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 4. 고구려 (태조왕, 유리왕, 신대왕, 고국천왕, 미천왕, 동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안원왕, 양원왕, 보장왕,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릉비)

by 소이나는 2012. 4. 27.
반응형

 

 

 

 

고구려의 발전


 

1. 초기의 고구려

   (1) 건국 초기의 성격 : 유이민, 토착민 결합

   (2) 고구려 건국 : 졸본성 ➝ 후 국내성

   (3) 태조왕 (1세기 후반 ~ 2세기 초)
       1) 국가 체제 정비 : 왕위가 연노부(소노부)에서 계루부로 옮겨지며 확립 ➝ 중앙 집권 국가 기틀

       2) 옥저 복속, 낭랑 공, 요동진출
       3) 책구루 설치 - 중국 군현과의 교섭권을 중앙에 귀속
       4) 왕위세습
       5) 5부체제로 발전

   (4) 유리왕 - 국내성 천도

2. 체제의 정비 - 2세기

3. 고구려의 발전

(1) 신대왕 (165 ~ 179) - 국상제도 처음 설치

(2) 고국천왕 (2세기 후반)
   1) 5부의 성격 변화 ➝ 5부제로 개편
   2) 왕위 계승 : 형제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3) 왕권 강화
   4) 춘대 추납 제도 실시 : 진대법 실시 (을파소가 국상에 임명)
   5) 국상제도 정착
   6) 족장을 중앙귀족화 함

(3) 동천왕 (3세기 중반)
   1) 서안평 공격
   2) 처음에는 오와 수교 ➝ 후에 단교
   3) 위나라의 사마선왕을 도와 공손연 멸망시킴
   4)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 - 국내성이 한때 함락

(4) 미천왕 (4세기 초반)
   1) 5호 16국 시대의 혼란시 대외 팽창 (* 주의 - 5호 10국시대가 아님)
   2) 서안평 점령 (311) : 교통요지 점령
   3) 낙랑군·대방군 축출(313) : 남쪽 발판 (대동강 진출)
   4) 고조선의 옛 땅 회복
   5) 왕권강화
     a. 왕의 칭호를 ‘성상’으로 격상
     b. 기실, 참군, 성사 등 근시직

(5) 고국원왕 (4세기 초반)
   1) 전연의 침입 (선비족 모용씨)
   2) 근초고왕의 침략 - 평양전투 전사                                            soy한국사 





4. 고구려의 전성

(1) 소수림왕 (4세기 후반, 371 ~ 384)
   1) 전진과 수교 (372)
   2) 중앙 집권 국가 체제 강화 , 전제적 왕권 확립
     a. 율령반포(중국 진대 태시율령을 모법으로 함)
     b. 불교 공인 (372) - 순도 (전진) / 초문사, 아불란사 건립
     c. 태학 설립 (373)
  T) 고구려는 불교를 수용한 이후에도 공식적으로 도교를 받아들였다.

(2) 광개토 대왕 (4세기 후반, 391 ~ 413)
   1) 백제 공격 : 아신왕 굴복
   2) 만주 지방 진출 : 후연, 선비를 격파하고 요동 지역 확보
   3) 신라에 대한 영향력 행사 - 왜구를 격퇴해 줌 (호우명 그릇)
   4) 연호 사용 : 영락 (최초의 연호)
   5) 숙신(여진) 정벌, 비려(거란) 정벌, 동부여 공략
   6) 광개토 대왕릉비
      a. 장수왕 2년(414)에 건립 - 6.39m
      b. 집안현 국내성 지역
      c. 1880년 쯤 중국 농부가 발견 (19c 말)
      d. 비문 - 1800여자, 내용은 3부이고 1부에는 건국설화가 있음
      e. 요동진출 내용 - 후연격파
      f. 복속지 주민도 수묘인으로 삼았다.
      g. 비의 존재 최초 기록 - 용비어천가 (X - 동국통감)
      h. 삼국사기와 내용에 차이가 있다.
      i. 지봉유설에는 금나라의 시조비로 오인
      j. 국강상(國岡上)은 광개토왕의 장지명이다.
      k. 倭以辛卯年來渡海 破百殘△△△羅 以爲臣民 以六年丙申 王躬率水軍 計伐殘國~~~
      l. 광개토대왕비에 나오는 ‘왕당’ - 국왕 직속부대
    
     
     [광개토대왕릉비]


(3) 장수왕 (5세기)
   1) 남북조와 각각 교류
   2) 평양 천도(427) - 남하정책
   3) 경당설립
   4) 영토 확장 : 한성 함락(한강유역 점령), 죽령~남양만 
    ☞ 중원고구려비
        a. 신라의 왕을 ‘매금’이라고 표현)
        b. “고려 대사자 다우환노가 ~ 매금을 만나~”
        c. 5세기 신라와 고구려의 역관계를 잘 보여주는 비석
   5) 광개토대왕비 (414) 건립
   6) 인민, 토지를 중앙정부가 직접 장악하여, 성·곡을 단위로 지방 통치 체제를 갖추었다.
   7) 대대로 임기를 3년으로 함
   8) 장수왕 이후 왕권 쇠퇴 ➝ 대대로 중심 귀족회의제로 정치적 실권이 넘어갔다.


[중원 고구려비]


[장수왕의 영토확장]


(4) 문자왕 (5세기 후반) : 부여 복속(494), 최대영토

 



* 6c ~

1. 안원왕 (531 ~ 545)
  1) 대외 압력, 왕위쟁탈 (안장왕 피살)
  2) 귀족 중심

2. 양원왕
  1) 한강유역 상실 (551) : 나제연합군 (6c 중엽)
  2) 돌궐이 유연을 격파한 시기

3. 평원왕 - 왕권안정책, 중국은 수가 통일

4. 영양왕
  1) 이문집 ‘신집’ 5권
  2) 요서 재공격, 돌궐과 연합
  3) 살수대첩
    

   

 



5. 보장왕
  1) 연개소문 정변 - 귀족 중심 붕괴
  2) 고구려 멸망 (668)
  T) 5세기 이후 북제와 돌궐의 압력에 시달린 고구려는 한강유역과 함흥평야 일대를 양도하여 남부 국경선을
     안정시키고 서북쪽의 위협에 대처하였다.



* 동북공정

1) 중국 사회 과학원 산하 중국 변강사지 연구 중심이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2) 200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위원회는 북한과 중국이 각각 신청한 고구려 유적을 동시에 등재할 것을 확정
3) 고구려는 고대 漢민족이다.
4)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