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객관적 의미의 역사
1. 사실로서의 역사 (事)
(1) 어원 1) 동양 : ‘역’ - 과거에 있었던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
2) 서양 : 독일어의 Geschichte - 과거에 일어난 일
(2) 의미 -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 실증주의 사관(객관성 강조)
2. 연구범위 - 과거의 모든 사실
3. 랑케
(1) 역사의식 “역사가는 자신을 숨기고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 주관 배제)
“역사는 실제 본래 ~ 보여준다.”
(2) 실증주의 - 객관적, 역사적 사실만 묘사
4. 이병도
Ⅱ. 주관적 의미의 역사
1. 기록으로서의 역사
(1) 어원
1) 동양 : ‘사’
2) 서양 : 영어 history, 그리스어 historia (탐구를 통해 획득한 지식)
(2) 의미 - 조사에 의해 기록된 자료, 상대주의 사관(해석강조)
= 역사적 사실(과거), 사료 (유물 유적) ➝ (근거부여) / (생명부여) ← 역사가(현재), 사관(관점)
2. 연구 범위
(1) 재구성 강조, 사관을 보다 중시
(2) 주관성, 상대성
3. 연구 방법 - 과학적 검증 토대
4. 클로체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
5. 콜링우드 “역사는 죽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 속에 살아 있는 과거이다.~ 마음속에 재현”
6. 카
(1)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 (생명력)
(2) “역사가는 자신의 생각으로 자신의 사실을 만든다.”
(3) 상대주의 (사실과 기록의 중간 정도에 위치)
(4) 카의 켐브리지 강연 「역사란 무엇인가」
“ 인류 생활의 과거에 일어난 수많은 사실(랑케-사료, 카=역사가가 특별한 의미로 본 것) 모두가 역사는 아니다.”
“ 역사적 진실이 확인될 때 비로소 과거의 한 사건은 역사로서 자격을 갖추게 된다.”
7. 베어드 “ 역사가는 의식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역사의 질서와 운동에 대해 하나의 신념을 표명한다.”
8. 링우드
cf. 과학적 인식 :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과거 모든 사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가들이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선정한 사실에 한정되는 것으로, 연구시 학문적 검증을 거치는 데에 토대가 되는 것
* 헤겔 : 상대주의, 절충주의
1) 객관적 의미 - 과거의 사건
2) 주관적 의미 - 과거사건의 기술
<문제 표현>
* 실증적 역사학의 시도
1)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 문헌 고증에 입각, 객관적 역사 추구
2) 사마천의 사기 : 기전체 = 본기, 세가, 지, 열전, 연표 등으로 나누어 설명
3) 돌무지무덤인 서울 석촌동 고분과 만주의 장군총 비교
4) 고려시대 관료 중 과거 합격자와 문음으로 등용된 사람의 명단 정리
5) 고대 무역항인 당항성 토성의 길이 측정
6) 일본은 독도를 죽도로 개칭하고 시마네 현에 편입시켰다.
7) 몽골의 침략으로 황룡사9층목탑 등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8) 고구려 온조가 남하하여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다.
* 주관적 의미의 역사의 예
1) “부여는 ~ 체격은 매우 크고 성품이 강직 용맹하여 후덕해 노략질을 하지 않았다.”
2) “고구려는 ~ 좋은 밭이 없어 일구어도 배를 채우기는 부족하고, 성품이 흉악하고 노략질을 좋아했다.”
3)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불교 관련 기사가 거의 없다.
4) 고려사는 우왕을 부정적으로 기록
5) 고려를 중세 사회로 보는 근거를 찾기 위해 통일 신라 시대와 고려 시대 비교
6) 관점에 따라 역사적 사실이 될 수도 있다.
a. 과거의 사실을 모두 알 필요 있는가?
b. 역사적 사실의 의의는 고정되어 있는가?
c. 어떤 사실이 역사적으로 의의가 있는가?
d. 과거의 사실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가?
7) 사실을 뽑아 모은 것이다.
