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조선의 발전

by 소이나는 2009. 10. 4.
반응형

 

고조선의 발전


 1. 단군 조선

  (1) 요령 지방, 대동강 중심

  (2) 왕위 세습 : 부왕, 준왕 (BC 3c)

  (3) 관직 정비 : 상, 대부, 장군 (∵ 연맹단계로 발전했음을 보여줌)

  (4) 연과 대립



 2. 위만 조선 (BC 194)

  (1) 유이민의 이동

   1) 1차 이동 (기원전 5~4세기)

   2) 2차 이동 (기원전 2세기) : 진 ➝ 한, 교체기 / 위만 들어옴 → 준왕은 위만을 ‘박사’에 임명함 (요동태수)

  (2) 성립 : 왕검성에 쳐들어가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됨(기원전 194) → 준왕은 남하하여 3한 성립했다고도 함.

  (3) 성격

   1) 단군의 고조선 계승 / 위만은 상투를 틀고 조선인의 옷을 입음

   2) 조선 이름 계속 사용

  (4) 경제적 발전

   1) 철기의 본격적 수용

   2) 중계 무역 : 예, 진의 요역을 막음

  (5) 정치적 발전 : 중앙 정치 조직, 영토 확장

  (6) 관제 - 중국과 다른 독자적 /  비왕, 조선상, 니계상, 대신, 장군

  (7) 대외관계 : 한과 대립

   T) 철기는 5세기 전래, 위만은 기원전 2세기에 성립 (위만 때 처음 수용된 것은 아니다.)


 3. 고조선의 멸망 : 패수에서 대승 ➝ 한과 대항 ➝ 내분 ➝ 왕검성 함락 (기원전 108년)


 4. 한 군현의 설치와 소멸 : 4개 [ 낙랑, 진번, 임둔, 현도] ➝ 고구려 미천왕의 공격으로 소멸 (313)

  

 5. 한 군현의 영향

  (1) 정치 (2) 경제 : 농업향산 (3) 사회 : 법 60여 조로 증가 (4) 문화


  cf) 한사군과 낙랑문화

   1) 유적 : 평양의 토성리, 당토성

   2) 고분 : 중국식 분묘인 목관분과 전축분

   3) 비석 : 평남 용강군의 점제현 신사비(풍성을 기원하는 비문)

             ➝ ‘열수’가 대동강임을 알려주는 우리나라 최고의 비석

   4) 유물: 와당, 봉니, 박산로, 동경, 채화칠협(바구니), 오수전 등

 

* 고조선 - 보기 클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