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유학, 역사서의 편찬, 과거제도, 음서제도

by 소이나는 2009. 10. 19.
반응형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Ⅰ. 유학의 발달

 

 1. 고려 문화의 특징

  (1) 유교 : 치국의 도

  (2) 불교 : 수신의 도

  (3) 유·불 함께 발전


 2. 유학의 진흥책

  (1)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2) 광종 : 과거 제도, 당태종의 「정관정요」 - 통치 지침서

  (3) 성종 : 유교 정치사상 (국자감), 원구례·적전례 시작 (유교의 예제)


 3. 고려 초기의 유학

  (1) 최승로 : 시무 28조

  (2) 김심언 : 봉사 2조

  (3) 자주적, 주체적


 4. 고려 중기의 유학

  (1) 최충 : 해동공자

  (2) 김부식 : 삼국사기, 보수적, 현실적 성격

  (3) 귀족 취향, 보수적 (문벌귀족 - 시문을 중시)

  (4) 훈고학 :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

  (5) 주례 강조

  (6) 북송 성리학 수용

  (7) 귀족적 성격


 5. 무신 정권의 유학 위축

 

Ⅱ. 성리학의 전래 (원 간섭기)

 

 1. 성리학의 특징

  (1) 본질 : 남송의 주희(주자학 - 인간심성, 우주)가 집대성 - 훈고학

  (2) 5경보다 4서 중시 (4서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주자가례 중시, 가묘 건립


 2. 성리학의 전래 과정

  (1) 소개 : 충렬왕 때 안향주자전서」(원 시기)

  (2) 전수 : 백이정이 배워와 이제현, 박충좌 등에게 전수

  (3) 전파 : 충선왕 때 이제현 ➝ 이색 등

  (4) 확산 : 공민왕 때 이색 ➝ 정몽주(동방 이학의 조), 권근, 정도전


  * 안향, 백이정 ➝ 이제현, 박충좌 ➝ 이색, 이숭인, 정몽주 ➝ 정도전, 조준, 길재, 권근






 3. 성리학의 영향

  (1) 신진 사대부의 사상적 기반 ➝ 조선 개창 이념으로 등장

  (2) 실천적 기능 강조

  (3) 유교 의식 보급 : 「소학」, 「주자가례」를 중시, 가묘(개인 사당)을 세움 (고려 후기)

  (4) 유학의 성격이 철학적인 유학으로 바뀜

  (5) 불교 비판

   T) 성리학이 전래되면서 고려의 유학은 점차 보수적으로 바뀌었다?  (X)

      ☞ 중기가 보수적, 후기는 점차 급진적 (조선의 개창)


Ⅲ. 역사서의 편찬

 

 1. 배경

  

 2. 전기

  (1) 고구려 계승 의식 표방, 자주적

  (2) 왕조 실록 : 건국 초기 (소실)

  (3) 7대실록 : 태조 ~ 목종의 이야기 ➝ 현종 ~ 덕종 때 완성

  (4) 고금록 : 박인량 (문종)

  (5) 속편년통재 : 홍관 (예종) - 편년체의 역사서


 3. 중기

  (1) 신라 계승 의식

  (2) 삼국사기 : 김부식 (인종)  (cf. 삼국을 我로 표현)

삼국사기

삼국유사

 김부식

 일연

 귀족 사회 전성기 (인종 1145)

 원 간섭기 (충렬왕 1285)

 기전체

 기사본말체

 삼국부터 왕조 중심 정사

 단국 이야기 설화의 야사

 합리적 유교 사관 (충절, 효행, 정절)

 민족적 자주적 사관(불교, 단군, 무속)

 신라

 고조선

 cf. 삼국유사 - 9편목으로 구성 - 왕력, 기이, 흥법, 탑상 의해, 신주, 감통, 피은, 효선


 4. 후기

  (1)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

  (2) 해동고승전 : 교종의 관점, 중국과 대등, 일부만 전해짐 - 각훈  

  (3) 동명왕편 (1193 - 무신집권기)

   1) 고구려 계승의식 - 이규보

   2) 영웅서사시

   3)「동국이상국집」에 수록

  (4) 삼국유사 : 민간설화, 전래 기록 - 일연 (충렬왕)

  (5) 제왕운기

   1)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보고,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하는 자주성

   2) 이승휴(충렬왕)

   3) 우리나라의 역사를 단군으로부터 서술

   4) “요동의 또 하나의 천하 ~~  ”

  (6) 성리학적 유교 사관

   1) 정통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

   2) 사략 : 이제현

    a. 성리학적 입장 (x- 자주적)

    b. 조선 역사학에 영향을 주웠다.