8) 고려 시대 삼별초의 저항은 자주정신의 표현이다.
9) 신라의 통일은 외세의 협조와 대동강 이남의 통일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Ⅲ. 역사학과 사료
1. 역사학 - 인간 활동의 변화적 측면을 연구 (사료)
2. 역사가 - 사료를 가지고 사관에 입각 서술
3. 사료와 사료 비판
(1) 사료 - 소재
(2) 사료 비판 - 신뢰성 평가
1) 외적 비판 - 위조, 진실성 (진짜, 가짜, 진위 여부)
2) 내적 비판 - 내용 여부
* 사관 : 역사가의 의식으로 기록된 사실 - 자신의 입장, 기준, 해석, 가치관
(1) 일제 식민 사관
1) 에도 - 정한론, 한국을 지배했다.
2) 메이지
a. 만선사 설립 (시라토리)
☞ 한국사의 타율성
1. 타율성론 - 임나본부, 만선사관, 반도성론, 사대주의
2. 정체성론 - 경제학자가 처음 주장 (후쿠다), 한국은 중세 봉건을 경험하지 못함
b. 일선동조론 - 병합 합리화
(2) 민족주의 사관
1) 계몽사학
2) 박은식, 신채호 (후술 - 일제시대 부분에서 설명)
3) 광복 후 신민족주의의 사학
1. 대내 - 민족주의 + 사회주의 - 조합
대외 - 국제협력 지향
2. 안재흥 - 정치적 입장 → 민족은 균등
손진태 - 학문적 입장 → ‘민족’의 영속성을 강조, 민족의식 강조
☞ 손진태의 민족의식 변천
* 태동(원시) → 형성 (부족) → 통일 추진 (귀족, 삼국) → 결정기 (통일신라)
→ 민족의식 왕성기 (고려) → 침체기 (조선) → 민족운동 전개기 (일제)
(3) 실증주의 사관
1) 랑케
2) 순수 역사 학문 연구
3) 이병도 - 와세다 대, 조선사편수회 참여, 진단학회
4) 이상백, 김상기, 이홍직 - 대부분 일제 고등 교육을 통한 근대역사학을 접한 계층
역사 학습의 목적
Ⅰ. 역사 학습의 두 측면
1. 역사 그 자체를 배운다 = 객관적 역사 강조
(1) 지식을 축적
(2) 역사는 ‘지식의 보고’
2. 역사를 통하여 배운다 (주관적 역사 강조)
(1)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현재를 이해 = 정체성 확립
(2) 삶의 지혜를 습득
(3)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 함양
Ⅱ. 역사 학습의 방향
1. 교육적 기증
2. 문제 해결 능력 개발
T) 역사서를 살필 때는 편찬자에 대해 세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1) 삼국사기는 유교적 사관에 의해 쓰여, 양만춘의 내용 수록이 없다.
2) 삼국유사는 승려인 일연이 지어, 불교식 왕호를 기점으로 구분하였다.
3) 사림파였던 이이는 존화주의 사관에 의해 ‘기자실기’를 편찬
T) 세계화 시대의 역사의식은 개방적 민족주의에 기초해야 한다.
참고)
1. 역사 : 비판이란 잘잘못을 가려 정당한 평가를 내리는 것, 이러한 비판력을 기르는 데에 가장 적합한 학문
2. 역사의 내면 : 역사적 사건의 현장에서 관찰 할 수 없는 사건의 배경, 사건을 주도한 사람들의 의도
3. 귀감 : 동양에서 역사학의 제1차적 목적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의 발전 (1) | 2009.10.04 |
---|---|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0) | 2009.10.03 |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예술 (5) | 2009.10.03 |
철의 사용 (0) | 2009.10.02 |
청동기 시대 (2) | 2009.10.02 |
신석기 시대 (2) | 2009.10.02 |
구석기 문화 (0) | 2009.10.01 |
선사 시대의 세계 (0) | 2009.10.01 |
민족 문화의 이해 (0) | 2009.10.01 |
우리민족의 보편성과 특수성 (1) | 2009.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