한 자의 일부가 준강도에 의한 강도상해까지 나간 사간에서 예견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강도상해죄의 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하는 취지로 판시한다.

 

3. 강도 → 강도상해

   - 과거에는 예견가능성이 있으면 강도살인죄의 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했으나, 최근에는

     강도치사죄가 성립한다고 하여 결과적 가중범의 공동정범의 문제로 다루는 경향이다.

 

 
공동정범 - 이론보기 클릭

ⓢⓞⓨ



반응형

'※ Soy 법률 ※ > Soy 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범 판례  (0) 2009.06.12
교사의 착오  (0) 2009.06.12
교사의 미수 (형법 제31조 2항, 3항)  (0) 2009.06.12
교사범 문제  (0) 2009.06.12
공동정범 (형법 30조)  (2) 2009.06.11
공동정범의 성립요건 (공모, 공동실행의사, 동동실행행위)  (0) 2009.06.11
승계적 공동정범  (0) 2009.06.10
과실범의 공동정범  (0) 2009.06.10
공모공동정범  (2) 2009.06.10
공모관계로부터의 이탈  (0) 2009.06.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