   3) 왕권 중심으로 국가 질서를 회복하려는 의식 반영

 

  (7) 기타 - 세대편년절요, 선원론(임익), 본조편년강목, 본조금경록, 고금록 - 원부(충렬왕), 이인복(공민왕)


 

사 관

사 서

전기

 자주적 사관

 7대실록 등

중기

 합리적 유교 사관

 삼국사기

후기

 자주적 사관

 동명왕편, 삼국유사, 제왕운기

말기

 성리학적 유교 사관

 사략


 

서술 방법

대표적 사서

기전체

 본기, 열전, 세가, 지, 연표 (정사체)

삼국사기, 고려사, 동사, 해동역사

편년체

 연월을 중심 (사실편술)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기사본말체

 사건마다 (실증적), 인과관계

연려실기술, 삼국유사, 조선사연구초

강목체

 강, 목으로 서술

동사강목, 강목집요, 본조편년 강목

 * 편년체 : 실록, 절요, 통감은 모두 편년체  /  기년체 : 사마천의 사기

 * 동국통감 - 고조선 ~ 고려 말까지 역사 기록

 * 동사강목 - 고조선 ~ 고려 말까지 역사 정리 - 고중 사학의 토대를 마련

 * 본기 - 연대순  /   세가 - 제후국 역사   /   지 - 정치, 경제, 군사, 예술

   연표 - 연대 기록 표  /   열전 - 장군, 충신, 역신


Ⅳ. 교육 시책과 교육 기관

 

 1. 교육 시책 : 서경에 학보 설치

  

 2. 교육기관의 정비

  (1) 태조 : 학보 설치 (개경, 서경에 학교 설립)

  (2) 성종

   1) 교육 조서의 반포 “교육이 아니면 인재를 얻을 수 없다.”

   2) 지방 교육 : 향교, 박사(경학 박사, 의학박사) 파견

   3) 중앙 교육

    a.  국자감 - [유학부] 국자학, 태학, 사문학   

                 [기술학부] 율학, 서학, 산학 (잡학) (→ 율·서·산 외 나머지는 각 해당 관청에서 선출)

    b. 입학 기준 : 신분별 입학

                 [유학부] 7품 이상 자제

                 [기술학부] 8품 이하

   4) 도서관 설치 : 비서성(개경),   수서원(서경)

   5) 문신 월과법 시행 : 관리의 질적 향상위해 글 받음

      a. 중앙 문신 : 매월 시 3편과 부 1편

      b. 지방관 : 1년에 1회씩 글

   6) 유교 진흥책


 

6학

입학자격 (신분별)

교육내용

기간

유학부

(신분별 입학)

국자학

 3품 이상

유교 경전, 문예

9년

태학

 5품 이상

시문학

 7품 이상

기술학부 

(잡학)

율학

 8품 이하, 서민의 자제

법률

6년

서학

서예, 그림

산학

수학



 3. 사학의 발달

  (1) 12도 융성 : 문종 때 최충문헌공도(9재 학당) 등 융성

     * 9재 학당 : 나성, 대중, 성명, 경업, 조도, 솔성, 진덕, 대화, 대방 (➝ 후에 사학의 효시가 됨)

  (2) 영향

   1) 국자감 위축

   2) 문벌 귀족 사회 확립


 4. 관학 진흥책

  (1) 숙종 : 서적포 (서적간행), 평양에 기자 사당

  (2) 예종

   1) 국학 개칭 : 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

   2) 7재 설치 : 여택재(주역), 대빙재(상서), 경덕재(모시), 구인재(주례), 복응재(예기), 양정재(춘추), 강예재(무학)

   3) 양현고 : 관학 강화위한 장학 재단

   4) 청연각·보문각 :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

   5) 편찬 - 편년통재속편, 정관정요, 해동비록

   (cf. 여진과 대치시기)


  (3) 인종 : 경사 6학 정비, 향교 중심 교육

  (4) 충렬왕

   1) 섬학전 : 양현고의 부실을 보충위한 교육재단

   2) 문묘 신축 : 국학을 성균관으로 개칭, 문묘(공자 사당) 건립

   3) 안향 활약

   4) 경사교수도감 (유학교육)


  (5) 공민왕 : 성균관을 유교 교육 기관으로 개편

  (6) 공양왕 - 성균관의 유학부와 기술학부를 분리


<문제>

 

1. 태학에는 7품 이상의 자제들이 입학하였다?   (X)  ☞  5품

 

2. 순서 : 국자감 ➝ 12도 ➝ 7재 ➝ 경사 6학

 

3. 국자학, 태학, 사문학의 교과목은 동일하였다.

