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관할
Ⅰ. 서설
1. 합의로 생기는 관할
T) 당사자의 합의로 법정관할과 다른 관할을 정할 수도 있다.
2. 최근 아파트분양계약서, 할부매매계약서, 물품운송계약서, 보험약관, 어음거래약정서, 종합병원입원서약서 등
보통거래약관 속에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하지만 약관규제법에서 부당하게 불리한 재판관할의 합의 조항은 무효로 하고 있다.
판) 무효 - 고객에 부당하게 불리한 소제기의 금지조항, 상당한 이유 없이 고객에게 입증책임을 부담시키는 조항
판) 무효 - 아파트 공급계약서상 관할합의 조항 중 - “서울민사지방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한다.”라는 조항
☞ 사업자에게는 유리, 원거리 고객에게는 큰 불편
Ⅱ. 법적 성질
1. 소송계약의 일종
T) 관할의 합의는 사법상의 계약과 동시에 체결할 수 있지만, 사법상 계약과 운명을 같이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계약인 사법상의 계약이 무효·취소되어도 원칙적으로 관할의 합의는 효력에 영향이 없다.
2. 합의에 하자가 있는 경우 민법의 규정 유추적용 (반대설 有) → 무효, 취소 주장 가능
(사기, 강박, 착오, 통정, 불공정한 법률행위)
Ⅲ. 요건
1. 소송능력이 있을 것
2. 제1심 법원의 임의관할에 관한 것일 것
* 제1심 법원이라면 토지관할에 한정되지 않고, 사물관할에 관하여도 합의할 수 있다.
(X - 전속관할, 상급심의 관할, 제2심)
T) 관할에 관한 당사자의 합의가 있더라도 제1심 합의사건을 단독판사가 심판할 수 는 없다?
(X) ☞ 관할의 합의는 전속관할이 아닌 한 단독사건이든 합의부사건이든 모두 가능하다.
T) 소의 제기 후라도 피고의 변론에 의하여 관할권을 갖게 되기 이전이면 관할의 합의를 할 수 있다.
3. 일정한 법률관계에 기인한 소일 것
(1) 법률관계를 특정하여 합의
(2) 무효 - 불특정, 앞으로 발생할 모든 법률관계에 관한 합의
T) 일정한 법률관계에 기인한 소에 관한 합의이어야 한다.
4. 관할법원을 특정할 것
(1) 반드시 1개일 필요는 없고, 여러 법원 정해도 무방
(2) 불허 - 모든 국내법원의 관할을 배제, 모든 법원의 관할을 인정
T) 합의의 취지로 보아 관할법원을 특정할 수 있어야 한다.
5. 서면
T) 관할에 관한 합의는 제1심법원의 임의관할에 한하여 할 수 있으나, 합의의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구두에 의할 수도 있다?
(X) ☞ 서면
6. 시기의 제한은 없다. - 보통 소제기 전에 하고 있음.
판) 무효 - 당사자 중 어느 일방만이 지정하는 법원에 관할권을 인정한다는 조항
유효 - 신문사와 지국사이의 약정서 중 “발생하는 일체의 소송은 신문사의 관할 법원에서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Ⅳ. 합의의 모습
1. 부가적 합의 / 전속적 합의
(1) 부가적 합의 (경합적 합의) - 법정관할 외에 1개·여러 개의 다른 법원을 인정하기로 부가하는 합의
(2) 전속적 합의 - 특정한 법원에만 관할권을 인정
(3) 형태가 불분명한 경우
1) 부가적 합의설
2) 전속적 합의설
3) 절충설 (통, 판)
a. 전속적 합의 - 경합하는 법정의 관할법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거나 배제하는 경우
b. 부가적 합의 - 그 외
2. 국제관할의 합의
(1) 외국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하는 합의
(2) 종류 - 부가적 합의 / 전속적 합의
(3) 우리 법원 외에 부가적 합의 - 유효
(4) 외국법원만을 전속으로 하는 관할합의의 효력인정 요건
1) 우리나라의 재판권에 전속하지 아니하고
2) 합의된 외국의 법원이 외국법상 그 사건에 관하여 관할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3) 외국법원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련성
4) 무효 요건 - 현저하게 불합리 불공정, 공서양속에 반하는 법률행위
(5) 국제적 합의관할 인정 (특례)
1) 종류 = 소비자계약에 관련된 소, 근로계약에 관한 소
2) 요건
a. 서면합의 / b. 사후적 합의 / c. 부가적 합의
Ⅴ. 합의의 효력
1. 법정관할의 변동
(1) 부가적 합의의 경우 - 법정 관할법원 외 별도 관할법원이 생긴다.
(2) 전속적 합의의 경우
1) 법정관할이 배제된다.
2) 원고가 합의를 무시하고 다른 법원에 제기해도 임의관할이므로 피고가 변론하면 변론관할이 생긴다.
2. 재량이송
(1) 부가적 합의 - 재량 이송 허용 = 현저한 손해, 지연 방지를 위해서
(2) 전속적 합의
1) 재량이송 O - 현저한 지연을 피한다는 공익상 필요
2) 재량이송 X - 현저한 손해를 피하기 위한 이송 (통)
(3) 역이송
1) 지연을 피하기 위한 공익상의 필요 - 스스로 심판 가능
2) 현저한 손해를 피하기 위한 스스로의 심판 불가 - 이송해야 한다.
3. 효력의 주관적 범위
(1) 당사자 - O
(2) 일반승계인 - O = 상속인
(3) 제3자 - X → 채권자와 주채무자 간의 관할의 합의는 보증인에게 미치지 않는다.
(4) 특별승계인
1) 물권, 어음채권 - 승계인은 합의에 구속되지 않는다.
판) 근저당권설정자와 근저당권자 사이의 관할합의의 효력
- 근저당권설정자로부터 부동산을 양수한 자에게 미치지 않는다.
2) 채권 - 채권양수인에게도 효력이 미친다.
4. 합의의 취소·변경- 가능 → 단, 제소 후에는 그 효력이 없다.
'※ Soy 법률 ※ > Soy 민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송의 이송 (0) | 2010.12.13 |
---|---|
소송 이송의 원인 (0) | 2010.12.12 |
소송 이송 관련 문제 (0) | 2010.12.12 |
관할권의 조사 (0) | 2010.12.11 |
변론관할 (0) | 2010.12.11 |
지정관할 (0) | 2010.12.10 |
토지관할 (1) | 2010.12.09 |
특별재판적, 관련재판적, 독립재판적 (0) | 2010.12.09 |
토지관할 관련 문제 (1) | 2010.12.08 |
사물관할 (0) | 2010.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