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BC 3c ~ AD 494)
1. 위치 : 길림시(송화강 유역), 농안, 장춘
2. 흥망 : 1세기 초에 왕호 사용, 중국과 외교 ➝ 문자왕(494) 고구려에 편입
T) BC 2~1세기 무렵 국가 형태를 갖추었다.
3. 정치 제도
(1) 사출도 : 행정구역
(2) 5부족 연맹체 - 마·우·저·구가 + 왕
(3) 왕권 미약 : 대표 부족의 세력이 강성
1) 적자가 왕위를 계승하였고, 적자가 없으면 제가들이 왕을 추대
2) 수해,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책임을 왕에게 물어 왕을 교체
4. 경제
(1) 반농반목 : 하호의 생산 활동에 의존
(2) 말, 주옥, 모피
5. 사회, 문화
(1) 순장, 형사취수, 일부다처제 (cf. 신라 지증왕은 순장을 국령으로 금지)
☞ “왕이 죽으면 여러 사람을 껴묻거리와 함께 묻는 풍습이 있었다.”
☞ “여름에 사람이 죽으면 얼음을 넣어 장사를 지냈고, 왕의 장례에는 옥갑을 썼다.”
(2) 법률
1) 4조목 전해짐
2) 살인죄 : 본인 사형, 가족 노비 (연좌제)
3) 상해 : 배상 없음 (조문이 없음)
4) 절도죄 : 12배 배상 (1책 12법)
5) 간음죄 : 본인 사형
6) 투기죄 : 본인 사형 (시체를 찾으면 우마로 배상) (→ 일부다처제와 관계)
cf) 고조선과 공통 : 살인, 절도
(3) 제천 행사 : 영고 (수렵 사회의 전통) - 12月, 부족단결
(4) 우제점법 : 제천의식, 점복
(5) 사회계급 : 가, 호민, 하호
* 전쟁이 일어나면 지배층인 제가들이 스스로 싸우고, 피지배층인 하호는 식량을 날라다 주었다.
(X- 하호가 전쟁에 참가) soy한국사
6. 부여의 역사적 의의 : 고구려, 백제의 원형
7. 삼국지위지 동이전
“체격이 크고, 성품이 강직, 용맹 ~ 노략질하지 않았다.”
“동이 지역 중 가장 넓고 평탄 ~ 산과 언덕 넓은 못이 많은 (험요지역) ~ ”
8. 동향
(1) 기원후 3세기경의 부여 - 사방 2천리 면적에 8만호의 인구를 갖고 있었다.
(2) 3~4세기 선비족의 잦은 침략으로 쇠퇴 ➝ 5c말 고구려에 통합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2. 고대 국가의 성립 (고구려, 백제, 신라,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 삼국의 성립) (0) | 2012.04.26 |
---|---|
[고대] 1. 고대의 세계 (2) | 2012.04.26 |
[초기국가] 7. 삼한 (수릿날, 소도, 읍차) (0) | 2012.04.26 |
[초기국가] 6. 옥저, 동예 (민며느리제, 책화, 족외혼, 무천) (0) | 2012.04.25 |
[초기국가] 5. 초기 고구려 (1책12법, 서옥제) (2) | 2012.04.25 |
[초기국가] 3. 초기국가 비교 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비교 표), 읍락사회 (0) | 2012.04.25 |
[초기국가] 2. 고조선의 발전 (위만조선, 한군현, 8조법) (0) | 2012.04.24 |
[초기국가] 1. 단군, 고조선 (단군신화, 단군 조선) (0) | 2012.04.24 |
[선사, 역사] 8. 선사시대, 역사시대 비교 표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비교 표) (6) | 2012.04.24 |
[역사] 7.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예술 (암각화) (0) | 2012.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