 

4. 율학, 서학, 산학 등은 국자감에서도 교육하였다.

 

5. 농민은 일정한 직역이 없는 백정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과거 응시가 가능하였다.

 


 

Ⅴ. 과거 제도와 음서제도

 

 1. 과거 제도

  (1) 실시 목적 : 호적 억제 (광종 958) - 문치 관료 제도 강화, 신구세력의 교체

  (2) 종류

   1) 문과

    a. 제술업 : 문학적(한문학) 재능, 정책, 가장 중시

    b. 명경업 : 유교 경전 (장정은 12궤, 백정은 9궤)

    cf) 삼장연권법 - 초장, 중장, 종장을 모두 합격해야 급제

    cf) 예부시명경업 -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분하여 시험

   2) 잡업 : 법, 회계, 지리

   3) 승과 : 대선·대덕이라는 법계를 줌

    a. 교종 : 화엄경으로 시험 ➝ 왕륜사에서 행

    b. 선종 : 전등록으로 시험 ➝ 광명사에서 행

   4) 무과 : 무신 - 실시 X

  (3) 응시 자격 : 양인 이상 응시 가능 ➝ 백정 농민은 대체로 잡과에 응시 / 6품 이상의 관직자는 과거응시 불가

  (4) 실시 시기 :

   1) 식년사 : 3년마다 정기  (☞ 실제는 격년시가 유행)

   2) 지공거 : 과거 시험관 (‘좌주’라 칭 - 합격자인 문생과는 부자관계 처럼 평생 지속)

  (5) 절차

   1) 1단계 : 상공(개경), 항공(지방), 빈공(외국인)

   2) 2단계 : 국자감시(사마시, 진사시) ➝ 합격자와 국자감생, 12공도 생도, 현직 관리 등 시험 (춘관시, 문과)

   3) 3단계 : 예부시(동당감시) ➝ 진사가 응시한 본시험 - 국자감생, 12공도, 중기 이후 국자감시를 거쳐 응시

   4) 친시(복시) - 단지 예부시 급제자의 순위만 결정

  (6) 좌주(시험관), 문생(합격자) 결속 강화, 관직 진출

  (7) 능력이 중시

  (8) 한계

   1) 합격 후 관직에 못 오를 수도 있다. → 실직을 위해서는 이부의 전주, 대간의 서경을 거쳐야 한다.

   2) 과거보다 음서 중시

  (9) 합격자 - 홍패와 등과전(토지)지급


 2. 음서 제도

  (1) 과거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벼슬을 할 수 있는 제도, 조상의 음덕으로 관직 진출이 가능한 것

  (2) 대상 - 공신, 종실, 5품 이상 관인의 자손 / 수양자나 사위, 외손도 혜택

  (3) 세습, 공음전의 특권을 통해 문벌 귀족 사회 강화

  (3) 귀족적 특성 - 보수적, 폐쇄적

  (4) 승진에 제한 無

  (5) 종류

    1) 공신자손음서

    2) 조종묘예음서

    3) 5품 이상 관료자손음서(가장 폭넓게 시행)

  (6) 동정직(산직)이 주어짐 → 후기에는 권무직, 품과실직을 받은 예가 많아지기도 했다.

  (7) 전품음서의 시행 - 관직자를 다시 올려주기 위한 음서

  cf) 조선의 문음 - 2품이상 관료로 제한


 3. 천거 - 성종 이후 비정기적으로 시행

* 관리등용의 변화

1) 정방 - 뇌물을 받고 관직을 매매하는 기구로 변질

2) 과거 부정 심화 - ‘분홍방’이라는 말도 유행

3) 천거, 성중애마(궁인 + 숙위 임무자)의 선보, 남반(당직)·잡로(잡류의 출사직)를 통한 승진

4) 첨설직의 남설

5) 납속보관제 남발 - 곡식·은을 받고 관직을 팔음



반응형

댓글